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터치 입력 기기 2
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울프램알파(Wolfram Alpha)
Wolfram Alpha
Mathematica 라는 공학수학 계산 프로그램을 만든 Wolfram Research 에서 만든 지식 검색 사이트. 구글이 단순히 단어가 들어있는 웹 페이지를 보여준다면, 이건 특정 질문을 받고 답을 해준다.
이번에 아이폰4S에 들어간 Siri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질문에 대한 답변은, 울프램알파에서 검색해 전달해준다.
예를 들어 울프램알파에 lim(x->0) x/sin x 를 입력해 검색하면 1 이 나온다. 구글의 답과 비교해 보면 역시 다르다.
lim 의 결과 - 울프램알파
lim 의 결과 - 구글
울프램알파에서 Compare US Korea(한국과 미국 비교) 라고 쳤을때
아직 한글은 못 알아듣고, 안되는 것도 꽤 있는듯. ㄲㄲ
시게이트의 플래터당 1TB 하드디스크
3TB, 2TB, 1.5TB, 1TB, 750GB 모델이 1TB 플래터(하드디스크의 원반)를 사용한 모델입니다. 기록밀도가 625 Gb/in2 입니다.
그런데 플래터 개수를 보면 재미있네요.
3TB (ST3000DM001) -> 1TB 플래터 3장, 헤드 6개
1TB (ST1000DM003) -> 1TB 플래터 1장, 헤드 2개
입니다. 당연한거죠. 그런데 2TB와 1.5TB, 750GB 하드디스크가 재미있게 되어있습니다.
2TB (ST2000DM001) -> 1TB 플래터 3장, 헤드 6개
1.5TB (ST2000DM001) -> 1TB 플래터 2장, 헤드 4개
750GB (ST750DM003) -> 1TB 플래터 1장, 헤드 2개
특히 2TB하드디스크가 1TB 플래터 3개를 썼다는게 재미있네요. (제가 보고 있는 데이터시트가 오타난게 아니라면요) 왜 2TB로 제한해놨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제조 시설을 분리하기 힘들었으려나요. 아니면 3TB 만들다가 1TB부분이 오류나면 2TB로 바꿔서 넣은거려나요. 왜인지는 시게이트만 알듯.
※ 기본적으로 다른 스펙이 동일하면 플래터 개수가 적은게 좋습니다. 발열 문제도 있구요, 소음과 진동 문제가 있죠. 내구성을 따져봐도 기계장치가 하나 라도 덜 들어간게 좋습니다.
※ 플래터가 1장인 모델은 두께가 얇습니다. 2장 이상인 모델은 두께가 26.11mm이고 1장인 모델인 19.99mm이니까요.
----
http://www.seagate.com/staticfiles/support/docs/manual/desktop/Barracuda%207200.14/100686584c.pdf
메일 클라이언트 메일 박스 용량
※ 아웃룩(Outlook)
아웃룩 익스프레스: 2GB
아웃룩 2002 이전: 2GB
아웃룩 2003 이후: 20GB (레지스트리에서 50GB까지 확장가능)
Outlook 2010, Outlook 2007 및 Outlook 2003에서.pst 및.ost 파일의 크기 제한을 구성하는 방법
※ 썬더버드(Thunderbird)
- 무제한의 의미는 제한이 없다가 아니라 썬더버드에서 제한하지는 않았다는 의미다. 즉 운영체제에서 허용하는 파일 용량 한도까지 사용 가능하다는 의미.
※ 메일 저장 파일 2GB넘겨서 고생하는 경우 많이 봤기 때문에 정리해봤다. 아웃룩 익스프레스 사용자중에 이런 어려움을 겪어본 사람이 많은데, 한번 문제가 생기면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유료 어플을 사용하면 일부는 복구할 수 있기도 하다.
컴퓨터 견적 2011.11
※ 메인PC급(80만원)
2011.11 전월대비
에이엠디 FX 6100 197000 신규
아수스 M5A97 EVO 154000 ↓6000
삼성 DDR3 4G PC3-10600 22000 × 2 ↓4000
ZOTAC 지포스 GTX560 D5 1GB 205000 ↓8000
오씨지 Vertex Plus 94000 신규
파이오니아 DVD/CD Writer DVR-S19LBK 29000 ↓2000
지엠씨 스콜피온 57000 -
시소닉 S12II-430 브론즈 88000 -
-------------------------------------------------------------------
3.3㎓×6,8GiB,60GB,USB3,DVD-Multi,430W 868000 ↑20000
※ 세컨PC급(50만원)
2011.11 전월대비
에이엠디 FX 4100 150000 신규
기가바이트 GA-880GM-USB3L V3.1 94000 -
삼성 DDR3 4G PC3-10600 22000 × 2 ↓4000
오씨지 Vertex Plus 94000 신규
삼성전자 Super-WriteMaster SH-222AL 22000 신규
지엠씨 R400 에스프레소 NK 37000 신규
안텍 VP450P 50000 -
-------------------------------------------------------------------
3.2㎓×4,8GiB,60GB,USB3,DVD-Multi,450W 491000 ↑54000
※ 서드PC급(30만원)
2011.11 전월대비
에이엠디 애슬론II-X2 250 59000 ↑1000
기가바이트 GA-880GM-D2H V3.1 74000 -
삼성 DDR3 4G PC3-10600 22000 ↓4000
오씨지 Vertex Plus 94000 신규
삼성전자 Super-WriteMaster SH-222AL 22000 신규
스리알시스템 R670 에띠앙 로보 19000 신규
에프에스피 FSP400-60APN 벌크 37000 -
-------------------------------------------------------------------
3.3㎓×2,4GiB,60GB,DVD-Multi,550W 327000 ↑20000
※ 모든 견적에서 SSD 를 사용했다. 이는 태국 홍수로 인해 HDD가격이 급 상승했기 때문이다. 현재 160GB 하드디스크의 가격은 6.3만원이다. 500GB는 10만원. 100% 급등했다. (우리나라는 외국보다 더 많이 올랐다) 이 정도로 가격이 심각해진 이유중 하나가 시게이트도 하드디스크 생산에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부품중 일부를 태국에서 받는다고 한다. (어차피 부품 하나라도 없으면 HDD 못 만든다) 그래서 SSD로 변경. SSD도 소폭 오르는 추세라, 이것도 어떻게 될지 모른다. 이대로 가다간 PC시장이 침체될 듯. 2TB 짜리 하드 다 차서 하나 살까 했는데 당분간 보류다. RMA 받은 750GB짜리 하드 하나 남으니 이걸 써야 할 듯. (필자는 RMA받은 하드디스크는 급할때 빼곤 사용하지 않는다)
※ AMD의 신형 프로세서인 FX 시리즈를 견적에 넣었다. 아직 8코어짜리는 30만원대라 견적에 넣질 못했다.
※ 내년 견적부터는 ODD(DVD 드라이브)를 견적에서 뺄 예정이다. ODD는 주로 OS설치에 사용되는데, 윈도7은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사용해 설치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윈도7 iso 이미지를 MS에서 제공해주는 툴을 사용해 4GB 이상의 USB 드라이브에 넣고 USB 플래시 드라이브로 부팅해 설치한다. 당연히 설치 속도는 더 빠르다.
어도비에서 개발한 흔들림 제거 기술
- Image Deblurring 이라는 기술이 차기 포토샵에 필터로 들어갈 예정이랍니다. 우리나라 사람이 개발했다고 하네요.
어도비의 Adobe-MAX 에서 발표한 이미지 디더블링 샘플 사진. (사진이 축소되어있으므로, 정확한 비교는 하단의 링크에서 확인할 것)
- 성능은 적은 양의 흔들림은잘 잡아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저정도만 되어도 훌륭한거죠.
- 지난번 백그라운드 보정기술도 유용하게 잘 쓰고, 힐링 브러시도 잘 쓰고 있는데요, 이건 더 좋네요. 흔들렸지만 지우긴 아까워 모아놨던 사진 살릴수 있을거란 기대도 해봅니다.
- 이제 모자익 제거 필터만 넣어주면 필터가 완성됩니다. 어도비 관계자 분들, 이미 개발끝난거 알고 있습니다. 어여 넣어주세요. ㅋㅋㅋ~ ㅋㅋㅋ~
----
※ 뿌옇게 보이는 문제는 주로 두가지원인 때문입니다. (렌즈가 뿌옇게 더러워진거 빼고)
- 초점이 안 맞음
- 셔터스피드 부족으로 인한 흔들림
이중 두번째껄 해결해준다는 겁니다. 첫번째건 샤픈필터를 사용해 약간은 보정해줄 수 있습니다만, 심하게 초점이 안 맞으면 불가능합니다.
----
http://blogs.adobe.com/photoshopdotcom/2011/10/behind-all-the-buzz-deblur-sneak-peek.html
윈도 체험 지수 7.9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기능을 측정하고, 기본 점수라는 숫자로 이 측정값을 표시한게 윈도체험지수다. 측정값들중 가장 작은 값을 취한다. 윈도 7에서는 7.9점 만점이다.
이게 성능의 지표는 결코 아니지만, PC를 새로 맞췄는데 점수가 낮으면 실망하기 마련이다. 아래에서 체험지수 만점 받기 위한 하드웨어를 써봤다.
※ 프로세서: 현재 만점 나오는 데크스탑 프로세서는 없다. 오버하지 않고는 안됨. 2600K 프로세서로 5GHz 이상 오버한 경우 7.9점이 나왔다고 한다.
※ 메모리: DDR3-1866 이상(듀얼)을 사용해야 된다. 용량은 크게 상관 없이 (일정 용량만 넘기면 되는 듯)해야 한다.
※ 그래픽: GTX 560 이상. 560에서도 좋은(오버클럭된)걸 사용해야 한다.
※ 게임그래픽: GTX 570 이상. 570이면 무난히 만점이 나온다.
※ 하드디스크: OCZ 버텍스3 128GB. 최근에 판매하는 HDD는 5.9점 정도 나온다. 저가 SSD를 6점대 후반에서 7점대 초반. 7.9를 맞추려면 성능 좋은 SSD나 RAID 0로 묶어야 한다.
- 체험지수를 그냥 고치는 방법도 알려졌기 때문에, 전부 7.9점 받은 많은 스샷은 조작일꺼라고 단언하고 싶다.
터치 입력 기기
요즘 터치 입력이 대세이다보니 이런 제품도 나오는군요. 모니터도 터치 모니터가 나와있는데요.
※ 로지텍 무선 터치 키보드 K400
로지텍 무선 터치 키보드 K400
키보드에 터치 감응형 마우스(터치패드)를 넣어놨네요. 쉽게 말해 노트북의 터치 패드를 넣어놓은 느낌.
유용할지는 잘 모르겠네요. 현재 4.5만원 정도 합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터치 마우스
마이크로소프트 터치 마우스
디자인을 보니 그리 땡기지는 않습니다만, 어떨지 한번 잡아보고는 싶네요. 용산 어디선가 시연하고 있는곳 있으려남요.
윈도 7 전용이라고 합니다. 윈도 7의 제스처가 가능해지니깐 이런 문구가 나오는듯 합니다. 아직 안써봐서 패스.
삼성전자 830 시리즈 SSD
삼성전자 SSD 830 64GB
삼성에서 새로운 SSD를 나놓았습니다. 830 시리즈이구요, 가격이 생각보다는 좋네요. 올해초 국내에 공식 출시했던 S470 시리즈보다 약간 비쌉니다만 그만큼 성능이 좋아졌습니다.
S470 64GB S830 64GB
공정 32nm 20nm
SATA 3Gbps 6Gbps
읽기 250MB/s 520MB/s
쓰기 170MB/s 160MB/s
캐시 256MB 256MB
A/S 3년 3년
가격(만원) 12.9 14.9
스펙은 470은 물론 비슷한 가격대의 타사 SSD를 압도하는 군요. 470이나 써볼려고 했다가 맘 바뀌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SSD 470 64GB
특히 가격이 너무 저렴하게 나왔습니다. 초기가라는 걸 감안해도 저렴하네요. 랜덤쓰기 성능이 아쉽긴 합니다만, 현재로서는 다른 SSD를 압도합니다. HDD가격도 올랐겠다, 한번 질러볼까요~
----
하드디스크 가격 폭등
태국 홍수로 인해 하드디스크 가격이 폭등하고 있네요. 현재 급등 직전보다 90% 정도 오른 상태입니다. 자고나면 오르기 때문에, 100% 오르는건 시간문제입니다. 이대로는 PC구매에 상당한 부담이 되겠네요.
가격 폭등 현상은 우리나라에서 특히 더 심합니다. 물량이 줄었어도 SSD라는 대체품이 있어서 이 정도까지 오를거라고는 생각 안했는데 좀 의외네요.
10월 27일 현재 현재 하드디스크중 가장 저렴한 160GB 제품이 6.8 만원입니다. 예전 글에도 있듯 SSD 가장 저렴한 60GB 제품이 9.0 만원이죠.
160GB와 60GB를 비교하자는게 아니구요, 어차피 인터넷용/기업용 PC에는 윈도7만 설치하고 오피스와 몇몇 프로그램 설치할 수 있을 정도면 되기 때문에 큰 용량 필요 없습니다. 대부분의 PC수요가 이런 수요구요. 즉 160GB가격이 7~8만원대가 되어버리면 차라리 SSD를 구매하는게 더 좋다는 거죠. (몇일 후 정기적으로 내는 PC견적도 SSD를 넣어야 겠네요) SSD는 성능이 HDD와는 비교 불허인걸요.
----
태국 홍수로 인한 HDD 공급 차질 글: http://windy.luru.net/1265
P6 아키텍처 기반 셀러론(Celeron) CPU
P6아키텍처는 펜티엄 2, 3에 들어가던 아키텍처입니다.
최초의 셀러론 프로세서 코드명 코빙턴. 쿨러가 제거된 이미지다. 출처: 위키피디아
- 코빙턴(Covington, 250nm, 1998.04): 1세대 셀러론 프로세서. 펜티엄2에서 L2 캐시를 제거했음. 너무 느렸기 때문에 팔리지 않음. 프레스캇 나오기 전까지는 인텔 최고의 망작이었음.
- 멘도시노(Mendocino, 250nm, 1998.08): 펜티엄2의 패키지를 다이로 다시 변경. L2 캐시 용량은 128KB.
- 코퍼마인(Coppermine, 180nm, 2000): 펜티엄3의 셀러론판. 펜티어3와 같은 코어를 사용하지만 캐시를 반으로 줄임. 그래서 128KB가됨. 가장 인기있었음.
- 튜알라틴(Tualatin, 130nm, 2001): 캐시를 256KB로 늘임. 훨씬 좋아짐. 펜티엄3보다 더 잘팔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