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팬리스 시스템(Fanless System) 4
종류 제품명 가격(만원) TDP
---- ---------------------- ---------- ----
CPU 에이엠디 A8 6500T 13.0 45W
RAM 삼성 PC3-12800 4G 3.8 3W * 2
M/B 에즈락 FM2A88X-ITX+ 12.9 20W
SDD 토시바 Q Series Pro 128GB 11.0 3W
CHA 비아코 Mini Letter Self2 13.4 -
PSU 마이리플 DC 120W D3 (12V-8.33A) 5.5 -
쿨러 노팬 CR-80EH 3.4 -
----------------------------------------- ----
66.8 74W
- FM2+ 용 ITX보드는 현재 리테일 시장에 1개밖에 없음.
FM2A88X-ITX+
- 에이엠디에서 A8-7600이 출시(1분기중 출시 예정)되면 그걸로 갈아타는 것도 좋다. TDP는 동일하게 45W다. 쉽게 말해 조금 기다릴 수 있는 상황이면 기다리라는 의미다.
- 팬리스 솔루션이기 때문에 아예 소음이 없다. 어댑터를 사용했고 나름 유명한 마이리플제라 특유의 고주파 소리는 없다. 현재 200W대도 나와있긴 하지만 200W대로 ITX와 같이 작은 PC로 구성하기엔 힘들다.
마이리플 DC 120W D3 (12V-8.33A): 어댑터는 100W 고 DC-DC 모듈은 120W 이다.
- [노팬]이라는 회사에서 나온 CR-80EH도 현재 상황에서는 괜찮지만, CPU를 업그레이드 하면 좀 더 좋은 CR-95C을 사용해야 한다. 케이스에 모두 들어간다.
CR-80EH
- 케이스도 조립해야 한다. 제품명에 Self 라는 말이 괜히 들어간게 아니다. 물론 조립은 쉽게 가능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비아코 Mini Letter Self2
----
팬리스 시스템(Fanless System) 3: http://windy.luru.net/1354
팬리스 시스템(Fanless System) 2: http://windy.luru.net/1047
팬리스 시스템(Fanless System): http://windy.luru.net/343
GeForce GTX 750 Ti
nVidia 에서 공개한 성능. 그래프상으로는 650Ti 보다 약 25% 성능이 향상되었다.
제조사별 하드디스크 수명에 관한 블로그
블로그라 단순히 참고만 해야 할듯.
잘 모르는 사람들은 시게이트가 가장 안 좋게 보일 수 있겠지만 그렇게 단정짓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일단 샘플 수가 시게이트와 히다치가 많고 대부분 고장률 높은 고용량 하드디스크를 사용했으며, 나머지는 이 둘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 쉽게 말하면 조사 대상이 기본적으로 시게이트와 히다치 사용자라는 의미다. 왜 히다치와 시게이트를 많이 사용하느냐 라고 물어보고 싶고 앞으로도 계속 쓸꺼냐고 물어보고 싶음. ㅎㅎ
단, 고장률 25.4% 찍은 ST31500341AS (7200.11, 1.5TB)을 포함해 7200.11 시리즈의 신뢰성은 의문인건 맞는 듯. ㅎㅎ 스펙상 MTBF는 괜찮은데 믿을 수 없다는게 문제다.
기본적인 생각은 제조사마다 그게 그거다라는게 내 결론. 선호하는 제조사는 있어도 잘 만다는 제조사는 없다고 본다. 기술적 수준은 거의 상향 평준화 되었다는 의미다. 난 기본적으로는 시게이트 유저다.
----
블로그 출처: http://blog.backblaze.com/2014/01/21/what-hard-drive-should-i-buy/
7200.11 펌웨어 업데이트: http://windy.luru.net/568
컴퓨터 견적 2014.01
※ 메인PC급(80만원, 게임용)
2014.01 전년대비
인텔 코어i3-4세대 4130 (하스웰) 120000 신규
기가바이트 GA-B85M-DS3H 제이씨현 81000 신규
삼성 DDR3 4G PC3-12800 41000 × 2 신규
조텍 GTX760 AMP! D5 2GB DUAL SILENCER 300000 신규
토시바 Q Series Pro 128GB 119000 신규
쓰리알시스템 R415 에스프레소 SE USB 3.0 44000 신규
시소닉 S12II-520 80PLUS 브론즈 83000 신규
-------------------------------------------------------------------
3.1㎓×8,8GiB,120GB,USB3,520W 829000
※ 세컨PC급(50만원)
2014.01 전년대비
에이엠디 A10 7850K (카베리) 180000 신규
기가바이트 GA-F2A88X-D3H 제이씨현 105000 신규
삼성 DDR3 4G PC3-12800 41000 × 2 신규
토시바 Q Series Pro 128GB 119000 신규
잘만 ZM-T4 27000 신규
슈퍼플라워 SF-500P12N SE 34000 신규
-------------------------------------------------------------------
3.7㎓×4,8GiB,120GB,500W 547000
※ 서드PC급(30만원)
2014.01 전년대비
에이엠디 A4 6300 58000 신규
에즈락 FM2A88M-HD+ 73000 신규
삼성 DDR3 4G PC3-12800 41000 × 2 신규
시게이트 500GB ST500DM002 (SATA3/7200/16M) 53000 신규
GMC ECO 쓸만한 + GM-POWER 500 41000 신규
-------------------------------------------------------------------
3.5㎓×2,8GiB,500GB,500W 307000
- 1년만에 내어봄. 당연히 전년 대비 신규 부품으로만 구성됨
- 50만원 정도에 뽑으려면 하스웰i3+VGA중급 vs AMD APU 고급. 이 둘중 하나임. 여기선 50만원대 PC는 AMD로 구성했음
- [CPU 가격 * 2 = VGA 가격] 정도면 대략 맞는다고 봄.
- 30만원 정도라면 위에 견적낸 PC외에는 거의 못 살듯.
- AMD A10 7850K의 내장 그래픽이 GeForce 640과 650사이의 그래픽을 내어준다. 메모리 PC3-17000 정도로 오버클럭하면 650도 뛰어넘는 성능을 내어준다고 함. 따라서 10만원짜리 외장 VGA(내장 그래픽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못한 VGA)를 사는 시대는 이젠 없어진 셈. 가성비 따지면 50만원대 PC에 메모리 오버클럭 추천.
갤럭시 노트2에서 안드로이드 4.3 업그레이드시 개발자 모드
- 갤럭시 노트2에서, 이번 4.3 업데이트 이후 개발자 모드가 숨겨져있다. [환경설정-더보기-디바이스 정보]로 가서 [빌드번호] 란을 계속 터치(10회 정도?)하면 개발자 모드가 활성화 된다. 디바이스 정보 바로 위에 있다.
개발자 옵션을 활성화한 화면
- 안드로이드 4.3 업데이트에서 달라진점 중 하나가 'OpenGL ES 2.0앱에서 4x MSAA 실행'이 가능해졌다는 점이다. OpenGL ES 2.0을 사용하는 앱에서, 이 옵션을 활성화 시키면 그래픽이 눈에띄게 향상된다.
4x MSAA 설정
팬택 폰 화면 캡처 방법
베가 아이언으로 해봤다.
스마트폰 사용 중에 (음량 키: 하), (전원 키) 동시에 길게 누르면 원하는 화면이 캡처됩니다. 캡처한 화면은 편집하거나 공유할 수 있으며, 홈 화면의 배경 화면 또는 연락처 사진등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라고 매뉴얼상에 되어있는데, 안됨. 그러다 되었다. ㅎㅁ
정말 '동시'에 '길게' 눌러야 함. 타사폰은 두개의 키를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눌러도 캡처가 되었는데, 이건 정말 두개의 키를 동시에 눌러야 한다. 느낌상 음량키 하를 더 빨리 눌러야 한다는 느낌. ㅎㅁ 그리고 바로 캡처 되는 것도 아니고 1초 정도(?) 텀이 있는 듯.
갤럭시의 모션 기능으로 캡처하는 버릇때문에 (손바닥으로 드래그하여 캡처) 편하게 쓰다가 이거 쓰려니 힘드넹. 만들어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