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Because of you - 김보경
원래 켈리 크락슨(Kelly Clarkson)의 데뷔곡이었는데 엠넷의 [슈퍼스타 케이2]에서 김보경이 부른 곡. (이전까진 켈리 크락슨은 모르는 가수였음)원곡보다 나은듯. 이정도 실력인데 왜 우승 못했는지 좀 의아하기도 함. 가창력 좋지, 외모도 괜찮은 편이고, 소녀가장까지면 우승감 아닌감. TOP 11결정전에서 탈락이였다뉘. 심사평 들어보면 쉽게 말해 새로운 노래에 대한 적응이 부족하다, 프로라기엔 좀 부족하다는 의미인데 슈퍼스타케이가 그런 프로인감. 쩝.
김보경은 9월 3일에 한 TOP 11결정전(이때는 2절만 부름)말고 10월 15일에 다시 불렀다. '핫 이슈'상을 수상했다고 한다. 심사위원이었던 엄정화를 울렸으니 그랬을듯. 아래 영상은 어제 부른 곡.
갤럭시탭 출시 연기
10월 14일 프레스 데이를 가지고 출시할 예정이었던 갤럭시 탭이 연기되었네요. 충분한 어플이 준비되지 못했다고 합니다. 다른 이유, 예를 들면 어플 호환성이라던가 보조금 지금 규모때문인지는 안 나와있습니다. 가격이라도 알려주면 기다릴지 포기할지 결정할텐데요. 끄긍.
11월에나 출시된다고 합니다. 그럼 아이패드가 출시될텐데요. 일단 문명하고 스타 2나 사서 하면서 기다려야겠네요. ㄲㄲ
안드로이드 코드명(Android Codenames)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로고
코드명 버전 리눅스버전 API레벨
A Apple Pie 1.0 ? 1
B Banana Bread 1.1 ? 2
C Cupcake 1.5 2.6.27 3
D Donut 1.6 2.6.29 4
E Éclair 2.0,2.1 2.6.29 7
F Froyo 2.2 2.6.32 8
G Gingerbread 2.3 2.6.35.7 9,10
H Honeycomb 3.0,3.1,3.2 2.6.36 11,12,13
I Ice Cream Sandwich 4.0 3.0.1 14,15
J Jelly Bean 4.1 3.0.31 16
J Jelly Bean 4.2 3.4.0 17
J Jelly Bean 4.3 3.4.39 18
K KitKat 4.4 3.10 19,20
L Lolipop 5.0,5.1 3.16.1 21,22
M Marshmallow 6.0 3.18.10 23
N Nougat 7.0,7.1 4.4 24,25
O Oreo 8.0,8.1 4.4 26,27
P Pie 9.0 4.4 28
Q Quince Tart 10.0 4.9 29
R Red Velvet Cake 11.0 4.14 30
S Snow Cone 12,12L 4.19 31,32
T Tiramisu 13 5.4 33
U Upside Down Cake 14 5.10 34
V Vanilla Ice Cream 15 6.1 35
W Baklava 16
- 코드명을 A-Z까지 사용할 생각인듯. 코드명은 간식거리 이름이었으나, Q 버전부터는 그냥 알파벳 코드를 사용한다. 안드로이드 1.0 과 1.1은 일반인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구글도 이 버전에 대해 적극적인 홍보를 하지 않았다)
- 코드명은 새로운 버전이 나오면 계속 추가해 나갈 예정이다.
- 구글 회사에는 간식거리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하는데, 아직 가보진 못했다.^^ 코드명으로 사용된 이름에 해당하는 간식은 전부 구글에서 파는게 아닐까 생각중이다.
- 구글을 처음 설립할 때, 창업자들이 창고를 빌려서 구글 검색 엔진을 개발했는데, 창고 주인의 냉장고를 털어서 배를 채웠다는 일화가 있다. 집 주인은 현재 구글의 이사라고 한다. ㅎㅁ 아님 말고.
- 안드로이드 10부터는 코드명에 디저트이름을 붙이지 않는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디저트이름의 코드명을 사용하고 있어 이걸 코드명으로 적었다. 안드로이드 16부터는 디저트이름도 순서대로 가지 않는다.
- 안드로이드 8 부터 사용 가능한 리눅스 커널 버전이 여럿있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S는 4.19, 5.4, 5.10 버전을 사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8"에서 8 은 플랫폼 버전을 의미한다. 위의 도표에는 가장 작은 버전을 적었다.
강릉 지도(출처: 네이버)
코로나 물질 방출(Coronal Mass Ejection, CME)
태양(출처: NASA)
평상시에도 태양의 분출 물질이 지구에 도달하고, 지구 자기장이 일종의 막을 형성해 이 물질들을 막아낸다. 그래서 지구 자기장이 약한(막이 얊은) 극지방에서나 오로라(태양의 분출 물질과 지구의 대기가 만나 생기는 발광 현상)를 볼 수 있지만, CME의 경우 훨씬 많이 빠르게 오기 때문에 고위도 지방에서도 오로라를 볼 수 있다. CME의 주된 물질은 전자와 양성자로 된 방사성 물질이기 때문에 생명에 해롭다. 지구 자기장이 태양으로부터 우리 생명을 지켜주는 셈이다.
지구자기장이 태양 분출물을 막는 모식도 (출처: 위키피디아)
이게 지구에 쏟아지면, PC에서는 메모리 오류가 많이 일어나 (ECC 메모리를 사용하는 서버급은 어느 정도 버팀) 다운 되는 현상이 잦고, 배선에 이상이 생기기 때문에 서지로 인해 전자기기가 망가지기도 한다. PC쓸 때는 이런거에 대비해야 한다. 그외에 통신기기에는 치명적이다.
믿을 만한 지구 멸망 시나리오중 하나가 바로 CME와 같은 태양 표면의 폭발이다. CME의 폭발이 지구까지 오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노잉(Knowing, 2009)이라는 영화에서 지구가 멸망하는 원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