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AMD Kabini

소켓: AM1 (FS1b)
코어개수: 2~4
아키텍처: Jaguar
L2메모리: 1~2MB (16way assoc, shared)
메모리: DDR3-12800, 32GB, 싱글채널
지원: SSE4.2, AVX, AES, F16C, CLMUL, BMI, MOVBE, XSAVE/XSAVEOPT, LZCNT/POPCNT, AMD-V
미지원: FMA, XOP, TBM, FSBASE, GSBASE, LWP, RDRAND, INVPCID
기타: Memory Controller, PCIe 2, USB 3, Gigabit Ethernet, SATA3
TDP: 25W

4월9일에 AMD의 카비니가 런칭되었습니다. 카비니는 차세대 저전력 APU이자 SoC 입니다. Jaguar 아키텍처를 사용했으며, GCN기반의 그래픽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SoC이기 때문에 마더보드에 별도의 칩셋이 없습니다. 이때문에 mini-ITX 와 같은 작은 플랫폼에도 쉽게 사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sus AM1I-A



몇달전 나온 Kaveri 보다는 당연히 성능이 안 좋습니다만 25W라는 저전력은 저에겐 상당한 매력으로 보이네요. 성능도 그다지 낮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마더보드는 이미 개발 되어있습니다만 아직 우리나라에 수입되진 않았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sus AM1M-A. M-ATX 폼

글쓴시간
분류 기술,IT/모바일 라이프
갤럭시 노트2에서 젤리빈(4.3) 업그레이드시 충전 지연

- 인터넷 뒤지다 보면 4.3 업그레이드 후 폰으로 충전시 충전 시간이 느려진다는 말이 많다. 필자의 경우도 마찬가지. 충전기 끼우고 충전해도 배터리 게이지가 내려가는 경우도 있었다.

- 갤럭시시리즈의 경우 현재 충전 전류량을 보여주는 앱이 있다. 구글 플레이에서, "charging current" 로 검색해보면 무료로 사용 가능한 몇가지 앱이 나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Galaxy Charging Current Lite



- 이걸로 확인해보면, 아마 충전 전류가 매우 낮게 나올 것이다. 500mA이면 USB 에서 흘려주는 전류와 같기 때문에 충전이 매우 느리게 진행된다. 보통 1000mA 이상이 되어야 뭔가 빠르다는 느낌이 들 것이다. 필자의 노트2로 확인해보니 400mA가 나왔다. 물론 갤럭시노트2에 번들된 충전기를 사용했고 번들된 하얀 케이블을 사용했는데도 저렇게 나왔다.

- 케이블을 바꿔보면 잘 된다고 하는 글이 있으나 비용이 들어가므로 가장 마지막에 해볼 생각.

- 케이블의 접점을 닦아주고 잘 말려준 후에 사용해보면 충전 전류가 높아진다는 글을 보았다. 충전 단자가 별로 더러워 보이진 않기 때문에 일단 패스.

- 노트2의 [환경설정-더보기-배터리]에서, [남은 배터리 용량 표시]를 끄고 충전 하면 충전 전류량이 높아진다는 글이 있었는데, 정말 그렇다. ㅎㅎ 지금은 800mA 가 나온다. 만족할 만한 수치는 아니지만 400mA에서 두배로 뛰었다. 그래도 1500mA 는 되어야 하지 않남.

- 배터리 수명이 거의 다 되면 충전 전류를 낮춘다는 글을 보았다. 정말인지는 잘 모르겠음.

- 2014.06.01 추가: 케이블 바꾸자. 가장 확실하다.

- 2014.06.08 추가: 킷캣으로 업그레이드도 효과가 있는듯.
글쓴시간
분류 기술,IT/서버
하트블리드 버그(Heartbleed Bug)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트블리드


최근에 공개된 OpenSSL의 보안 버그입니다. 2014.04.07에 패치되었습니다. 제 웹 서버는 별 생각없이 패치했습니다만, 이거 의외로 심각한거 같네요. 전 보안 위험은 낮게 봅니다만 OpenSSL이 안쓰이는 곳이 없을 정도로 대중화된 라이브러리라 아마 대부분의 기기가 영향 받을것으로 보입니다.

OpenSSL에서 TLS/DTLS 규격의 하나인 heartbeat 를 구현하는 코드에서, 메모리 관련 경계 검사 오류(경계 확인을 하지 않음)가 존재하고, 공격자는 이를 통해 서버 메모리상의 임의의 주소에 있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고 합니다. 임의의 주소에 민감한 정보가 남아있으면 위험하겠죠. 하지만 아직 스크립트 키드들을 위한 툴이 발견된건 아닌거 같습니다. '하트비트' 버그를 이용한거기 때문에 일종의 패러디로 '하트블리드'로 이름 붙였네요.

OpenSSL 1.0.1 ~ OpenSSL 1.0.1f 까지 영향 받습니다. OpenSSL 1.0.1g를 받아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한 경우 하트비트 기능을 끄고 설치하라네요.

이 버그에 대한 전용 홈페이지까지 나와있는 상태입니다. CVE-2014-0160으로 등록되어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조만간 소프트웨어들 업데이트 있을테니 묻지 말고 패치하라는 겁니다. 특히 웹서비스 운영하시는 분들요. 시놀로지라는 NAS 업체도 자사의 DSM 솔루션을 이미 패치했네요.

----

2014.04.16 하트 블리드를 사용한 해킹 사례가 있네요. 하지 않으신 분들은 어서 패치해야 할듯 합니다.

http://www.zdnet.com/heartbleed-used-for-canada-revenue-agency-breach-7000028425/

----

2014.04.22 이 버그는 서버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도 영향 받습니다. 공격자가 가짜 서버를 만들어 클라이언트의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빼낼 수 있습니다. 영향받는 소프트웨어 중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도 있네요.

----

하트블리드 버그: http://heartbleed.com/
소스 변경 내역: http://git.openssl.org/gitweb/?p=openssl.git;a=commit;h=96db9023b881d7cd9f379b0c154650d6c108e9a3
시놀로지 하트블리드 보안 패치: http://www.synology.com/ko-kr/support/security_hotfix_dsm_5_0_4458_update_2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WGT624

NetGear 에서 발매한 802.11b, 802.11g 108Mbps 무선 라우터

사용자 삽입 이미지

Netgear WGT-624 v4 의 내부 구조. (원본출처 삭제됨)


당시에 10만원이 넘는 비싼 인터넷 무선 공유기였다. 나도 한대 샀음. 총 4가지 버전이 있으며, 내가 가지고 있는건 v2다

          WGT624                        WGT624v2                   
DATE      2003.07.01                    2004.03.17                 
CPU       Atheros AR2312A, AR2112       Atheros AR2313A,AR2112     
FCCID     PY3WGR614V2                   PY3WGR614V3                
Switch    Marvell 88E6060               Marvell 88E6060            
FLASH     2 MB                          Macronix MX29LV160ABTC 2MB 
MEMORY    16 MB                         Samsung K4S281632F-TC75 16MB
Firmware  4.2.11                        4.2.11                     


          WGT624v3                      WGT624v4                    
DATE      2005.03.29                    2007.08.06                  
CPU       Atheros AR2316                Atheros AR2318              
FCCID     PY3WGT624V3                   PY307100060                 
Switch    Marvell 88E6060               Infineon ADM6996FC          
FLASH     Macronix MX25L1605AMC-15G 2MB Macronix MX25L3205AMC-20G 4MB
MEMORY    Samsung K4S281632F-UC75 8MB   Samsung K4S281632I-UC75 16MB
Firmware  2.0.26_1.01                   2.0.13_2.0.15               



넷기어는 WGR614L(WGR614v8, 2008.06.30 발매)부터 서드파티 펌웨어를 제대로 지원해주기 위한 작업을 하기 시작했다고 본다. WGT624v4가 먼저 나왔지만 펌웨어 패키지가 공개되었고 사양도 유사하기 때문에 구형버전치고는 DD-WRT등의 서드파티 펌웨어가 있다. 지금은 MyOpenRouter 라는 사이트를 통해 지원하고 있다. 에혀.. v2를 v4로 안 바꿔주남. ㅎㅁ

----

넷기어 오픈소스: http://kb.netgear.com/app/answers/detail/a_id/2649/~/open-source-code-for-programmers-%28gpl%29
넷기어 텔넷 콘솔: http://wiki.openwrt.org/toh/netgear/telnet.console
넷기어 마이오픈라우터: http://www.myopenrouter.com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썬더버드 메일 메시지 복구

※ 메일 메시지를 실수로 삭제한 경우 복구 방법이다. 단 메일함을 '압축'하지 않은 경우에 한한다. 삭제한 이후 압축했다면 살릴 방법 없다.

※ 썬더버드는 메일을 삭제해도 실제 파일에서 지우지는 않는다. 대용량 메일함에서, 메시지를 삭제하면 다시 압축해야 하는데, 이 경우 속도에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압축'을 명시적으로 실행해야 실제로 메일함 파일에서 지워진다. 메일함을 선택한 후 압축을 선택하면 지운메시지들을 골라내 압축을 다시 한다. (반대로 메시지를 완전히 삭제하려면 '압축'을 선택해줘야 한다)

※ 메시지 복구 방법

- 메일함 파일을 찾는다. 메일함을 선택한 후 오른쪽 버튼-속성-일반정보-주소에 보면 mailbox:...처럼 되어있는데 뒤의 부분이 실제 메일파일이 있는 위치다. C:/Users/사용자명/AppData/Roaming/Thunderbird/Profiles/해시값/Mail/계정주소/편지함이름 의 형식이다.

- 썬더버드를 종료한다. 반드시 종료해야 한다.

- 편지함 파일을 연다. 작은 파일이면 '메모장'으로도 열 수 있으며, 파일 용량이 크다면 울트라에디트 같은 툴이 필요하다.

- 삭제한 메일 항목을 찾는다. 최근에 받은 메시지는 파일 뒤에 쌓인다. 원하는 메일을 찾은 후, 몇줄 위에 보면 X-Mozilla-Status, X-Mozilla-Status2 이 있다. 이 두가지를 모두 0이 아닌 곳을 0으로 변경한다.

X-Mozilla-Status: 0000
X-Mozilla-Status2: 00000000
....
Subject: FW: Mail Subject...

- 편지함이름.msf 를 삭제한다. 이 파일은 편지함 파일과 같은 디렉토리에 있다.

- 썬더버드를 실행한다. 자동으로 요약을 다시 생성한 후, 메일 함에 들어가보면 복구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메일 파일에서 삭제한 메일 메시지 제목을 찾을 때, 한글 제목은 보통 EUC-KR, Base64 인코딩 한 메시지로 찾을 수 있다. 어렵다면 메일을 받은 날짜 [Mon, 13 Jan 2014 00:00:00 +0900]문자를 찾아 볼 수 있다.

※ 메일파일의 크기가 크다면 텍스트에디터 보다는 바이너리 에디터를 사용해볼 수 있다. 공개중에는 HxD 가 쓸만하다.

----

HxD: http://mh-nexus.de/en/downloads.php?product=Hx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DD-WRT

DD-WRT는 독일의 NewMedia-NET 사의 오픈소스 라우터 소프트웨어다. 오래전 Open-WRT에서 파생되어 나온 프로젝트다. OpenWRT역시 LinkSys가 GPL에 따라 오픈 소스로 공개한 WRT54G 라우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오픈소스 프로젝트다.

DD-WRT는 오픈소스로 진행되고 있으며, 누구나 받아 설치할 수 있다. 단 지원사항에 제한이 있는데, 라우터의 메인 칩이 Broadcom, Atheros, Ralink 이어야 하고, 플래시 메모리가 4MB(Broadcom 칩을 사용한 경우 2MB)이상이어야 한다. 그 이하의 플래시롬을 가지고 있는 경우 용량이 부족해 지원을 하지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버팔로의 DD-WRT 기본 탑재 공유기 WZR-1750DHPD

사양이 좋은 고급 공유기들(보통 5만원 이상)에 대해 핵펌(해킹 펌웨어)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신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고, 각종 패치를 포함하기 때문에 성능이 좋아지고 관리메뉴가 많아지는데다, 모니터링도 고급 장비 못지 않게 지원한다.

한때 우리나라에서 DIR-615 시리즈가 불티나게 팔린 이유다. DIR-615는 DD-WRT를 지원하는 저렴한 공유기였다.

버팔로라는 일본 회사는 아예 처음부터 DD-WRT를 탑재해 판매하는 모델이 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다. 넷기어라는 미국 회사도 http://www.myopenrouter.com/ 을 통해 지원해주는 모델이 많다.

이번에 공유기가 뽀닥나는 바람에 새로 살까 생각중. 예산은 10만원 안팍. DD-WRT나 OpenWRT지원되는 것으로 살 예정이다. 2006년경 구매한 WGT-624 v2라는 제품을 찾아보니 DD-WRT가 TBD(To be done)로 되어있다. 문제는 몇년째 이런듯. 당장은 DD-WRT를 사용하지는 않겠지만, 보면 볼수록 맘에 드는 기능이 많아 이번에는 써볼 예정이다.

----

버팔로 DD-WRT 모델: http://www.buffalotech.com/products/wireless/open-source-dd-wrt
호환 가능 장치 보기: https://wiki.dd-wrt.com/wiki/index.php/Supported_Devices
호환 가능 장치 검색: https://dd-wrt.com/support/router-database/

----

2024.09.18 업데이트

WGT624v2 는 결국 업데이트 안되었다. 다른기기에서 DD-WRT 를 설치해 사용중이다.

TP-Link Archer C9 v3 DD-WRT 설치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액티브 엑스(Active X) 와 우리나라 웹 환경

우리나라 웹 환경에서 지나친 액티브액스 사용 때문에 문제가 된다는 글이 많습니다만, 이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써 그렇게 생각하진 않습니다. 공인인증서 체계는 보완할 점이 많긴 하지만, 나름 괜찮다고는 생각하고 있구요.

일반적으로 금융사이트, 쇼핑몰사이트에서 결제하기위해 설치하는 액티브 엑스들은 대부분이 보안 관련 프로그램들입니다. 웹 사이트 개발자들 입장에서는 현재도 액티브 엑스 사용하지 않고  결제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액티브 엑스 없이 금융 거래 가능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외국처럼요. 이게 액티브 엑스를 사용하지 않고 만들 기술이 없다는 게 아니니까요. 그냥 게시판 글 올리듯이 쉽게 계좌이체되고 결제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문제는 우리나라 PC환경에 있다고 봅니다. PC에 백신도 안 깔아서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다, 일반적인 보안 의식은 온라인으로 금융을 하기엔 아직 부족하니까요. 이런 상황에서 온라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는건 사실상 모험입니다. 겨우 게시판에 글쓰는 문제가 아니라는 겁니다. PC가 해킹되었고, 그로 인한 금융 사고는 금융사 책임이 아닙니다. 고객의 귀책사유기 때문에 금융사가 책임질 이유도 없구요. 문제는 이런 경우가 너무 많을 것이라는게 문제죠. 고객 책임이긴 하지만, 그런게 반복되고 사례가 쌓이다 보면 온라인 금융이 위험하다 라는 인식을 줄 수도 있으니까요.

그래서 백신 프로그램이나 보안 툴을 운영체제에 설치해야 하는데, 윈도 운영체제에서 웹사이트 방문만으로 보안툴을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은 액티브 엑스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하는수 없이 액티브 엑스 사용한겁니다.

아직 우리나라 웹 환경이 인터넷 익스플로러 기준으로 되어있네 마네 라고 떠들긴 합니다만, 웹상에서 윈도 운영체제에 보안 툴 설치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구요, 그거 없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엔 현실적으로 너무 위험합니다. 쉽게 말해 외국에서 보안 표준인 https 만 사용하기엔 사용자의 보안 의식이 너무 낮고, 그렇다면 해커들에게 우리나라 금융사의 고객들은 좋은 먹잇감이 되겠죠. 솔찍히 이런건 금융사 입장에선 고객 과실이니 상관 할 필요 없겠습니다. 액티브 엑스를 논할때 외국의 사례를 자주 드는데요, 이런 경우 (고객PC 해킹으로인한 금융사고) 외국의 기준으로도 기본적으로 고객 책임입니다. 게다가 한달에 적게는 수천만원, 많게는 수억원씩 들여가면서 보안툴 설치해주는건데, 이거 안하면 금융사도 이익일듯 싶네요.

외국에서는 금융사고 발생시, 금융기관이 해킹된게 아닌 이상 전부 고객 책임입니다. 단 외국에서는 고객의 비정상적인 사용에 대해 고지하고 확인해야할 의무는 있는것으로 알고 있고, 해킹도 여기에 포함되기 때문에 해킹에서 어느정도 고객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뿐입니다.

우리나라는 금융기관도 도의적인 책임이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해주는건 현재 금융기관의 몫이고 그 보안툴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으니까요.

액티브 엑스 없애자는 분들에게 되묻고 싶습니다. 보안 준비는 되셨는지요?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서버 정상화

이번에 약 일주일 동안 서버에 접속이 되지 않았는데요, 어제 오후부터 이제 정상화 되었습니다. 그동안 서버에 쌓였던 먼지도 털어주고 깨끗하게 닦아주고 맘에 안 드는 부품도 갈고 했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에 구매할 ITX 보드 후보 GA-J1900N-D3V. 아직 우리나라 출시 안되었다. 4코어 셀러론급이고 J1900 SoC를 사용한다.


서버 업그레이드 및 이전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빠르면 5월중으로는 가능할 것 같네요. 이전할 서버는 마련해 놨습니다만, 아직 맘에 드는 설정이 아니라 어떻게 바꿔볼까 이것저것 궁리해보고 있습니다. 어차피 대충 세팅해도 워낙 방문자 수가 적은 서버라, 서버 자원은 남고 남습니다만, 서버 환경은 계속해서 바뀌는데 정체된 느낌이라 이번에 돈 좀 들여서(한 30만원 정도?)라도 바꿔볼 생각입니다. 느리지 않은 서버는 튜닝할 필요 없다는게 제 신조입니다만, 쓸데없이 성능 타령하고 있네요.

텍스트 큐브도 성능상 좋은 점이 많다고 느낍니다. 왠지 부드럽게 돌아가는 것 같네요. 워드프레스와는 확실히 지향점이 다르네요. 저같이 이것저것 신경쓰기 싫어하는 사람들에겐 올인원 블로그 솔류션으로는 딱이니까요. 또한 텍스트큐브와 XCache의 궁합이 좋긴 좋은가 봅니다. 다른것도 테스트해봤습니다만 XCache가 잘 맞네요.

그래도 250여일 동안의 '업타임'을 날린건 좀 아쉽네요. '업타임'이란 서버가 켜진 후 지난 시간이라는 의미로, 업타임이 250일이란 의미는 250일동안 서버를 한번도 안 껐다는 의미입니다. 1년 채울 수 있었는데 아깝네요. 그래도 껐다 켜니깐 빨라지기도 했고, 메모리 누수 있던게 다 없어져서 좋긴 좋네요.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KT 해킹

홈페이지를 통해 1200만명 상당의 개인정보(주민번호, 결제계좌 포함)가 유출되었다고 합니다.

그렇다고는 합니다만, 이번 해킹에 대해 상당히 이해 안갑니다. 9자리 사용자번호만 무작위 입력하면 개인정보를 보여주는 페이지가 있고 그 페이지를 이용해 개인정보를 빼왔다고 하는데, 이런 방법은 어이없을 정도로 간단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킹에 사용했다고 알려진 파로스 웹 프록시



- 그 페이지 개발할때 무작위로 입력해 우연히 맞춘 번호에 대해서는 개인정보를 보여줘도 되는줄 알았던 건지요. 게다가 사용자 번호는 이용요금 명세서에 인쇄되어있는 정보라고 하네요. 즉 어느정도 '공개된 정보'라는 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로스 웹 프록시는 웹 서비스로 전달되는 모든 데이터를 보고 조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보안을 강화할 용도로 개발 되었다.



- 임의의 숫자로 조회했다면, 확률상 상당한 비율로 조회에 실패했을텐데, 9자리면 10^9 이고 천만이면 10^7이니 단순 계산으로 1000회중 한번꼴로 성공한 셈입니다. 정확한 계산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그건 제쳐두고요, 어쨌든 실패한 조회를 한 IP가 집중되어있었을텐데 이걸 눈치 못 챘다는게 이해 안가네요. 로그 확인 안하는 건가요. 개인정보를 조회한 경우 그 로그를 남기게 되어있는걸로 아는데요.

- 자세한견 상황을 지켜봐야겠습니다만, 좀 이해 안가는 구석이 많네요. 너무 쉽게 당했고, 상당히 허술한게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해킹이라고 부르기도 좀 민망한 수준입니다. 이정도면 그냥 제공해준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 정말 개인 정보는 공공재가 되겠군요.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텍스트 큐브 1.9

사용자 삽입 이미지

- 2014년 2월 27일에 발표되었습니다. 그리고 3월 2일에 1.9.1로 패치되었습니다. 저도 당장은 이것저것 보고 있습니다. 아마 빠르면 오늘중으로 업그레이드 하겠죠.

- 다른건 몰라도 PHP 5.4 이상 지원해주는 것이 저에겐 가장 크네요. 이것때문에 어쩔수 없이 PHP 5.3을 사용하고 있었으니까요.

- 기본에디터가 변경되었고, 새로운 관리UI와 새로운 스마트폰UI를 제공합니다. 기본에디터는 아예 타이니엠씨이(TinyMCE) 기반으로 싹 갈아 엎었네요. 처음에 적응 안되겠네요.

- 요즘 워드프레스도 테스트하고 있는데요, 텍스트큐브와 워드프레스는 약간 다른 맛이 있습니다. 둘다 설치형 블로그 어플입니다만, 텍스트큐브와 워드프레스는 지양하는 바가 다르네요. 워드프레스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있었습니다만, 일단 써보니 생각했던것과는 좀 다르네요. 구체적으로 어떤거였는지는 이후 포스팅할 생각입니다.

- 일단은 이 블로그는 워드프레스로 바꾸지 않고 텍스트큐브 그래도 갈 생각입니다. 그러다 텍스트큐브 업그레이드 안되면 또 바꿀까? 라는 글을 쓰겠죠. ㄲ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