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Windows VISTA 가격

차세대 OS로 많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Windos XP 의 후속버전 Windows VISTA. 내년 1월 판매 예정인데요, 가격이 공개되었다고 합니다.

Windows Vista Home Basic: $199.00
Windows Vista Home Premium: $239.00
Windows Vista Business: $299.00
Windows Vista Ultimate: $399.00

Windows XP Home w/SP2: $259
Windows XP Professional w/SP2: $429


오늘자 기준환율(1 USD = 961.40 KRW)로 환산하면
베이식: 19만원
프리미엄: 23만원
비즈니스: 29만원
울티메이트: 38만원

이 되겠네요. ㅎㅁ 비싸네요. 적어도 비즈니스 버전을 사용해야 할텐데요.

윈도우 XP 홈은 25만원
윈도우 XP 프로페셔널은 42만원

이 됩니다.

http://www.microsoft.com/canada/pricelists/default.asp 에 올라와있던 정보인데 지금은 지워졌다네요.

----

http://blogs.zdnet.com/Bott/?p=124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노마드 블랙홀

노마드 블랙홀(Nomad Blackhole). 직역하자면 유랑 블랙홀 정도. 유목민처럼 블랙홀이 이리저리 옮겨다닌다는 뜻이다.

블랙홀은 별(빛을 내는 천체)의 진화의 마지막 단계이다.
1. 가스(주로 수소가스)가 특정한 곳으로 모임
2. 모인 가스가 서로의 중력으로 인해 수소의 밀도가 올라가고 결국 점화됨
3. 핵 융합 반응에 의해 수소가 헬륨으로 변환
4. 대부분의 수소가 헬륨으로 변환되면, 온도는 점점 내려가고 변환에 의해 약해진 중력때문에 팽창함: 적색거성
5. 중심에 무거운 탄소가 쌓여 폭발. 주변의 헬륨이나 남은 수소는 폭발로 인해 날아감. 매우 빠른 자전속도로 인해 빛을 냄: 백색왜성
6-1. 탄소의 반응이 모두 끝나 어두운 작은 별이 됨: 암흑왜성(현재 발견되지 않음)
6-2. 질량이 큰 경우 탄소로 이루어진 별이 더 수축해 전자끼리의 축퇴압에 의해 폭발(초신성폭발): 중성자별
6-2-1. 질량이 큰 경우 중성자들끼리 그 자체의 중력으로 인해 더 압축: 블랙홀

자연현상을 연구할때는 현상으로부터 공식을 유도하곤 합니다. 어떠한 현상으로부터 유도된 공식에 문제가 있는경우를 발견한다면, 공식이 잘못되었다고 느끼죠. 잘못되었다고 느낀다는 것은 [결과가 무한대]가 되거나, [0으로 나눠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이런 공식은 흔히 과학자들이 잘못되었다라고 느낍니다.

블랙홀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중력이 무한대가 됩니다. 문제는 무한대가 '맞다'고 표현하는 것이죠. 뭔가 잘못된거 같은데 잘못되지 않았다는것 까지 알려져 있으니 더 답답한거죠. 아직은 풀기 힘든 숙제입니다.

이런 블랙홀 중에 떠도는 블랙홀이 있다는게 2000년 밝혀졌다고 하네요. (모르고 있었음) 간단히 말해 태양계에 떠도는 블랙홀이 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런게 온다면 탈출은 불가능하겠죠. ㅎㅁ

저런 블랙홀이 오면 가족과 같이 있겠다는 사람이 많다고 하네요 ㅎㅎ 그래서 가족이 있어야 하는건가요? 해야할 일이 있다는건 좋겠죠. 혼자보다는 나으니까요 ㅎㅎ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블랙홀도 결국에는 사라진다고 합니다. 정확하게는 증발한다고 하네요. 이것이 옥스포드대의 스티븐 호킹 박사의 이론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빛보다 빠른 것은 없다'가 기본 전제였는데, 블랙홀의 중심부에서는 빛보다 빠른 것이 나온다는게 핵심입니다.

- 위에 있는 별의 진화 단계에 대한 내용은 단지 저렇게 생각되고 있다는 것이지 사실로 증명된 것은 아님을 미리 밝힙니다.

- 태클 금지

글쓴시간
분류 자동차

스티커&타르크리너

왠만하면 쓰지 말라는 소릴 어느 사이트에서 본거 같은데... 써본결과 역시 추천할만한건 못된다.

타르는 매우~만족할 만큼 잘 닦인다. 대만족이다. 그리고 각종 찌든때까지 말끔하게 없어졌다.

단지 내가 조금 꺼려지는건 너무 잘 닦여서 무섭다는 거다. 타르가 녹아버리니까. 스프레이를 뿌리고 10여초 지나면 녹아흘러 내린다. 유기용제 치고는 매우 강하다는 뜻이 된다. 스티커 크리너라면 모두 들어있는 설명문구에 있는 [독성 있음]이라는 빨간 문구가 괜히 있는건 아니다. 간단히 말해 먹으면 치명적이다.

차량 일부만 제거하다가 말았다. 마스크하고, 장갑 끼고 다시 해야쥐.

----

http://www.bullsone.com
http://www.automania.co.kr

http://www.bullsone.com/product/wa/pd_wa_06.asp

글쓴시간
분류 생활,캐어

반지의 치수 재기

실이나 줄자를 이용해 반지를 낄 손가락을 둘러 꽉 조인 상태에서 치수를 잰다. 물론 가장 좋은건 근처 금은방에서 링게이지로 재는것이 가장 좋다. 보통 남자는 17호, 여자는 12호. 나처럼 예외도 있지만 ^^

호수   둘레  반지안지름

01호 - 44 mm 13.1 mm
02호 - 45 mm 13.6 mm
03호 - 46 mm 13.8 mm
04호 - 47 mm 14.2 mm
05호 - 48 mm 14.5 mm
06호 - 49 mm 14.7 mm
07호 - 50 mm 15.0 mm
08호 - 51 mm 15.4 mm
09호 - 52 mm 15.8 mm
10호 - 53 mm 16.0 mm
11호 - 54 mm 16.4 mm
12호 - 55 mm 16.6 mm
13호 - 56 mm 17.0 mm
14호 - 57 mm 17.2 mm
15호 - 58 mm 17.7 mm
16호 - 59 mm 18.0 mm
17호 - 60 mm 18.3 mm
18호 - 61 mm 18.6 mm
19호 - 62 mm 19.0 mm
20호 - 63 mm 19.3 mm
21호 - 64 mm 19.6 mm
22호 - 65 mm 19.8 mm
23호 - 66 mm 20.1 mm
24호 - 67 mm 20.5 mm
25호 - 68 mm 20.8 mm
26호 - 69 mm 21.1 mm
27호 - 70 mm 21.5 mm
28호 - 71 mm 21.8 mm
29호 - 72 mm 22.1 mm
30호 - 73 mm 22.5 mm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명왕성이 행성의 지위에서 퇴출되었다네요

수성, 水星, Mercury
금성, 金星, Venus
지구, 地球, Earth
화성, 火星, Mars
목성, 木星, Jupiter
토성, 土星, Saturn
천왕성, 天王星, Uranus
해왕성, 海王星, Neptune
명왕성, 冥王星, Pluto

태양계를 이루던 9개의 행성중 명왕성이 IAU(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결국 퇴출되었다네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전류의 흐름(+극에서 -극)이 전자의 흐름(-극에서 +극)과 반대이듯이 잘못된거지만 통용되고 있기 때문에 놔두자였는데요. 어쨌든 아쉽습니다. 왼쪽의 이미지는 명왕성의 천문학적 심볼입니다.

1930년 2월 18일 클라이드 톰바으에 의해 처음 발견할때는 명왕성이 지구 크기였다고 생각되었지만, 이후 허블 우주 망원경에 의해 명왕성은 달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이때부터 '너무 작다'는 의견이 많았죠. 그리고 이후에 발견된 소행성들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 때문에 매년 IAU에선 논란이 일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76년이 지난 지금 결국 퇴출되었네요.

아래는 명왕성의 설명입니다.

평균거리: 5,906,376,272km (39.48AU)
궤도이심률: 0.248
근일점: 4,436,824,613km (29.66AU)
원일점: 7,375,927,931km (49.31AU)
적도반지름: 1,150km(지구의 0.18배)
평균밀도: 2.03g/cm³(지구밀도의 40%)
공전주기: 90,613일 (248.09년)

아래는 나사에서 퍼온 명왕성의 크기 비교입니다. 가장 오른쪽에 있는 하얀 점이 명왕성입니다.

태양계 행성의 크기 비교. 출처: 나사(거리는 비례하지 않음)

아래는 역시 나사에서 퍼온 명왕성 관측 사진. 왼쪽 아래에 있는게 명왕성. 오른쪽에있는건 명왕성의 최대 위성(지구의 위성은 달)인 카론.

명왕성(왼쪽)과 그 위성인 카론. 출처: 나사

아래는 역시 나사에서 퍼온 명왕성의 공전 궤도 사진입니다. 보시면 해왕성 안쪽을 약간 침범하고 있는것이 보일 겁니다. 이러한 이유, (자기만의 궤도가 없다는 사실)도 명왕성을 퇴출시키는 이유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태양계 행성의 공정 궤도. 명왕성의 궤도가 특이하게 기울어져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나사

----

http://solarsystem.jpl.nasa.gov/planets/profile.cfm?Object=Pluto&Display=Over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