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 뒤지다 보면 4.3 업그레이드 후 폰으로 충전시 충전 시간이 느려진다는 말이 많다. 필자의 경우도 마찬가지. 충전기 끼우고 충전해도 배터리 게이지가 내려가는 경우도 있었다.
- 갤럭시시리즈의 경우 현재 충전 전류량을 보여주는 앱이 있다. 구글 플레이에서, "charging current" 로 검색해보면 무료로 사용 가능한 몇가지 앱이 나온다.
Galaxy Charging Current Lite
- 이걸로 확인해보면, 아마 충전 전류가 매우 낮게 나올 것이다. 500mA이면 USB 에서 흘려주는 전류와 같기 때문에 충전이 매우 느리게 진행된다. 보통 1000mA 이상이 되어야 뭔가 빠르다는 느낌이 들 것이다. 필자의 노트2로 확인해보니 400mA가 나왔다. 물론 갤럭시노트2에 번들된 충전기를 사용했고 번들된 하얀 케이블을 사용했는데도 저렇게 나왔다.
- 케이블을 바꿔보면 잘 된다고 하는 글이 있으나 비용이 들어가므로 가장 마지막에 해볼 생각.
- 케이블의 접점을 닦아주고 잘 말려준 후에 사용해보면 충전 전류가 높아진다는 글을 보았다. 충전 단자가 별로 더러워 보이진 않기 때문에 일단 패스.
- 노트2의 [환경설정-더보기-배터리]에서, [남은 배터리 용량 표시]를 끄고 충전 하면 충전 전류량이 높아진다는 글이 있었는데, 정말 그렇다. ㅎㅎ 지금은 800mA 가 나온다. 만족할 만한 수치는 아니지만 400mA에서 두배로 뛰었다. 그래도 1500mA 는 되어야 하지 않남.
- 배터리 수명이 거의 다 되면 충전 전류를 낮춘다는 글을 보았다. 정말인지는 잘 모르겠음.
최근에 공개된 OpenSSL의 보안 버그입니다. 2014.04.07에 패치되었습니다. 제 웹 서버는 별 생각없이 패치했습니다만, 이거 의외로 심각한거 같네요. 전 보안 위험은 낮게 봅니다만 OpenSSL이 안쓰이는 곳이 없을 정도로 대중화된 라이브러리라 아마 대부분의 기기가 영향 받을것으로 보입니다.
OpenSSL에서 TLS/DTLS 규격의 하나인 heartbeat 를 구현하는 코드에서, 메모리 관련 경계 검사 오류(경계 확인을 하지 않음)가 존재하고, 공격자는 이를 통해 서버 메모리상의 임의의 주소에 있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고 합니다. 임의의 주소에 민감한 정보가 남아있으면 위험하겠죠. 하지만 아직 스크립트 키드들을 위한 툴이 발견된건 아닌거 같습니다. '하트비트' 버그를 이용한거기 때문에 일종의 패러디로 '하트블리드'로 이름 붙였네요.
OpenSSL 1.0.1 ~ OpenSSL 1.0.1f 까지 영향 받습니다. OpenSSL 1.0.1g를 받아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한 경우 하트비트 기능을 끄고 설치하라네요.
이 버그에 대한 전용 홈페이지까지 나와있는 상태입니다. CVE-2014-0160으로 등록되어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조만간 소프트웨어들 업데이트 있을테니 묻지 말고 패치하라는 겁니다. 특히 웹서비스 운영하시는 분들요. 시놀로지라는 NAS 업체도 자사의 DSM 솔루션을 이미 패치했네요.
----
2014.04.16 하트 블리드를 사용한 해킹 사례가 있네요. 하지 않으신 분들은 어서 패치해야 할듯 합니다.
넷기어는 WGR614L(WGR614v8, 2008.06.30 발매)부터 서드파티 펌웨어를 제대로 지원해주기 위한 작업을 하기 시작했다고 본다. WGT624v4가 먼저 나왔지만 펌웨어 패키지가 공개되었고 사양도 유사하기 때문에 구형버전치고는 DD-WRT등의 서드파티 펌웨어가 있다. 지금은 MyOpenRouter 라는 사이트를 통해 지원하고 있다. 에혀.. v2를 v4로 안 바꿔주남. ㅎ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