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nVidia GT430

출시: 2010.10.11
GPU: GF108,40nm
MEM: 128bit,DDR3,1GB
API: DirectX 11,OpenGL 4.0,OpenCL 1.1,CUDA 2.1(코어96개)
TDP: 49W

사용자 삽입 이미지

nVidia GT430. 기판이 GT220틱 하다.



이제 nVidia 도 저가형 하나만 내놓으면 Geforce 400 시리즈의 라인업이 완성되겠네요.

현재 GT430의 가격은 10만원정도로 예상됩니다. GT240이 10만원정도됩니다. 현재 GTS450은 16만원 정도입니다. 430이 초기가라는걸 감안해도 가격은 그저 그런 수준이네요. 일단 GT240보다 성능이 안 좋습니다. (아무리 최신 API를 지원한다해도 게임에서 프레임 레이트 떨어지면, 게임용으로는 별로입니다. 게다가 벤치결과만 보면 다이렉트11 게임에서는 프레임이 더 떨어지네요) 내심 240보다 싸게 나올걸로 기대했는데요.

----

아내가 빨리 스타2를 사라고 한당. ㅎㅎ 요환이도 스타2로 전향했는데, 기사 나오면 뭔소린지... ㄲㄲ 울집 모니터가 1920*1200 이니 GTX460 이상을 사야 쾌적하게 돌리는데 그냥 450사야할듯. 어디 하늘에서 돈 안떨어지남...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스턱스넷(Stuxnet)

스턱스넷(Stuxnet)이라는 윈도우 웜(바이러스의 일종)때문에 전 세계가 난리다. 스턱스넷이라는 이름은 웜 안에 이런 이름을 가진 단어가 많기 때문에 지어졌다. 단순한 웜이지만, 이 웜이 하필이면 SCADA소프트웨어에 루트킷을 심어놓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SCADA란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의 약어로, 일종의 산업용 원격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이다. 산업용 장비가 잘 돌아가는지 확인하고 잘 안돌아가는 경우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다. 스턱스넷은 지멘스라는 회사의 SIMATIC WinCC과 SIMATIC PCS 7이라는 SCADA 소프트웨어에 루트킷을 심는다고 한다. 그렇다면 SCADA소프트웨어와 연결된 산업용 시스템의 운용은 해커의 손에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CADA 소프트웨어 샘플 (http://www.integraxor.com/screens.htm)

웜은 윈도우의 CPLINK(MS10-046, 바로가기 관련된 취약점)외 3가지 제로데이 취약점을 사용했다. 2010.07에 발견되었고, 2010.08.02에 패치가 발표되었다. (하지만 최소 활동 시점은 2009년 중반부터로 추정된다) USB드라이브에 바로가기를 생성해놓고 취약점을 이용해 어드민 권한을 획득한다. 취약점이 발표되자 마자 웜이 발생했으니 제로데이 공격인 셈이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지멘스는 한때 바뿐 나날을 보냈다고 한다.

스턱스넷을 조사하던 도중 재미있는 것이 있었는데, 주로 이란의 원자력 발전소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감염되어있었다고 한다. 기술적으로 스턱스넷은 상당히 잘 만들어진 웜이라고 한다. 4가지의 제로데이 취약점, 2개의 디지털 서명(드라이버설치를 위해, 리얼텍 세미컨덕터와 제이마이크론 테크놀러지)탈취. 그리고 SCADA의 탈취. 이것은 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산업용 소프트웨어를 노린 최초의 성공한 웜인 듯. ㅎㅁ 원자력 발전소를 노리다니, 무섭네요. 발생한지 두달이 됐는데도 회자되는 걸 보면 쉬운 상대가 아닌가보네요.

----

지멘스의 보안 권고: http://support.automation.siemens.com/WW/llisapi.dll?func=cslib.csinfo&lang=en&objid=43876783&caller=view
CPLINK 취약점: http://www.microsoft.com/technet/security/advisory/2286198.mspx
시만텍의 스턱스넷 분석 보고서 v1.3: http://www.symantec.com/content/en/us/enterprise/media/security_response/whitepapers/w32_stuxnet_dossier.pdf
글쓴시간
분류 기술,IT/이어폰
Bose® IE2 audio headphones(보스 인이어2 오디오 헤드폰)

사용자 삽입 이미지

Bose® IE2 audio headphones


Bose® MIE2 mobile headset에서 휴대전화 통화기능(마이트, 통화버튼)을 뺀 이어폰. 나머지 기능은 동일하다. 사진에 나와있든 이어팁의 모양이 특이하다. 착용감을 더 좋게 만들었다고 한다. 물론 오리지널 이어팁도 제공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세기HE에서 수입해 판매하고 있다. 가격은 14만원 선.

----

Bose® in-ear headphones: http://windy.luru.net/417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검색 엔진 점유율

이 블로그의 검색 엔진 점유율: 네이버가 85%, 구글 10%, 다음 4%, 그리고 나머지.
또다른 IT 사이트의 검색 엔진 점유율: 구글 77%, 네이버 21%, 그리고 나머지.

사이트의 성격에 따라서 검색엔진 점유율이 차이가 있는 듯 하다. 이런게 이와 관련된 통계를 전적으로 신뢰하지 않는 이유중 하나다.

블로그의 통계는 아직 17인치 모니터를 사용하는 사람이 절반이 넘고, 윈도XP를 사용하는 사람 역시 절반이 넘는다. 아직도 XP점유율이 안 내려간거 보면 신기. 기업쪽에서는 아직 많이 사용하남.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케이스 구매 기준

- ATX, mATX 폼 팩터 M/B 지원
- ATX PSU 장착 가능
- 전면 흡기 쿨러, 후면 배기 쿨러 장착 가능
- 각 쿨러의 크기는 80mm이상
- 흡기 먼지 필터
- 전면 쿨러의 바람이 불어와 하드디스크 장착부위를 식혀줘야 함
- 전면 USB단자 2개 이상
- 마더보드 장착시 팬 장착을 위한 CPU 후면 홀
- 250mm이상 VGA 장착 가능
+ 배선 정리 가능한 홀
+ 파워 서플라이는 하단 뒤에 장착
+ 하드디스크 측면 장착
+ 120mm 팬 사용 가능
+ 전면 eSata, 전면 1394a
+ 측면 팬 및 먼지 필터

- : 필수
+ : 옵션

5만원 이상 케이스가 보통 이런 기능 가지고 있음. 5만원 가격대에 위 사양을 전부 만족하는 케이스는 없다고 생각 (내가 못 찾은것일 수도 있음), 아래 케이스들은 대체로 만족하는 편.

지엠씨       H-80 풍III 250mm Ver2.0     7.8만원
쓰리알시스템 K100 V3 김일백              4.7만원
쓰리알시스템 R120 V3 탑모델              6.4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