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황색, 적색 헤어를 가진 캐릭터를 그려 보았다. 요즘 나오는 에니 실사 영화에서 예쁜 적발 캐릭터가 하나 없어진 아쉬움에 그려보았다.
전세계적으로 원래 적발도 꽤 흔한건 아니고, 꽤 많은 차별이 있어왔다고 알고 있다. 아니 있다. 역사적으로 이들도 꽤 많은 차별을 받아왔는데, 어느 에니에서 적발 캐릭터를 바꾼다는게 이해가진 않는다. 적발, 차별 정도로 인터넷 검색해보면 쉽게 검색된다. 적발은 아일랜드계에 많이 있는데 아일랜드와 영국의 역사를 참고하면 쉽게 짐작할 수 있다.
Stable Diffusion 에서는 적발이 묘사가 잘 안되는거 같아 오렌지 색으로도 프롬프트를 주어 작성했다.
윈도 11에서 사진 앱을 실행한 후 종료했지만, Shell Infrastructure 라는 프로세스가 계속 작동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CPU 점유율이 코어 1개를 전부 소비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아무래도 이건 버그인듯 한데, MS 에서는 아직 패치를 발표하진 않았다. 인터넷 살펴보니 최소 작년부터 발생한 버그인거 같다.
우선 증상 확인은 아래와 같이 할 수 있다. 작업관리자에서 Sheel Infrastructure Host 가 CPU 를 많이 점유하고 있다.
해결방법은 1. 앱을 초기화한 후 2. Shell Infrastructure Host 를 강제로 종료하면 된다.
- 앱을 초기화하는 건 아래 사진처럼 설정 - 앱 - 설치된 앱에서, Microsoft 사진을 찾아 들어가면 하단의 초기화 섹션에 "복구", "초기화" 버튼이 있다. 차례대로 눌러준다. 강제종료하는건 작업관리에서 Shell Infrastructure Host 을 선택한 후 상단의 "작업 끝내기" 클릭하면 된다.
2023.05.16에 갑자기 방문수가 늘어서 살펴봤다. 4배나 늘었다. 특별히 방문자가 늘어날 만한 낚시 글을 쓴것도 아니기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하면 일단 분석해봐야 한다.
구글에서 방문한게 많았다. 아래와 같이 구글 크롤링 방식이 HeadLess Chrome 으로 변경된듯 하다. 어쨌던 저건 크롬 브라우저이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가 실행되어서, 방문 카운트가 올라가는것 같다. 별로 좋은 건 아니다. 기준이 바뀌는 거니 앞으로 예전 자료와 비교하기는데 이를 감안해서 비교애야 한다.
어제부터 크롤러가 사용한 브라우저가 headless 브라우저로 표시되고 있다.
이 블로그에서 하루 트래픽의 80%~ 90% 가 크롤러다. 많이들 크롤링 해가긴 하지만 실제 방문자는 별로 없는듯. 웬지 아쉽다. 쓸데 없는거 말로 여기로 링크해줬으면 한다. 요즘엔 구글에서 AI 가 쓴 글로도 많이 링크하기도 해서, 빨리 손을 써야 할것 같기도 하고 말이다. 더 쓸데 없어지기 전에 말이다.
AI 로 글을 쓴걸 보면, 얼핏보면 그럴듯하지만, 하나하나 따져보면서 읽어보면 결과적으로 잘못된 이야기를 쓰는 경우가 많다. 쓸데없이 수식어가 많아서 읽기 힘든건 덤이다. 이게 앞으로의 해결해야할 과제인셈. 그런 글들은 너무 정형화되어있어 썩 좋아하지는 않는다.
----
2023.05.25
그 이후로는 다시 발생하지 않았다. 그날 하루만 이렇게 된 셈. 구글에서 테스트해봤던건감...
- EP-DN975, EP-DX510은 100W 충전을 지원하는 제품이다. 막상 써보면 전선 굵기가 다른 제품과 차이 많다는걸 알 수 있다. USB 케이블 치고는 구부리는데 힘이 들어간다.
- EP-TA800 충전기(삼성 25W 고속 충전기, 노트10+ 번들) 에서 EP-DN970 (노트10+ 번들) 케이블을 사용해 Galaxy S23 Ultra를 고속충전하려는데, 충전이 되었다 안되었다 해서 케이블을 EP-DN975 으로 교체해보니깐 문제 없었다. 그냥 케이블이 망가진걸지도 모르겠지만 데이터 연결은 정상적으로 되었다. 고속 충전만 안된셈. 어쨌든 방법을 알아냈으니 그걸로 만족. 에혀...
LoRA 적용시 오류 - output with shape {param} doesn't match the broadcast shape {param}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stable-diffusion-webui\extensions\a1111-sd-webui-lycoris\..\..\extensions-builtin/Lora\lora.py", line 215, in load_loras lora = load_lora(name, lora_on_disk.filename) File "C:\stable-diffusion-webui\extensions\a1111-sd-webui-lycoris\..\..\extensions-builtin/Lora\lora.py", line 176, in load_lora module.weight.copy_(weight) RuntimeError: output with shape [4, 320, 1, 1] doesn't match the broadcast shape [4, 320, 3, 3]
이와같이 나오는 이유는 적용하려는 파일(.safetensor, .pt 파일)이 LoRA용 파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파일은 LoRA 의 확장 규격을 사용한 거라, 현재 Stable Diffusion WebUI 에서 사용하려면 LyCORIS 사용해야한다. 파일이름, 파일 크기만 가지고는 LoRA 인지 LyCORIS 용인지 명확하게 구분이 안된다. (그래도 LyCORIS 용 파일은 파일 크기가 수십메라 정도로 작다)
프롬프트도 <lyco:***:1.0> 처럼 사용해야 한다. <lora:***:1.0> 이 아니다.
- 확장 LoRA 는 [*, *, 1, 1] 에서 [*, *, 3, 3] 과 같이 뒤의 2개 숫자가 1 에서 3으로 변경되었다. (이건 프로그래밍에서 4차원 배열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이게 확장 LoRA 규격이다.
----
2023.05.26 추가
Stable Diffusion WebUI 를 최신 버전으로 패치하면 LoRA 로 적용 된다. (LyCORIS 쓸 필요 없다) 기존에는 [*, *, 3, 3] 형식의 LoRA 를 지원하지 않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