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탭을 사려는 이유중 하나가, 앱 위주로 할게 아니라, 웹 위주로 사용 할 것이기 때문이다. 어차피 앱은 모두 웹 기반으로 가게 되어있는데 그러려면 화면이 크고 해상도가 좋아야 한다.
---
[엡]이 아니라 [앱]이다. 앱은 애플의 앱스토어에서 처음 사용한 단어다. Apple과 Application의 첫 3글자가 동일해서 혼동하는데, [애플스토어]지 [어플리케이션스토어]가 아니다. 이게 다른 곳에도 그대로 사용된 것일 뿐이다. 물론 다른 벤더에서의 앱스토어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지만 말이다.
일단 미국은 용인하는거 같고, 유럽은 크게 반발하는 모양새입니다. 미국과 유럽측에 사정 통보는 없었다네요.
태국과 싱가폴은 자국 통화가치 상승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할까 말까 고민중이었는데, 일본이 먼저 개입했으니 자국의 개입 근거를 마련한 거 같아 내심 좋아하는 분위기네요. 중국도 위안화 절상의 방어수단으로 활용하겠죠.
외환당국의 개입으로 인해 달러당 83엔에서 달러당 85엔으로 뛰었습니다. 결과적으로 100엔에 1350원대이네요. 개입 이전엔 1400원대 였죠. (원-엔 환률이란건 원래 없습니다. 원과 엔을 직접적으로 거래하지 않으니까요. 단지 원-달러, 달러-엔 환률이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겁니다) 2008년 말까지만 해도 800원대였죠. 지금은 1350이니 상당히 올랐네요.
좀 떨어져야 한다고 생각중. 카메라값이 너무 올랐음. 울나라 수출에 타격이 없는 선에서 낮아지는게 좋을 듯. ㅎㅎ
- TKIP(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무선 네트워크의 암호화 방법. WEP를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가능하다. 암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암호를 알아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다.
- CCMP(CCM mode Protocol):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기반의 CCM(Counter Mode with CBC-MAC) 블록 암호화 방법중 하나.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한다. WEP2를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만 사용가능하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 중에 가장 강력하다.
- WDS(Wireless Distribution System): 음영지역을 없애기 위해 AP를 두어 중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었다. '브릿지'라고도 한다.
- WPS(Wi-Fi Protected Setup): 무선 랜에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만든 규약. PIN이나 PBC기반이다. 설정 메뉴로 들어가 SSID와 암호를 입력하는 것 보다, 무선 공유기와 랜카드의 버튼 한번씩 눌러주는게 더 편하다.
- 지향성,무지향성: 지향성은 전파가 특정한 방향(전면 120도)으로만 전달되는 것을 의미하고, 무지향성은 모든 방향으로 전파가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 dbi: 무선에서는 안테나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다. 보통 5dbi이하면 저가형, 5dbi이상이면 고급형 안테나로, 가격차이도 2배 이상이며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단위는 2의 지수승이기 때문에, 1의 차이도 실 수치에서는 꽤 크게 나온다. 수치가 높을 수록 더 멀리 전파가 전달된다. 자세한건 전자기학을 배워야 하기 때문에 생략.
무선쪽이 많이 발전했네요. 특히 [Wi-Fi Direct]는 작년에 나온 기술인데, 슬슬 활성화 되어가는 기술중 하나입니다. 블루투스를 따라잡기에는 아직은 조금 역부족이긴 하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