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기술,IT/이어폰

DR-BT100CX

사용자 삽입 이미지

DR-BT100CXP

- 소니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핸즈프리 지원 이어폰
- 오디오(A2DP), 핸즈프리(HTF, HSP) 지원
- 소음압축 및 메아리 방지
- BlueTooth 2.1 + EDR
- 응답주파수 6 ~ 23
- 충전식
- 컬러: 화이트, 블랙, 핑크, 실버
- 69,000원(정가)

핑크가 좋아보임. 지금 쓰는 이어폰이 조금씩 고장나고 있음. ㅎㅎ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핸드폰 변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아의 햅틱(SPH-W7700) 으로 바꿨다. 32만냥. 2년 약정이지만 요금제는 자유. 아내와 같이 바꿨음. 스노우화이트, 노블블랙. 이번달 카드는 꽤 나올듯 ㅎㅁ

사용자 삽입 이미지

터치폰라고는 해도 별 감흥은 없음. 단지 화면이 커져서 좋은 듯. ㅎㅎ 화상통화는 자주 사용할 듯. 우리 이뿐 아기 보러.. ㅎㅎㅎ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i5 750 의 소켓 번(Burn) 현상

이번에 i5가 나오면서 규격이 LGA1156으로 변경되었습니다. CPU의 접점부위가 1156개고, LGA(Land Grid Array)방식으로 장착한다는 의미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LGA 1156 소켓 (출처: 위키피디아)

근데 이게 특정 제조사의 소켓이 문제가 되나보네요. 정상적인 사용시에도 소켓이 타버리는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제조사가 폭스콘인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접점의 접촉 불량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과전류가 흘러 타버린다고 합니다.

현재 마더보드 업체들의 대부분은 M/B무상 교환 및 타버린 CPU도 무상교환 정책을 시행중이라고 합니다.

----

LGA와 PGA는 모두 CPU 의 핀 패키징 방식입니다. 여러가지가 있지만, PC 에서는 크게 PGA와 LGA로 나뉩니다. CPU에서는 LGA가 보편화 되는 추세입니다. 이외에도 BGA(Ball Grid Array)가 있는데 이는 메모리 칩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GA(Pin Grid Array) CPU에 핀이 달려 있다. (출처: 위키피디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LGA(Land Grid Array) CPU에 핀이 달려 있지 않다. 핀은 소켓에 달려 있다. (출처: 위키피디아)

글쓴시간
분류 기술,IT/이어폰

Shure SE115

사용자 삽입 이미지

- 2009.05 출시
- 커널형 이어폰
- 2세대 Dynamic MicroSpeaker
- Sound Isolating Design

스펙

*감도: 105 dB SPL/mW
*임피던스(1kHz): 16Ω
*주파수범위: 22㎐~17.5㎑
*케이블길이: 45cm/확장136cm
*입력커넥터: 3.5mm
*색상: 블루,레드,핑크,블랙
*가격: 현재 130000 KRW, 70 USD

기존것 보다는 저음이 확장되어있다는 평이 많음.

ㅎㅁ 사고 싶어지네. ㅎㅁㅎㅁ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PC 견적 2009.11 (인텔)

※ 코어2,펜티엄 PC

- M/B
ASRock G31M-S                        51,000
  G31,FSB1333MHz,PC2-6400,6Ch,24+4,2Bank,100MLAN
Intel DG41TY Classic                 80,000
  G41,FSB1333MHz,PC2-6400,6Ch,24+4,2Bank,1GBLAN
ASUS P5QL-EM                        139,000
  G43,FSB1333MHz,PC2-8500,8Ch,24+4,4Bank,HDMI,eSATA,IEEE1394,1GBLAN

- CPU
인텔 코어2듀오 울프데일 E8400 정품(3.0GHz,6MB,지원)    185,000
인텔 코어2듀오 울프데일 E7500 정품(2.93GHz,3MB)        129,000
인텔 펜티엄    울프데일 E6300 정품(2.8GHz,2MB,지원)     82,000 추천
인텔 펜티엄    울프데일 E5300 정품(2.6GHz,2MB)          74,000
인텔 셀러론    콘로     E1500 정품(2.2GHz,0.5MB)        51,000

- RAM
삼성 DDR2 2G PC2-6400 (정품)         64,000 * 2

※ 코어i5 PC

CPU 인텔 코어i5 린필드 750 정품 (2.66GHz,지원)         231,000
M/B 인텔 DP55WB Media                                  145,000
  P55,i5,PC3-13300,8Ch,24+4,4Bank,1GBLAN
RAM 삼성 DDR3 2G PC3-10600 (정품)                       67,000 * 2
VGA 앱솔루트 지포스 GTS250 Steeler STD 512MB APISTEK   145,000

----

- 10월과 큰 차이 없음. 메모리 가격 빼고 ^^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컴퓨터 견적 2009.11

※ 메인PC급
                                                2009.11    전월대비
에이엠디 페넘II-X2 칼리스토 550 Black Edition    114000      ↓6000
아수스 M4A785TD-V EVO ACC                        139000      ↓2000
삼성 DDR3 2G PC3-10600                            67000 × 4↑16000
시게이트 SATA2 500GB 7200.12/16M ST3500418AS      62000      ↓1000
파이오니어 DVD/CD Writer DVR-S18FXV               45000        신규
쓰리알시스템 L-1100 티렉스 쿨                     67000      ↓1000
시소닉 S12II-430 브론즈                           91000           -
-------------------------------------------------------------------
3.1㎓×2,8GiB,500GB,DVD-Multi,430W               786000     ↑57000

※ 세컨PC급
                                                2009.11    전월대비
에이엠디 애슬론II-X2 레고르 250 정품              78000      ↓6000
아수스 M4A785TD-V EVO ACC                        139000      ↓2000
삼성 DDR3 2G PC3-10600                            67000 × 2↑16000
시게이트 SATA2 500GB 7200.12/16M ST3500418AS      62000      ↓1000
삼성 Super-WriteMaster SH-S223B                   26000        신규
베스텍 풀하우스 초슬림 NO.5 화이트                33000      ↓1000
시소닉 SS-400ET 브론즈                            62000      ↓1000
-------------------------------------------------------------------
3.0㎓×2,4GiB,500GB,DVD-Multi,300W,LP            534000     ↑21000

※ 30만원PC ^^;
                                                2009.11    전월대비
에이엠디 셈프론 사르가스 140                      39000      ↓1000
에즈락 M3A785GMH/128M                            102000      ↓3000
삼성 DDR3 2G PC3-10600                            67000 × 2↑16000
시게이트 250GB 7200.10 ST3250310AS 8M 슬림        48000      ↓1000
삼성 Super-WriteMaster SH-S223B                   26000        신규
쓰리알시스템 R640 조로                            15000      ↓1000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2 PS2-450EF 80PLUS      48000?           -
-------------------------------------------------------------------
2.7㎓×1,4GiB,250GB,DVD-Multi,400W               412000     ↑26000

- 견적한 모든 PC는 80Plus 인증된 파워서플라이 및 DDR3 램을 사용한다.

- 램값이 미쳐가고 있네요. 이 상태라면 어디까지 오르려나요... 윈도 7의 순풍에 찬물을 끼얹는 격이네요. 윈도 7의 경우 4GB는 도어야 쾌적하게 실행될텐데 이가격이면 4GB구매하기 부담되네요.

- DDR2 도 6.2만원으로 DDR3와비슷합니다. 올해 4월에 [삼성 DDR2 2G PC2-6400]을 2.9만원 주고 4개 산게 그나마 잘한건감요. 8개 사려다가 돈 없어서 4개만 샀는데, 이럴줄 알았으면 무리해서라도 8개 사두는거였는데요. ㅎㅁ

- [30만원PC ^^;]가 30만원대가 넘어버렸네요. 조금 낮춰볼 수는 있습니다. 마더보드를 [엠에스아이 GF615M-P33, 6.8만원], 메모리를 [하이닉스 DDR3 2G PC3-8500U CL7, 5.2만원] 1 EA 로 바꾸면 됩니다. 이렇게 바꾸면 29.6만원 나오네요. 비스타에서 인터넷과 동영상 감상 정도만 되겠네요.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nVIDIA GEFORCE 3D Visi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시분할 방식의 3D 가상 현실 제공
- 현재 나와있는 대부분의 3D 게임을 지원
- 120Hz의 디스플레이장치가 필요. 일반적인 LCD모니터는 60Hz다. 120Hz 지원되는 HDTV는 실제 입력이 60Hz이라 사용이 불가능하다.
- 시분할 방식이기 때문에 안경은 필수다 (안경을 쓴 사람도 덧대어 사용할 수 있다)
- GeForce 8000 시리즈 이상 필요(GTS급 이상, 3D비전을 사용하면 프레임이 약 1/2로 줄어든다)
- 윈도우 Vista이상
- 30만원(현재 판매중)

※ 3D 가상현실을 제공하려면 양쪽 눈에 다른 영상정보를 줘야 한다. 이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 파랑색및 빨강색 안경을 써서 사용하는 방법
- 편광을 사용하는 방법
- 시분할 방식(셔터를 이용)

첫번째 건 오래 보면 눈이 피로하고, 두번째 건 디스플레이장치가 비싸고, 세번째는 전체적으로 어두워지는 단점이 있다. 3D Vision은 세번째 방식이다.

120Hz디스플레이에, 60Hz영상을 번갈아 두번 전송한다. 한번은 왼쪽 눈에, 다음은 오른쪽 눈에 보여줄 영상이다. 왼쪽용 영상정보가 전달될때는 오른쪽 안경의 셔터가 닫혀서 보이지 않게 하고, 오른쪽용 영상 정보가 전달될때는 왼쪽 안경의 셔터가 닫히게 만들었다. 그래서 셔터가 닫히는 만큼 영상이 어두워지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밝은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

----

현재 우리나라에서 구매가능한 120Hz 지원 디스플레이장치는 하나있다.

삼성전자 싱크마스터 2233RZ          40만원

----

3D Vision 시스템요구사항: http://www.nvidia.com/object/3D_Vision_Requirements.html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무선랜 보안 규제

- 논지가 조금 묘하게 흘러가는듯 하네요. 이걸 왜 반대하는지요.

- 무선랜은 전파를 이용하고 전파는 어느곳이라도 송수신됩니다. 송수신 가능 거리 안에만 있으면 되죠. 문제는 누구나 송수신 가능하기 때문에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람이라도 내 무선랜 공유기에 접속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겁니다.

- 핵심은 이게 보안상 큰 문제라는 거죠. 매우 큰 문제입니다. 어떤게 문제가 되느냐는 글 마지막에 있습니다.

- 보안상 문제가 되기 때문에, 암호를 걸어 암호를 아는 사람만 무선 랜 공유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통신 프로토콜도 암호를 이용해 보안 통신을 하겠다는 겁니다. 그리고 이걸 안하는 사람들 때문에 자꾸 보안 사고가 터지니깐, 의무화 하겠다는 거죠.

- 대신 암호화 하기위해 조금 느려지기 때문에 속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죠.

- 보안 설정 의무화는 찬성입니다. 무 인증 접속에 대해 접속 자체를 불법으로 규정할 필요는 없으나, 접속한 사용자의 불법 행위로 인한 책임의 일부는 고의로 망을 제공한 무선랜 관리자에 있어야 한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 [누구나]에는 선의적인 사용자도 있지만 악의적인 사용자, 즉 해커도 포함됩니다. 고의로 해커에 대한 접속을 허용했으면 이를 방조한 책임을 져야한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보안상 큰 문제가 되는 이유

- 누가 접속했는지 모릅니다. 누군가가 무선 랜 망에 들어와서 남의 은행 계좌 해킹하면, 잡아내기 더 어려워집니다.

- 비 보안 접속은, 내 비밀번호를 방송하는게 됩니다. 누군가가 내 방송을 들었으면 내 비밀번호 유출된거죠. (라디오 방송국과 라디오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파수만 맞으면 들리잖아요)

- 전문적인 용어로 [사설망]에 직접 접속을 허용하는건 [내 PC 해킹해주쇼]와 같은 말입니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nVIDIA GeForce GTX 260

사용자 삽입 이미지

nVIDIA GeForce GTX 260


nVIDIA GeForce GTX 260 에는 3가지 버전이있다.

                       코어코드명   공정  GFLOPS  TDP
GTX260                 GT200        65nm     715  182
GTX260 Core 216        GT200        65nm     805  182
GTX260 Core 216 55nm   GT200b       55nm     874  171

* GFLOPS: 3D 연산의 성능을 나타내는 수치라고 보면 됨. (정확한 설명은 아님) 높을 수록 좋음
* TDP: 최대 소모 전력이라고 보면 됨. (정확한 설명은 아님) 낮을 수록 좋음

- 당연히 55nm이 빠르고 성능도 더 좋지만 그 비율에 맞춰서 가격이 비싸다. ^^

- 그래도 TDP가 11W 낮은 55nm 버전을 사는게 좋을듯. 근데 171W면 일반적인 컴터 한대가 소비하는 전력인데 ㅎㅁ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옴니아2 (Omnia, SCH-M710,SCH-715)

사용자 삽입 이미지

SCH-M710 (옴니아2)


- 2009.10.16 출시.
- 3.7" WVGA AMOLED (800*480)
- ARM 800MHz, 윈도우 모바일 6.1(이후 6.5로 업그레이드 가능)
- 내장메모리 2GB(SCH-710), 8GB(SCH-715)
- 500만화소 카메라
- DivX
- 3.5파이 이어폰 잭
- 지상파 DMB
- GPS, WiFi
- 70만원(SCH-M710)

- 16일 출시긴 하지만, 20일부터 실 구매 가능할듯 하네요.
- 아직은 SKT만 발매되어있습니다. KTF와 LGT에서도 나온다네요.

좋아보이네요. PMP대신 써도 그럭저럭 쓸만할듯. 네비없는 저로써는 GPS도 끌리고, WiFi넣어준게 신기하기도 하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