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아이패드2 인코딩(iPad2 Encoding)

※ 다음팟 인코더에서 화면 안짤리게 하고 인코딩해 넣는 중. 용량이 너무 크다. 동영상 10여개 넣었는데 30GiB 사용중임. ㅎㅁ 어쨋든 아기를 위해서는 필요한 최소한의 동영상은 인코딩해서 넣어야 한다.

※ 아이패드2에서 기본 지원되는 동영상 코덱은 아래의 3가지다. 동영상 플레이 10시간이라는 이야기는 아래의 코덱으로 인코딩 된 동영상을 볼 때 가능하다. 최근업데이트된 iOS 5를 설치하면, 1080p 규격도 지원한다.

- .m4v, .mp4, .mov 형식: H.264 (720p, 30fps) Main Profile level 3.1, AAC-LC 오디오 (채널당 160 Kbps, 48kHz, 스테레오)
- .m4v, .mp4, .mov 형식: MPEG-4 (2.5 Mbps, 640 x 480, 30fps), Simple Profile, AAC-LC 오디오 (채널당 160 Kbps, 48kHz, 스테레오)
- .avi 형식: Motion JPEG (35 Mbps, 1280 x 720, 30 fps), PCM 스테레오 오디오

iOS 5 업데이트(2011.10.12)
- .m4v, .mp4, and .mov 형식: H.264(1080p, 30fps) High Profile level 4.1, AAC-LC 오디오 (채널당 160 Kbps, 48kHz, 스테레오)

∴ 최근에 업데이트된 H.264 하이 프로파일 사용한게 가장 용량이 작고 화질도 좋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사용하는 다음 팟 인코더 설정. iPad2 iOS 5 용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사용하는 다음 팟 인코더 설정 (고급옵션). iPad2 iOS 5 용

※ AAC-LC: Advanced Audio Coding - Low Complexity 의 약어. AAC는 MP3와 유사한 손실 압축 코덱이며, MPEG 2와 MPEG 4스펙의 표준이다. 동일 비트 레이트에서는 MP3보다 음질이 좋다고 알려져있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iPad2 충전

다음 3가지 중 하나를 만족시키면 된다.

1. 포함된 10W USB 어댑터를 사용해 충전
2. PC의 '고전력 USB 포트'에 연결
3. PC의 표준 전력 USB 포트에 연결하고 iPad를 잠자기 모드로 전환

'고전력 USB 포트'란 iPad 충전이 가능한 USB포트를 말한다. 표준보다 1.5~2배 정도 출력이 세다. 표준이 2.5W이니 고전력은 3.75W~5W 정도 되는 셈이다. ASUS 마더보드의 경우 Ai Charger 기능을 가진 마더보드에 해당된다.

표준 USB 포트라면 iPad를 꺼야 충전된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ASUS P5G41T-M LX

사용자 삽입 이미지

ASUS P5G41T-M LX

- LGA775 G41 마더보드 하나 구매. 메모리도 DDR3-1333 30nm 급으로 4G, 2개 구매.

- DDR3-1333 을 지원하긴 하지만 OverClock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바이오스에서 강제로 세팅해야 함. 어쩐지 느리더라. (참고로 G41 칩셋은 공식적으로는 DDR3-1333 을 지원하지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SUS P5G41T-M LX DDR3-1333 세팅후 CPU-Z 캡처


- 설정 방법은 바이오스 들어가서 Advanced -> JumperFree Configuration -> DRAM Frequency 을 수동으로 설정하면 된다. 필자의 경우 1333MHz 로 설정했다. (CPU 가 FSB 333 을 지원하기 때문에, FSB x 4 까지 지원된다) 물론 메모리가 DDR3-1333 을 지원해야 한다. (메모리를 오버클럭하는 옵션이 아니라, 메모리 컨트롤러를 오버클럭하는 옵션이다. G41 칩셋은 공식적으로 DDR3-1066 까지만 지원한다) 또한 발열이 제법 많아 지기 때문에 케이스 내부의 쿨링에도 신경써야 한다. 조금 달리 말하자면, 1333MHz 으로 설정한다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 아니다. 발열 이슈가 있다.

- LGA 775는 이제 끝물이라 더이상 사지 말아야 하는데, 기존에 쓰던 마더보드 고장나서 어쩔수 없이 구매했다. 샌디브릿지로 바꾸려면 CPU살 돈도 나가기 때문에, 게다가 아이비브릿지를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마더보드만 산거다. 근데 사다보니 메모리까지 사게 되었다. ㅎㅁ 어쨌든 이걸로 2~3년 버텨야 할텐데 말이다.

P5G41T-M LX   6.2만
DDR3-1333 4G  3.9만 * 2

http://www.asus.com/Motherboards/Intel_Socket_775/P5G41TM_LX/

기존에 쓰던 마더보드: ASRock G41M-LE

----

2023.02.17 추가

이걸 12년째 사용하고 있을 줄이야... 고장이 안난다. ㅡ,.ㅡ

----

2024.02.23 추가

13년째 사용중이다. CPU만 Q9550 으로 바꿨다. 생생하게 잘 돌아가서 아직까진 현역이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SevenTeam ST-250MAK

- mATX 파워가 하나 필요했는데, 마침 벌크로 싸게 팔길래 구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evenTeam ST-250MAK

※ 스펙
● Output Capacity: 250Watts Continuous
● Provide Single +12V rails, output current is 16A
● Pass 0~50 Ambient Temperature Test
● Low Ripple & Noise
● 80mm Low-Noise Fan
● Dimension: 100* 125 *62.5mm
● Life expectancy: MTBF >100,000 hours
● Multiple Protections Function:(OCP、OVP、UVP、OPP)
● Safety Approvals:CE, TUV, CB, UL, FCC and BSMI

※ 출력 스펙

          +5V +12V -12V +3.3V +5Vsb
MIN         1    1    0     1     0
NOM         9    8  .25   8.5     1
MAX        18   16   .5    17     2

- 세븐팀이라 좋긴 한데, 왠지 발열 좀 있는 듯. 근데 조용한거 보면 신기함.

- -12V가 있다는 건 오래전에 설계된 파워라는 의미. 현재의 컴퓨터 컴포넌트는 -12V를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재미있는건, 요즘의 마더보드도 스펙상 -12V를 공급해주도록 되어있다. 사용하지도 않으면서 왜 공급하라고 하는지 이해가 안감)

- 전기를 많이 먹는 외장 VGA는 당연히 사용하지 못한다. (적게 먹는 외장 VGA는 그럭저럭 사용 할 수 있을 듯) 물론 M-ATX 파워를 사용하는 미니 PC에, 이런 VGA를 사용하지는 않겠지만 말이다.

- 현재 저 파워를 이용해 만든 필자의 PC는 최대 130W 정도 소비할 것으로 예상되니 스펙 이하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Wolfdale 과 SandyBridge 의 L2, L3 캐시 비교

일단 이론상이며, 필자의 생각이다. 인터넷에 딱히 비교해 놓은 글을 찾지는 못했다.

Yorkfield 는 Core 2 Quad Q9650 을 기준으로 하고,
SandyBridge 는 Core i7 2600 을 기준으로 했다.
모두 쿼드코어다.

※ L1, L2, L3 캐시 스펙

           Yorkfield  SandyBridge
---------------------------------
Cores              4            4
L1 Inst.     32K × 4      32K × 4
L1 Data.     32K × 4      32K × 4
L2            6M × 2     512K × 4
L3                 -           8M
---------------------------------
L1 Latency         3            3
L2 Latency        16            8
L3 Latency         -           25

※ 스펙 읽기

- 첫번째로 중요한건 용량이다. 일단 용량에서 [6M × 2] 와 [12M]은 다른 의미다. [12M]으로 되었다면 각각의 코어가 [12M]의 모든 영역에 접근가능하다는 의미고, [6M × 2]이라면 총 [12M]가 있지만, [6M]씩 분리되어있다는 의미다. 분리 안된게 더 좋다. 왜냐면 하나의 코어에 캐시 영역을 몰아줘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6M × 2]보다 [12M]이 캐시의 운용성 측면에서 훨씬 더 좋다.

- 두번째로 중요한건 캐시의 속도다. Latency 가 작을수록 좋은데, L1의 경우 3으로 동일하지만, L2부터는 큰 차이가 난다. SandyBridge는 용량이 작은 대신 두배 더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다. L3캐시는 샌디브릿지 시스템에만 있다.

- 결론: L2, L3캐시만 비교하자면 거기서 거기다.

----

CPU L1, L2, L3 캐시 http://windy.luru.net/1120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아이클라우드(iCloud)

클라우드 서비스가 대세인가 봅니다. 구글에 이어 애플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금'부터 '무료'로 제공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6월 6일 샌프란시스코 (현지시간)에서 열린 WWDC(Apple WorldWide Developers Conference)에서, 애플의 CEO 스티브 잡스가 직접 발표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Cloud Logo

기본 개념은 타사의 클라우드와 비슷합니다. 중앙 서버에 저장소를 놓고 인터넷을 통해 저장 공간을 제공하겠다는 거죠. 아이패드 16GB를 사용하던 64GB를 사용하던 상관없어집니다. 아니 iOS만 설치해 부팅할 정도만 되면 더이상 큰 용량을 가진 저장장치가 필요 없어지는 거죠. 물론 이렇게 되는 경우 인터넷이 안되면 아무것도 못하게 됩니다만, 그건 전기가 끊기면 아무것도 안되는 걸 걱정하는 것과 같습니다. 인프라니까요. 바꿔 말하면 헨드헬드 기기의 혁명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전 제 컴퓨팅 생활에 있어 클라우드 서비스가 절대적으로 차지하도록 하지는 않을 생각입니다. 위험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그리 크리티컬 하지 않은 서비스라면 상당수 이용할거 같네요.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컴퓨터 견적 2011.06

※ 메인PC급(80만원)
                                                2011.06    전월대비
에이엠디 페넘II-X6 1075T(95W)                    199000      ↓5000
아수스 M4A87TD EVO                               126000      ↓7000
삼성 DDR3 4G PC3-10600                            39000 × 2 ↓3000
조텍 ZOTAC 지포스 GTX550 Ti AMP! Edition D5 1GB  183000      ↓7000
웨스턴디지털 SATA3 500GB Caviar Blue WD5000AAKX   40000      ↓1000
파이오니어 DVD/CD Writer DVR-S19FXV               38000      ↓2000
쓰리알시스템 L-600 브이렉스 주니어                48000        신규
시소닉 S12II-430 브론즈                           84000      ↑3000
-------------------------------------------------------------------
3.0㎓×6,8GiB,500GB,USB3,DVD-Multi,430W          796000      ↓4000

※ 세컨PC급(50만원)
                                                2011.06    전월대비
에이엠디 애슬론II-X4 645                         105000      ↓1000
아수스 M4A88TD-V EVO/USB3                        139000           -
삼성 DDR3 4G PC3-10600                            39000 × 2 ↓3000
웨스턴디지털 SATA3 500GB Caviar Blue WD5000AAKX   40000      ↓1000
삼성 Super-WriteMaster SH-222AB                   23000      ↓1000
지엠씨 Double-X                                   28000        신규
안텍 VP550P                                       59000        신규
-------------------------------------------------------------------
3.1㎓×4,8GiB,500GB,USB3,DVD-Multi,500W          47200      ↑15000

※ 서드PC급(30만원)
                                                2011.06    전월대비
에이엠디 애슬론II-X2 265                          65000      ↓1000
에즈락 880GM-LE                                   59000      ↓6000
삼성 DDR3 4G PC3-10600                            39000        신규
웨스턴디지털 SATA3 500GB Caviar Blue WD5000AAKX   40000      ↓1000
삼성 Super-WriteMaster SH-222AB                   23000      ↓1000
쓰리알시스템 R480 새도우탑                        25000        신규
안텍 VP550P                                       59000        신규
-------------------------------------------------------------------
3.3㎓×2,4GiB,500GB,DVD-Multi,500W               310000     ↑26000

- 불도저야 빨리 나와라~!

- 요즘 마더보드/CPU시장은 샌디브릿지와 인텔 6x칩셋 사용한 마더보드로 채워져 있습니다. 솔찍히 현재 상황은 AMD 가 낄 자리가 없어 보이네요.

- 메모리가격이 많이 떨어졌다. 30nm 공정 사용한거라면 매수해야 할지도.

- 파워 서플라이를 안텍 VP-550P 로 변경. 당분간 다른거 못살 듯.

사용자 삽입 이미지

쓰리알시스템 L-600 브이렉스 주니어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IOPS(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

※ IOPS

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 의 약어. '초당 입출력 처리'횟수다. 요즘 HDD/SSD의 벤치마크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수치다.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IOPS = 1000 (ms/s) / (Random Read Seek Time(ms) + Average Latency(ms))
- Average Latency(ms) = Maximum Latency(ms) / 2
- Maximum Latency(ms) = 60000(ms/min) / Rotation Speed(rpm)
- IOPS × 전송크기(바이트) = 초당전송크기(Bytes/Sec)

※ 예를 들어 Seagate ST3160318AS (160GB, 7200, SATA-2) 의 경우

스펙: http://www.seagate.com/www/en-us/products/desktops/barracuda_hard_drives/

- Random read seek time = 8.5ms
- Average latency = 4.16

∴ IOPS = 1000 / (8.5 + 4.16) = 78.9

※ IOPS 수치 샘플

7200RPM SATA-2      90
10KRPM SAS         140
15KRPM SAS         180
10KRPM SATA NCQ    290 (Q:24)
SSD 4K             400
Intel X25-E       5000
OCZ Vertex 3     60000

- 자료: 위키피디아

※ 주의

- 실제로 벤치마크 툴을 이용해 HDD의 IOPS를 재어보면 계산된 것보다 약간 빠르다. HDD AHCI에서 해주는 스케줄링 때문이다. 요즘의 고성능 HDD는 NCQ의 Queue 크기를 늘여서 IOPS의 향상을 괴하고 있다.

- IOPS가 80이라 해도, 한번에 수 메가 바이트씩 전송하기 때문에, 순차전송속도는 SSD 못지않게 빠르다. 요즘나오는 왠만한 하드디스크는 못해도 100MB/s는 전송해주는 듯.

- OS에서 HDD의 느린 IOPS를 감안해 각종 기술(예를 들어 캐시)을 개발해 사용하기 때문에 IOPS와 체감 속도와는 차이가 있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Intel® Core™2 Quad Q8300 - CPU-Z

- Q8300 중 VT-x가 지원되는 것이 있고 지원되지 않는 것이 있다. 윈도7이 판매된 이후의 Q8300은 모두 지원한다. 초기의 윈도7은 XP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VT-x가 필요했기 때문에 인텔에서 부랴부랴 집어넣은듯 하다. (또는 그런 인상을 주었다. 현재는 VT-x없이도 XP모드를 지원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Q8300 Super PI

- Q8300 의 SPEC코드로 구분 가능한데, SLGUR이면 VT-x 지원모델, SLB5W 이면 지원하지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Q8300 SLGUR 의 CPU-Z 화면. Instructions 에 VT-x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재미있는 건 두 CPU모두 스태핑은 R0로 동일하다는 것다. CPU-Z으로 확인할 수 있는 CPUID (6.7.A)와 확장 CPUID (6.17) 역시 동일하다. 심지어는 주문코드(Order #)도 BX80580Q8300 으로 동일하다. VT-x가 지원되는지 명령셋을 확인해보기 전까진 모델명만 보고 판단할 수 없다는 의미다. 물론 CPU 히트 스프레더에는 SPEC코드가 마킹되어있고, 박스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ZOTAC GT220 GPU-Z 정보

사용자 삽입 이미지

ZOTAC GeForce GT 220 Synergy Edition 512MB

요즘 나오는 저가형 VGA의 성능. 8400GS의 약 두배 정도 성능이다. 하긴 8400GS와 성능 비슷한건 이보다 한단계 아래인 G210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ZOTAC GT220 GPU-Z. 서브벤더 정보까지 나온다

GT220에서는 DirectCompute 도 지원하지만, XP가 지원 안하는 관계로 지원하지 않는것으로 되어있다.

----

8400GS: http://windy.luru.net/675
GT520:  http://windy.luru.net/1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