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팬택 폰 화면 캡처 방법
베가 아이언으로 해봤다.
스마트폰 사용 중에 (음량 키: 하), (전원 키) 동시에 길게 누르면 원하는 화면이 캡처됩니다. 캡처한 화면은 편집하거나 공유할 수 있으며, 홈 화면의 배경 화면 또는 연락처 사진등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라고 매뉴얼상에 되어있는데, 안됨. 그러다 되었다. ㅎㅁ
정말 '동시'에 '길게' 눌러야 함. 타사폰은 두개의 키를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눌러도 캡처가 되었는데, 이건 정말 두개의 키를 동시에 눌러야 한다. 느낌상 음량키 하를 더 빨리 눌러야 한다는 느낌. ㅎㅁ 그리고 바로 캡처 되는 것도 아니고 1초 정도(?) 텀이 있는 듯.
갤럭시의 모션 기능으로 캡처하는 버릇때문에 (손바닥으로 드래그하여 캡처) 편하게 쓰다가 이거 쓰려니 힘드넹. 만들어주지.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장치간 통신(D2D, Device To Device), 사물간 통신(M2M, Machine To Machine)
다른 말이지만 지향하는 건 결과적으로 동일하다. 가장 최근에 통용되는 말이 IOT다. 모든 사물에 주소를 심고 가벼운 통신 칩을 심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는다는게 핵심이다.
모든 기기에서 인터넷이 되게 하는건 마음만먹으면 모두 가능했지만 문제는 비용이다. Ehternet, Wifi를 이용하던가 3G/LTE같은 기술을 장치에 심어야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PC나,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밖에 없었다. Bluetooth가 나와 장치와 장치를 연결하게 해줬지만 인터넷과는 거리가 멀었다. RFID가 나오면서 저렴하게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었지만 역시 인터넷과는 거리가 멀었다. 10000원짜리 물건에 20000원짜리 이더넷 모듈을 탑재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 말이다. 그리고 이런 기기에 IP를 설정할 수 있도록 버튼을 만들고 화면을 만드는건 더 많은 비용을 요구했다.
하지만 IOT는 그보다 더 저렴하게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IOT라는 말은 1999년 캐빈 애시톤이라는 사람이 만든 말이지만, 완성된 기술이 아닌 이제 시작인 기술이다. 하지만 이젠 매우 저렴한 가격에 이것을을 연결해줄 수 있는 날이 올 것으로 생각한다.
사물에 아예 IP를 넣어서 출시하는 것이다. 최소한 설정을 위한 장치가 빠지고 칩 하나로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칩하나로 두 기기가 서로 통신하게 만드는게 아니라 인터넷에 연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많은 IP가 필요한데 이는 IPv6의 등장으로 가능해졌다.
IOT설명한 곳에서 IOT를 만드는 목적인 '가격'을 안 써놓은 곳이 많아 답답해 쓴 글이다.
HP Photosmart 7520
- 결국 이걸로 구매. 23만냥. ㅎㅎ
-제어패널이 터치라 좋긴 하다만, 어차피 처음 설정할때만 잠깐 쓸꺼라 이렇게까지 만들 필요 있었나 하는 생각도 듬. 감압식 터치패널이다.
- 인쇄, 스캔, 복사, 팩스, 웹 이 된다. 가장 좋은건 WiFi지원이라 선 하나가 줄었다는 거. 반드시 프린터를 컴퓨터 옆에 둬야 할 필요는 없으니 편하다. 그래도 와이파이 잘 터지는 곳 근처에 둬야 하는 제약은 있지만 말이다.
- 애플 AirPrint 를 지원하기 때문에 그부분은 나름 쓸모 있을지도. 당장은 iPad2뿐이라 쓸일은 없지만 말이다. 안드로이드 기반에 바로 프린트하는건 별도의 ePrint 앱을 설치해 사용할 수 있다.
- 그래도 포토 프린터라 사진 출력은 수준급. 전용 용지로 프린트 하는것도 수준급. 하지만 집에있는 소니 포토 전용 프린터보다는 안 좋다. A4를 넣을 수 있는 용지함과 포토 용지를 넣을 수 있는 덮개가 있는 용지함이 준비되어있다. 용지 크기를 선택해 프린트 하면 프린터에서 알아서 어느 용지함에 있는 종이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해준다.
- 포토 전용 용지(4x6) 출력은 약간 아쉽지만, 가격이 소니의 그것에 비해 매우 싼 편이니 나름 만족. 하지만 색감이나 품질은 큰차이 없는것으로 보인다. (자세히보면 다른게 보이긴 한다) 물론 소니의 염료승화형 프린터는 비싼대신 마지막에 사진을 코팅해주기 때문에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다.
DIR-815Wireless N300 Dual Band Router
국내 정발된 DIR-815에 영문 펌웨어 1.04 를 입힌 화면.
iPad Air
애플이 5세대 아이패드인 아이패드 에어를 발표했습니다. 다음달 초부터 판매 할거라네요.
iPad Air
이번 아이패드 5세대의 가장 큰 특징은 얇고 가볍다는 점입니다.
iPad2 iPad4 iPadAir iPhone5s
두께 8.8mm 9.4mm 7.5mm 7.6mm
무게 613g 662g 478g 112g
iPad Air 에서 두께를 줄이기 위한 노력
Netgear ReadyNas Duo RAIDiator 4.1.12 업그레이드
※ 이미 Netgear ReadyNas Duo 제품은 단종되었고, 나온지 4년 쯤 된거 같은데요, 그래도 꽤 오래 지원해주네요.
ReadyNAS Duo의 후속제품인 ReadyNAS 102. 가격은 전과 비슷한 26만원.
※ 이번 펌웨어 업글은 거의 필수라고 보여집니다. 윈도8에서 SMB규격이 약간 변경되었는데, 그걸 지원해주는거 같네요.
※ 구체적인 업그레이드는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Updated CIFS service to address security issues.
Updated DLNA service to address security issues.
Updated iTunes service to address security issues.
Updated AFP service to address various issues.
Fix a couple DLNA scanner crashes with certain types of media files.
Fixed Frontview display issue with German umlauts.
Improved DLNA operation with newer Sony devices on MKV and AVI files.
Updated Frontview to fix security issues.
Updated SMB client to make backup jobs from Windows 8 clients work properly
※ 지금 전 Duo를 사용하지 않습니다만, 그래도 한번 찾아봤는데, 역시나 아직까진 지원 해주네요. 넷기어가 그래도 펌웨어 지원은 잘 해주는 편이었으니까요.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성능이 좋지 않아 인기 없는 넷기어 NAS를 구매 대상 목록에 포함만 시키고 있는거겠죠. 전 성능은 기본만 나오면 별로 신경 안씁니다만 말입니다.
----
4.1.12 릴리즈노트: http://www.readynas.com/?p=6999
4.1.10 릴리즈노트: http://www.readynas.com/?p=6577
Netgear ReadyNas Duo 업그레이드 방법: http://windy.luru.net/1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