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NUC(Next Unit of Computing) D54250WYK 출시

하스웰을 사용한 NUC가 출시되었네요. Core™ i5-4250U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최대 16GB의 메모리를 달 수 있습니다. PCI-e 형식의 SSD는 한개를 달 수 있네요. 이외에 SATA포트 1개도 지원해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D54250WYK

PC 시장이 예전같지는 않다는게 느낌이 오네요. 일단 저도 견적을 내는걸 중단했습니다. (이건 AMD의 삽질이 더큽니다. 그래도 가끔 내긴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D54250WYK에 사용한 보드 (D54250WYB)

전면 USB 3가 전 제품군에 포함되었네요. 최대 소비 전력이 64W입니다.

일단 좋아보이긴 하는데, 아마 가격때문에 구매하지는 않을 거 같네요. ITX나 MicroATX 팩터로 일단 보고 있습니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기와식자기기록(Shingled Magnetic Recording)

HDD가 계속 변화하고 있네요. 근본적인 변화는 아니지만, 그래도 나아지는게 보이니 다행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Conventional Track Spacing

시게이트가 SMR라는 기술을 발표했습니다. 기존 플래터에서 25% 정도 용량을 늘일 수 있는 기술이라고 하네요. 헤더와 플래터를 재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설비 비용이 없답니다. 지금 생산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일반화 되겠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SMR

수평자기기록에서 수직 자기기록으로, 다시 SMR을 사용한 기록 방식을 내놓았습니다. 기술 백서 보면 플래터의 모든 영역에 여유영역 없이 기록하는 걸로 보이는데요, 앞으로 어떤 기술이 나올지 기대되긴 합니다.(나올수 있으려나요)

현재 1TB 플래터를 4장 사용한 4TB 3.5인치 하드디스크가 출시된 상태입니다. 이걸 25% 향상시켜 5TB 용량을 가진 하드디스크가 조만간 발표되겠네요.

----

http://www.seagate.com/tech-insights/breaking-areal-density-barriers-with-seagate-smr-master-ti/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AM3+ 전원부 가이드

전원부 스펙을 정리해놓은 문서입니다. 오버하시는 분들은 필수로 보셔야 겠고, 오버 안해도 TDP 140W지원 못하는 마더보드는 사용을 지양해야 하겠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GA-990FXA-UD3 rev4

AMD FX-8300 CPU의 기본 스펙은 3.3GHz, (터보코어시 4.2GHz)로 TDP는 95W입니다. 이걸 4.5GHz로 오버하면 풀로드시 329W라는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고 하네요. 이정도 전력 소비면 왠만한 마더보드는 버티지 못할겁니다. 그래서 이런 전원부 가이드가 나오게 된거구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GA-990FXA-UD3 rev3

가장 좋은 전원부를 가진 마더보드는 최근 출시된 Gigabyte 990FXA-UD3 rev. 4.0 라고 합니다. 약 19만원 정도 하네요.

----

GA-990FXA-UD3 (rev. 4.0):  http://www.gigabyte.kr/products/product-page.aspx?pid=4672

글쓴시간
분류 기술,IT/서버

구글, 암호화 체계 강화

※ 구글이 자사의 암호화 체계를 강화한다고 하네요. 몇달전 구글이 사용자의 이메일을 엿본다(?)고 말한 기사와 비교됩니다만, 저건 환영하는 일이긴 합니다. (엿본다는게 메일을 읽는다는게 아니라, 키워드를 추출해 광고에 활용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는 라이선스 어그리먼트에 나와 있습니다)

※ 예전에 스노든이란 사람이 폭로한게 있습니다. 정보기관에서, 인터넷으로 전달되는 정보를 엿본다는 것이죠. 현재 암호화 표준 방법으로 암호화된 정보는 쉽고 빠른 방법으로 풀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수학적으로 증명된 내용이죠. 하지만 느린 방법으로 풀 방법은 있습니다. 슈퍼 컴퓨터를 사용하면 느린 속도가 커버되니 방법은 있는 셈입니다. 이런걸 정보기관이 한다는건 익히 알려져 있는 사실이긴 합니다. 게다가 추측이긴 합니다만 몇몇 사이트의 개인키를 정보기관에서 가지고 있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해커에 의해 개인키가 유출되어도 소용없도록 만들기 위해 DHE나 ECDHE와 같은 키 교환 알고리즘도 나오구요.

※ 그런데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암호화된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보여줄 때 복호화하게 마련입니다. 이 복호화 한걸 가로채서 엿본다는 내용입니다. 암호 해독에 필요한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셈입니다.

※ 이게 문제가 되니까 구글도 이런 부분을 신경서서 암호화 체계를 강화하겠다는 겁니다. 정부기관에서 자신의 메일을 보고 있다는걸 알면 인터넷을 사용하려는 사람이 줄 가능성도 있으니까요. 구글로써는 반갑지만은 않은 일이겠죠.

※ 전 대부분의 정보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서버에 저장하고 있습니다. 딱히 공개 못할 정보가 있는건 아닙니다만, 그래도 위와 같은 기분 나쁜 문제를 겪고 싶지는 않네요.

----

윈도7, IE에서 ECDHE 알고리즘 사용하기: http://windy.luru.net/1620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갤럭시 노트 3

갤럭시 노트 3가 발표되었습니다. 기본스펙은 메모리가 3G로 늘어났고, LTE-A를 지원하며, 안드로이드 4.3부터 지원한다는 겁니다. 4K동영상을 촬영하고 재생할 수 있다는 것과 화면 해상도가 1080p로 늘어났다는게 흥미롭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IFA 2013 에서 발표한 갤럭시 노트 3

갤럭시 노트 2를 가지고 있는 사람 입장에서는 그다지 많은 업그레이드는 아니라 생각합니다. 그래도 노트 1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은 업그레이드 할만 하겠네요. 노트 1써야 할일이 있어 회사에서 쓰고 있는데, 상당히 느리긴 하니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갤럭시 노트 3


후면 커버에 스티치 다자인(바느질 자국)이 들어간건 재미있네요.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GT630 리마킹

케이벤치라는 곳에서 몇일전 제기했습니다. GT630 의 리마킹이 의심된다구요. 당연히 관련 커뮤니티는 난리 났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Vidia GT 630 레퍼런스.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제품은 이 이미지와 다른 외관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리마킹 잊을만하면 일어나네요. 이번엔 AXLE 이란 브랜드의 GT630이 GT520의 리마킹이라고 의심된다고 하네요. 어쨌든 그 회사의 GT630이 표준적인 스펙에서 벗어나는건 확인되었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nVidia 홈페이지에 있는 표준 스펙 캡처



리마킹이란 반도체표면에 인쇄된 글자들을 깎아 지우고 더 비싼 제품인것처럼 다시 인쇄하는 일종의 사기 수법입니다. 반도체표면을 살짝 깎고 다시 레이저로 인쇄해야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장비가 필요합니다. 중국 등지에서 대량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워낙 컴퓨터 하드웨어에 정통한 일반인들이 많아서 리마킹 했다간 쉽게 들키는 곳입니다. AXLE도 보니 다른 곳에서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었네요.

컴터 부품에서는, 믿을 만한 회사에서 제조한 평균적인 가격을 지닌 제품을 고르면 괜찮다고 봅니다. 가격에 비례해서 제품이 좋아지는 곳이 컴터 부품 분야이니까요.

----

nVidia GT 630
http://www.nvidia.co.kr/object/geforce-gt-630-kr.html

소비자를 속인 '리마킹 GT 630', 그 불편한 진실을 찾아서
http://www.kbench.com/?q=node/121568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iOS 7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단 디자인이 바뀐게 크네요. 좀 더 색다른 경험일듯. iPad2도 지원해주는걸보니 기대됩니다. 디자인을 작정하고 바꿔놨네요.

게다가 iPad2에서도 드디어 시리가 지원되는 군요. ㅎㅎㅎ 아이튠즈 라디오는 그다지 흥미 없으므로 패스.

사파리 바뀐게 눈에 띄이네요. 3D 가속 지원되려나요. 올 가을 공개 예정이라니 왠지 기대되네요.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윈도7에서 256비트 암호화 사용 방법

윈도비스타부터 256비트 암호화를 사용 가능하지만, 사실상 비활성화되어있다.

다음과 같이 활성화할 수 있다. 윈도7 프로 이상 필요하다.

1.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실행한다. (시작 → 실행을 클릭하고 gpedit.msc 를 입력한다)

2. 로컬 컴퓨터 정책 → 컴퓨터 구성 → 관리템플릿 → 네트워크 → SSL 구성 설정을 선택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3. 오른쪽 패널에서 [SSL 암호 그룹 순서]를 더블 클릭한다.

4. SSL 암호그룹 창에서 사용을 선택하고, 아래의 입력패널에 아래의 텍스트를 입력한다. 모두 한줄로 입력해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SL 암호 그룹 순서

TLS_ECDHE_ECDSA_WITH_AES_256_CBC_SHA_P521,TLS_ECDHE_ECDSA_WITH_AES_256_CBC_SHA_P384,TLS_ECDHE_ECDSA_WITH_AES_256_CBC_SHA_P256,TLS_ECDHE_RSA_WITH_AES_256_CBC_SHA_P521,TLS_ECDHE_RSA_WITH_AES_256_CBC_SHA_P384,TLS_ECDHE_RSA_WITH_AES_256_CBC_SHA_P256,TLS_ECDHE_ECDSA_WITH_AES_128_CBC_SHA_P521,TLS_ECDHE_ECDSA_WITH_AES_128_CBC_SHA_P384,TLS_ECDHE_ECDSA_WITH_AES_128_CBC_SHA_P256,TLS_ECDHE_RSA_WITH_AES_128_CBC_SHA_P521,TLS_ECDHE_RSA_WITH_AES_128_CBC_SHA_P384,LS_ECDHE_RSA_WITH_AES_128_CBC_SHA_P256,TLS_DHE_DSS_WITH_AES_128_CBC_SHA,TLS_DHE_DSS_WITH_AES_256_CBC_SHA,TLS_DHE_DSS_WITH_3DES_EDE_CBC_SHA,TLS_RSA_WITH_AES_128_CBC_SHA,TLS_RSA_WITH_AES_256_CBC_SHA,TLS_RSA_WITH_RC4_128_SHA,TLS_RSA_WITH_3DES_EDE_CBC_SHA,TLS_RSA_WITH_RC4_128_MD5,SSL_CK_RC4_128_WITH_MD5,SSL_CK_DES_192_EDE3_CBC_WITH_MD5,TLS_RSA_WITH_NULL_MD5,TLS_RSA_WITH_NULL_SHA,TLS_RSA_WITH_DES_CBC_SHA,TLS_DHE_DSS_WITH_DES_CBC_SHA

5. 확인을 누른후 컴퓨터를 재시작한다.

----

http://social.technet.microsoft.com/Forums/en-US/ieitprocurrentver/thread/4e382651-2227-4f97-89ee-76f3115b5e1c/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Intel TSX

기다리고 기다리던 하스웰이 발매되었습니다. 가격은 3세대 프로세서와 비슷합니다. 경쟁자도 없으니 가격은 인텔 마음대로 결정해도 되겠죠.

이번 하스웰의 최대 이슈라고 보는게 TSX(Transactional Synchronization Extensions)입니다. RTM(Restricted Transactional Memory)의 하드웨어 구현인데, 여기에 Hardware Lock Elision도 추가했습니다. RTM은 IBM에서 작년에 그들의 슈퍼컴퓨터에 구현 해 놓았습니다만, 일반인용을 위한 기기에 넣은건 인텔의 하스웰이 최초입니다. AMD도 ASF(Advanced Synchronization Facility)라고 해서 뭔가 나오려고 하는거 같은데 아직 안나왔습니다. Oracle도 Memory Versioning라고 해서 뭔가 나올것 같은데 아직 안 나왔습니다.

예전에 Sun microsystems라는 곳에서 연구하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흐지부지 되면서 엔지니어들의 일부가 인텔로 옮겨간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님말고 ^^;) 그리고 하스웰에서 빛을 봤네요.

여태까지 동시성 프로그래밍을 위한 하드웨어 지원에는 CAS(Compare and Swap)나 LL/SC(Load-Link and Store-Conditional)가 있었는데, 여기에 더해 Transactional Memory이 추가된겁니다. 제가 알기론 하드웨어적으로는 동시성 제어에 거의 마지막 기술(더이상의 향상 여지가 없는 기술)로 알고 있습니다. 앞으로 개선하긴 하겠지만, 획기적인건 아니겠죠.

일단 구현은 L1, L2캐시의 캐시 코히런스 시스템을 이용했을 것으로 추측합니다. (공식적으로 인텔에서 이렇게 구현했다고는 안했지만, 공식 문서에 Read-Set, Write-Set이 나오는데 이게 L1, L2 캐시의 캐시 일치를 위해 만들어진거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아마 트랜젝션 가능한 용량에 제한(L1 또는 L2캐시의 크기)이 있을 텐데요 자세한건 두고 봐야겠네요. 이제 발매되었으니 차츰차츰 분석해내겠죠.

현재 TSX는 인텔 컴파일러와 GCC 최신버전에서 지원 합니다.

이외에도 AVX 2 명령셋을 지원한다고 되어있긴 합니다만, 이건 별로 와닿지는 않네요.

만약 자바에서 지원한다면

 synchronized (aObject) {
  ...
 }

이 아니라

 transaction {
  ...
 } catch (TransactionException e) {
  실패시 코드
 }

처럼 코딩해도 되겠죠. 물론 아래것이 성능이 훨~씬 빠릅니다. 기대되네요.

----

2015.02.19 업데이트

하스웰/브로드웰의 TSX 에서 버그가 발견되었습니다. 타이밍 문제로 보입니다만, 결국 소프트웨어적으로 해결이 안되네요. 현재 인텔에서 배포한 최신 마이크로 코드를 사용하면 TSX를 비활성화 시킵니다. 2014.08 에 이미 패치가 발표되었네요. 결국 TSX는 다음 아키텍처에서 사용 가능할 것 같네요. 아쉽습니다.

----

2015.08.15 업데이트

Core M-5Y70 F0 스태핑 부터 해결되었다네요. 2014.11월에 출시되었습니다.

----

Intel® Architecture Instruction Set Extensions Programming Reference
http://software.intel.com/file/41604/319433-012a.pdf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우분투의 버그 번호 1번 해결

우분투는 PC용 운영체제중 하나입니다. 우리가 잘 아는 PC용 운영체제로 윈도7이 있죠.

버그란 소프트웨어의 잘못된 동작을 말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사에 버그를 신고하면 개발사에서 그것을 고쳐놓죠. 그리고 소프트웨어 회사에서는 버그에 번호를 붙여 관리합니다.

우분투의 1번 버그란 그 버그 번호의 첫번째라는 의미죠. 그리고 그 버그의 제목이

Microsoft has a majority market share

'마이크로소프트가 시장점유율 1위'라는 의미입니다.

9년전 우분투가 나오게 된 이유가 시장 독점을 막기 위함이었구요, 이제 그게 해결되었다고 선언했네요. 물론 PC 데스크톱/노트북 분야만 놓고 보는건 아닙니다. 이게 우분투의 힘만 가지고 된것도 더더욱 아니구요.

하지만 요즘엔 스마트폰이다, 태블릿이다 해서 MS의 영향력이 많이 약해진건 틀림 없는거 같네요.

----

https://bugs.launchpad.net/ubuntu/+bug/1
http://bugnumberon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