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IE 10에서 64비트 모드 활성화
aptX
aptX 는 CSR(Cambridge Silicon Radio, 영국의 모바일 반도체 회사)에서 개발한 오디오 코덱이다. (CSR의 모바일 부문은 삼성에 인수되었다가 다시 퀄컴에 인수되었다) CD음질을 구현하는 평범한 코덱이 주목받는 이유는 이 코덱이 블루투스에서 사용하려고 만든 코덱이기 때문이다.
블루투스의 음악 전송 프로토콜인 A2DP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에서 사용 가능한 코덱으로 SBC(SubBand Codec)가 있다. SBC는 압축효율이 좋아 전송량이 많지 않지만, 음역대가 100Hz~13Khz이어서 MP3와 비슷하지만, 고음질 음악을 표현하기엔 음역대가 너무 좁고 압축효율이 낮아 비트레이트가 높은 편이다. 이를 해결해주는게 aptX다. aptX는 56kbps에서 CD음질수준의 구현이 가능하다.
블루투스 기기에서는 소니, 야마하, 애플에서는 AAC를, 삼성과 HTC는 aptX를 밀고 있다.
갤럭시노트2는 SBC와 aptX를 지원한다.
블루투스 헤드셋 구매를 고려하고 있는데, 음악 감상용이라 aptX가 가능한 것을 사용해야 할 듯. 삼성 HS3000, 소니 MW1 중 고민중. 현재로써는 HS3000 살듯. 조만간 지름!
----
http://www.csr.com/products/60/aptx
http://www.samsung.com/sec/news/productnews/2012/samsung-electronics-the-uk-mobile-sector-csr-company-acquisitions
삼성 갤럭시 노트2(Galaxy Note 2)
말도 많고 고민도 많았던 기변을 목적으로 한 번호이동. ㅎㅎ
삼성 갤럭시 노트2
결국 갤럭시 노트2로 낙찰. 머 기존에 쓰던 폰이랑은 하늘과 땅 만큼 차이 나고 있음. ㅎㅎ
일단 케이스를 바꿔야 하고, 필름도 좀 쓰다 버릴듯. 그다지 클리어 하지 않은 느낌. 케이스는 갤럭시3 순정과 비슷한걸 찾고 있다. 헬로키티가 그려진걸로. ㅎㅎ 마트에서 본 리락쿠마 케이스도 괜찮아보이던뒤.
예전에 아이패드 샀을때의 감흥이나지는 않지만 나름 괜찮은듯. 좀 넓으니 볼만 하다. 쿼티 자판 쓰려면 역시 노트 정도는 되어야 좀 쓸만하지 않을까 생각중.
아이패드,아이폰 쓰다가 적응안되는거 한가지. 버튼이 3개인데, 그중 왼쪽 버튼의 용도가 '설정'이다. 노트에서 어플 실행시켜서 설정 메뉴 찾다 보면 안보이는데 이건 그냥 버튼 누르면 된다. 아이폰 앱들은 어딘가 구석에 만들어 놓는데 말이쥥. 뒤로가기나 취소를 의미하는 버튼도 마찬가지.
대신 다른건 큰 불편함 없는듯.
HTML 5 테스트
'인터넷 표준'이라는 광풍이 불었을때, ACID3라는 브라우저 테스트가 한참 유행하던 적이 있었다. 지금이야 ACID3정도는 가볍게 통과하지만, 당시에는 정말 통과하는 브라우저가 없었다.
HTML 5 Test
요즘은 HTML5에 힘입어 HTML5 테스트가 나왔다. 나온지는 한참되었는데, 무관심하다가 이제야 관심있게 보는중. 그래봤자, IE가 지원 못하면 우리나라에서는 사용하기 힘드니 미리미리 알아둬도 소용 없다는 건감.
500점 만점에 IE9은 138점. 보너스 점수는 5점.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브라우저는 맥손이라는 트라이던트와 웹킷 기반의 중국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브라우저다. 2위가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고 그 뒤를 오페라와 파이어폭스가 바짝 뒤쫒고 있다.
----
http://windy.luru.net/355
http://html5test.com/
http://html5test.com/results/desktop.html
오프라인 웹 브라우징이 한때 각광받던 적이 있습니다. 웹에서 클라이언트측에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건 얼마전까지만 해도 쿠키가 유일했죠. 하지만 보다 정형화되고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턱없이 부족했던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사실상 오프라인 브라우징은 제대로 안되었죠.
그래서 나온게 Web SQL Database였습니다. 현존하는 기술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입력하는 가장 보편화된 언어인 SQL을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내장하는 것이었죠. 하지만 W3C Working Group에서는 이에대한 표준화를 더이상 하지 않았습니다. 구현하기 어렵다가 그 주된 이유죠. 난이도의 문제가 아니라, 굳이 이렇게 복잡한걸 구현하지 않아도 대체할건 많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현재 각광받고 있는게 Indexed Database API 입니다. 제가 보기엔 NoSQL을 연상시키기도 하는데요, 어쨌든 SQL을 사용하지 않고 인덱싱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합니다. 이 데이터베이스엔진은 SQL기반이 아니구요.
앞으로 쓸일이 많아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http://www.w3.org/TR/webdatabase/ Web SQL Database
http://www.w3.org/TR/IndexedDB/ Indexed Database API
Seagate Desktop SSHD
nVidia Titan
nVidia Titan 그래픽 카드
오크릿지 국립 연구소의 타이탄의 일부
단일 그래픽 성능으로는 성능은 현존 최강이다. 가격은 100만원이 넘는다. 하지만 그 값어치를 한다는게 중론.
물론 난 패스. 하지만 가지고 싶다는 생각은 드네요.
----
http://www.nvidia.com/titan-graphics-card
http://www.olcf.ornl.gov/titan/
작은 PC하나 만드려고 준비중. 목적은 스토리지. 그냥 전용 장비 사용할 생각도 해봤지만 역시 범용으로 구성하는게 나중을 위해 좋을 듯.
필요한게 SSD하나 들어갈 공간과 CD-ROM공간, 그리고 3.5인치 하드 두개 들어갈 공간이 필요. mATX마더보드를 사용할 예정이궁. CPU는 암드쪽으로. USB 3는 필수. 그중에서도 가장 작은 케이스.
GMC 탱크 USB 3.0
그렇게 조건을 걸다보니 몇개 없음. [GMC 탱크 USB 3.0] 에혀. 좀 투박해 보이긴 하지만 이 스펙이 이정도 디쟌, 이정도 가격이면 쓸만한 수준이 아닌가 생각중임.쿨링팬을 120mm 두개 사용한다는 것도 맘에 들고.
http://www.gmc.co.kr/products/itemView.php?cateID=1&cateID1=1&cateID2=3&cateID3=4&itemID=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