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P2X Wiz 4
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 IEEE 802.15.1 규격을 사용하는 블루투스는 PANs(Personal Area Networks)의 산업 표준
- 사용 주파수는 ISM 대역인 2.45GHz (무선랜 규격인 802.11b/g과 동일)
- 초기의 블루투스 규격은 많은 문제점이 있었음. 블루투스 1.2부터 사용되기 시작함.
- 블루투스 2.0에 EDR(Enhanced Data Rate)규격이 추가되고, 만족할만한 품질이 나옴으로써, 급속히 대중화 되기 시작함
- 현재 블루투스 2.1까지 나와있으며, 블루투스 3.0이 추진되고 있음.
- 블루투스의 Class는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를 나타냄. Class1은 ~100m, Class2는 ~10m, Class3 는 ~1m
- 블루투스는 무선랜에 비해서는 보안에 취약함
※ 블루투스 동글을 구매할때는 반드시 [블루투스 2.0 + EDR, Class 1] 인지 확인해야 한다. 명시되어있지 않은 경우 구매를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이외에도 사용하는 기기를 지원하는지 프로파일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블루투스는 각각의 기기마다 프로파일을 정해놓고 있다. 일종의 장비 종류 규격이다.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기술되어있다.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A2DP): 향상된 오디오 배포 규격. HD 오디오 지원용이나 윈도 비스타도 아직 기본 지원 안됨
Audio/Video Remote Control Profile (AVRCP): 리모콘임
Basic Imaging Profile (BIP): 이미지 보정
Basic Printing Profile (BPP): 이미지 출력(HCRP와는 달리 프린터 드라이버 필요 없음)
Common ISDN Access Profile (CIP): ISDN 통신용
Cordless Telephony Profile (CTP): 무선전화기용
Device ID Profile (DID): 플러그앤 플레이 지원용. 이거 없으면 안됨.
Dial-up Networking Profile (DUN): 전화 접속 네트워크
Fax Profile (FAX): 팩스용
File Transfer Profile (FTP): 파일 전송용
Generic Audio/Video Distribution Profile (GAVDP): A2DP와 VDP를 구현
Generic Access Profile (GAP): 다른 프로파일들의 기본이 되는 프로파일
Generic Object Exchange Profile (GOEP): OBEX를 구현
Hard Copy Cable Replacement Profile (HCRP): 케이블 대체용 프로파일
Hands-Free Profile (HFP): 휴대폰 핸즈프리
Human Interface Device Profile (HID): 키보드, 마우스 등
Headset Profile (HSP): 헤드셋
Intercom Profile (ICP): 워키토키용, TCS를 구현
LAN Access Profile (LAP): LAN용 프로파일. PAN 프로파일로 대체됨
Object Push Profile (OPP): 말 그대로 객체를 푸쉬(상대방이 받을 준비가 안되어있으면 받으라고 표시함) 하는 프로파일
Personal Area Networking Profile (PAN): 블루투스 데이터 전송용 프로파일. 가장 기본이 되는 프로파일
Phone Book Access Profile (PBAP, PBA): 폰북 교환용 프로파일
Serial Port Profile (SPP): 직렬 포트(RS-232C), DUN, FAX, HSP, AVRCP를 구현
Service Discovery Application Profile (SDAP): 서비스 감지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 다른 기기 찾는 프로파일
SIM Access Profile (SAP, SIM): GSM기기(휴대폰)에 SIM카드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파일
Synchronisation Profile (SYNCH): PIM등의 데이터 동기화 프로파일
Video Distribution Profile (VDP): 비디오 전송을 위한 프로파일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Bearer (WAPB): 무선 전송을 위한 프로파일
동글 구매할때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파일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키보드를 사용할 건데, HID 프로파일을 지원하지 못하는 동글을 사용하면 접속 안된다.
아래의 프로파일은 확정되지 않은 프로파일이다.
Unrestricted Digital Information (UDI)
Extended Service discovery profile (ESDP)
Video Conferencing Profile (VCP)
Message Access Profile (MAP)
----
http://bluetooth.com/Bluetooth/Technology/Works/Profiles_Overview.htm
컴퓨터 견적 2009.05
※ 메인PC급
2009.05 전월대비
에이엠디 페넘II-X3 헤카 710 158000 ↓10000
아수스 M4A78T-E 240000 ↓8000
삼성 DDR3 DDR3 2G PC3-10600 49000 × 2 ↓2000
시게이트 SATA2 500GB 7200.12/16M ST3500418AS 75000 ↓1000
파이오니어 DVD-Multi DVR-S16FXB 52000 ↓1000
쓰리알시스템 3Rsystem R120 V2 TOP Model 54000 ↓1000
에너맥스 MODU82+ EMD425AWT 101000 ↑2000
-------------------------------------------------------------------
2.6㎓×3,4GiB,500GB,DVD-Multi,425W 778000 ↓25000
※ 세컨PC급
2009.05 전월대비
에이엠디 애슬론-X2 쿠마 7750 Black Edition 79000 ↓6000
아수스 M3N78-EM 114000 ↓2000
삼성 DDR2 2G PC2-6400 30000 × 2 ↑5000
시게이트 SATA2 500GB 7200.12/16M ST3500418AS 75000 ↓1000
삼성 Super-WriteMaster SH-S223Q 27000 0
히로이찌 HEC PIANO 화이트 (HEC-300W) 68000 0
-------------------------------------------------------------------
2.7㎓×2,4GiB,500GB,DVD-Multi,300W,LP 423000 ↑1000
※ 30만원PC
2009.05 전월대비
에이엠디 애슬론64 리마 LE-1640 49000 ↓7000
에즈락 A780GM-LE 78000 ↓5000
삼성 DDR2 2G PC2-6400 30000 × 2 ↑5000
시게이트 250GB 7200.10 ST3250310AS 8M 슬림 58000 ↓2000
삼성 Super-WriteMaster SH-S223Q 27000 0
쓰리알시스템 R640 조로 17000 ↓1000
지엠씨 풍 P-4500 V23 40000 신규
-------------------------------------------------------------------
2.7㎓×1,4GiB,250GB,DVD-Multi,400W 329000 ↓5000
- [에이엠디 애슬론-X2 쿠마 7750 Black Edition]이 나온 관계로 7750 BE의 가격 하락폭이 큰 편임. 7750의 일반버전(BE버전 아님)이 나온다. 나오면 당연히 그거 사야된다.
- [지엠씨 풍 P-4500 V23]은 지엠씨에서 새로나온 파워다. 가격에 비해 매우 좋은것으로 알려져있다.
- 마더보드, CPU 가격 떨어지고 RAM 값이 많이 올랐다. 지난번에 사놓길 잘했군. 현재 용산에서 30000에도 살 수 있을지 의문이다.
- 조만간 용산을 가야할 듯. 지금 쓰고 있는 PC의 내장 VGA가 심상치 않다. 가끔 잘 안켜질때도 있다. ㅎㅁ
윈도7
윈도 비스타의 다음 버전이 2009.10.23 에 공개될 예정이라 하네요. 윈도XP모드전환기능(가상화)이 가장 돋보입니다. 다른건 비스타와 거기서 거기인듯 합니다만...
최소 요구사항
- 1GB 메모리
- 1GHz 이상 CPU(32, 64bit)
- 15GB(32bit), 20GB(64bit) HDD
윈도7은 메모리 권장용량은 2GB라는 군요. 참고로 비스타는 최소 512MB, 권장은 1GB였습니다. 윈도7은 4GB는 되어야 빠르게 실행될듯 하네요.
Radeon HD 4770
역시 또 나왔다. 이번건 레벨이 다르다. 팀킬이 아니라 동급 가격대(15만원~20만원대 초반)를 제조사 상관 없이 올킬 하는 수준이다.
4770(14만원대)은 성능상으로 기존 상급기종인 4830(14만원대)을 가볍게 제치고, 4850(21만원대)까지도 넘보는 제품이다. 아직은 표준 규격밖에 없다고 하지만, 조만간 오버클럭된 제품이 나오면 4850을 넘을 것이라는게 정설이다.
Radeon HD 4770 4830 4850 4870 4890 9800GT
코어명 RV740 RV770LE RV770LE RV770 RV790 G92
GPU클럭 750 575 625 750 850 600
메모리클럭 3200 1800 1986 3600 3900 1800
메모리종류 GDDR5 GDDR3 GDDR3 GDDR5 GDDR5 GDDR3
대역폭 128bit 256bit 256bit 256bit 256bit 256bit
소비전력(W) 80 110 110 160 190 110
가격 14만 14만 24만 29만 35만 15만
※ 4770의 위력은 소비전력대비 성능에서 온다. 4770크로스파이어(두개사용)로 돌릴경우 4870을 가볍게 넘고 4890이랑 맞먹을것으로 예상되니 말이다. 가격도 2배가 안되고. 소비전력도 2배가 안되고. 그러니 두개 살만 하겠다. ㅎㅁ
※ 4830을 10만원대로 낮추고 4850을 18만원대로 낮춰야 뭔가 경쟁이 되지 않을까 생각중.
※ 오래전의 9550이 생각나게 하는 제품. 당시 ATI는 Radeon 9500-9600-9800으로 제품군을 이루었는데, 이때 9550이 나왔다. 9550이 9600보다 가격이 더 저렴했지만 성능은 9600과 비슷하거나 오버시 더 좋았다. (그래서 9550은 나도 샀다 ㅎㅎ) 이런 상태니, 9600이 전혀 팔리지 않는 상황이 온 것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팀킬의 정수였다고 평한다. 아직도 기억하는 사람들 많을 듯.
Windows Vista 64bit
윈도 비스타의 시스템 패널. 8GB를 모두 인식했다
윈도 비스타의 시작 센터. 8GB를 모두 인식했다
XP쓴지 5년만에 비스타로 바꿨다. 조금 있으면 Vista SP2가 나오니 SP2나올 때까지 기다리다 설치하려 했다만, 급했던지라... 8GB를 모두 사용해서 일단은 본래의 목적은 달성한 셈이다. ㅎㅎㅎ
XP사용할 때는 M/B(ASUS M2A-VM HDMI)에 달려있는 SB600 칩셋의 RAID 1를 사용했는데, 이번에는 사용 못했다. 드라이버가 자꾸 인증이 안되어서 사용 못한다고 나오는 바람에 그냥 설치했다. (근데 홈페이지에는 분명 인증 되었다고 나와있다) 아무래도 비스타 버그인거 같은 느낌은 드는데 말이지. ^^
----
1달 사용기
적어도 내 컴퓨팅 스타일에서는 불편한건 없다. 설치할 때 빼고는 어드민 권한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안 나오니깐.
윈도 비스타 사용시 메모리는 무조건 많아야 한다. 포토샵 같은 메모리 많이 먹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말이다. 여유메모리를 모두 캐시 메모리로써 사용하기 때문이다. 8GB메모리도 포토샵 띄우고 브라우저 몇개 띄우면 금방 찬다. ㅎㅁ
일단 서브PC에 비스타 32비트를 설치. 보통 서비스 팩 2 나올때까지 기다리곤 하는데, 지금은 급해져서 말이지.
막상 써보니 듣기와는 다르구먼. XP보다 성능 향상을 쉽게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빠르다.
※ 사양
M/B: Asus P4P800
CPU: Pentium 4 2.4C (2.4GHz)
RAM: Samsung DDR 400 2GB
HDD: Seagate 7200.11 SATA2 500GB
VGA: ATI Radeon 9600
에어로 인터페이스는 전혀 안 느리다. 내장 그래픽이 아닌 이상 문제 없을듯 하다.
현재 사용상의 불편함은 전혀 없음. 어차피 인터넷 하고 동영상 보고 사진 수정하는게 전부이니깐.
지금 생각으로는 비스타가 왜 못 떴지?라는 생각이 든다. 처음 XP나올 때도, 느려터진 XP를 사용하느니 차라리 윈도 2000을 쓰겠다는 등 혹평이 주류였지만, 지금은 XP만 사용한다는걸 생각하면 조만간 주류가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는 중이다.
비스타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건 메모리 용량이다. 2GB이상은 필수다. 현재 저 사양에서, 부팅직후 남은 물리 메모리는 700MB정도다.
----
※ 비스타 체험지수
프로세서, 메모리, 그래픽, 게임그래픽, 하드디스크 사양을 수치화 한 지수. 가장 낮은 지수가 3.0이상이 되어야 비스타를 사용하는데 지장 없다. 위 사양은 3.x가 나왔다.
내가 견적내는 PC는 아마 5.0 이상 나올 것이다. ^^
----
- M/B
ASRock G31M-S 57,000
G31,FSB1333MHz,PC2-6400,6Ch,24+4,2Bank,100MLAN
ASUS P5QL-CM 145,000
G43,FSB1333MHz,PC2-8500,8Ch,24+4,2Bank,DisplayPort,1GBLAN
ASUS P5QL-EM 160,000
G43,FSB1333MHz,PC2-8500,8Ch,24+4,4Bank,HDMI,eSATA,IEEE1394,1GBLAN
- CPU
인텔 펜티엄 울프데일 E5200 정품 87,000
2.5GHz*2,FSB800MHz,2MB,45nm,65W
인텔 코어2듀오 울프데일 E7400 정품 154,000
2.8GHz*2,FSB1066MHz,3MB,45nm,65W
- RAM
삼성 DDR2 2G PC2-6400 (정품) 29,000 * 2
※ 각각의 단품에서 한개씩 잡으면 됨. 호환성은 모두 확인했음
※ 싸게 하려면 57000 + 87000 + 29000 * 2 의 조합도 좋을듯. ㅎㅁ 20만원밖에 안드네요.
※ 추천하는건 가장 싼 보드에 좋은 CPU를 사고 VGA를 사서 끼우는것임. 오디오 카드와 저가형 기가비트 랜카드(만원내외)도 필요하면 구매.
8.0GB vs 3.37GB 윈도XP 메모리 인식 용량
Asus M2A-VM 에서 인식된 메모리. 3.37GB로 나온다
오늘 기존 램 팔아버리고 2GB 메모리 4개 획득. 램값 떨어지네 오르네 귀찮아서 그냥 질러버렸음. 5000원 이상 떨어지지만 않으면 손해는 안볼듯 ㅎㅎ
Intel DP43TF 에서 인식된 메모리. 3.24GB로 나온다
말 하려는건, 알고는 있었지만, 막상 확인하고 보니 쯔읍... 8GB 넣어줬드니 3.37GB로 인식하는 군요. 윈도 2003과 같은 서버용 운영체제는 32비트 운영체제라도 4GB이상 전부 인식하게 만들었으면서 이런건 왜 안했는지 모르겠네요. XP 개발할때였으면 메모리 용량이 4GB이상 되는 PC가 존재할 수 있었을텐데요. 하다못해 제온 서버에서는 그때쯤이면 4GB를 사용하는게 나왔을 텐데요.
CPU-Z 인식. 8GB를 모두 인식한다.
바이오스의 메모리 테스트도 통과했고, CPU-Z에서도 8GB로 인식되나, 윈도 XP의 시스템 등록정보에서는 3.37GB로 나오는군요. ㄲㄲ (3.37GB는 제 PC에서 그런겁니다. 다른 마더보드를 사용한다면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어쨌든 비스타 64비트로 업글 예정임. 인식안되는 부분은 램드라이브로 사용할 수는 있다던데 그건 별로 하고싶진 않아서 말이죠. 에혀...
----
4GB 이상 인식 안되는건 윈도XP가 '32비트 운영체제'라서가 아니라, 인식하도록 설계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32비트 운영체제'도 4GB이상 인식 가능합니다. 이는 CPU의 기능중 PAE라는 걸 사용해 인식 가능하게 하구요, 리눅스나 솔라리스 같은 운영체제들은 32비트라도 16GB까지 인식 합니다. [윈도 서버 2008 32비트]도 32비트지만 64GB까지 지원합니다. 32비트니까 4GB이상 인식 안된다고 생각하지는 말아주세요.
그럼 왜 안되게 했느냐, 제 생각엔 서드파티 드라이버 때문입니다. 드라이버 개발자들이 4GB이상을 감안하고 (PAE를 감안하고) 개발해야 하는데, 이게 간단한 문제가 아닙니다. 당시 윈도 드라이버 개발자들은 PAE에 대한 인식이 없었기 때문에 드라이버 개발에 문제가 많았죠. 한마디로 불안정했다는 의미입니다. 32비트는 PAE와 같이 개발해야하는데 그렇지 못했다는 의미입니다.
윈도의 64비트 드라이버 지원이 안정화 된건 2008년 이후 부터입니다. 그 전까지는 '꽝' 수준이었죠. 요즘 나온 비스타 64비트나 윈도 7 64비트의 경우 아주 쓸만합니다. 드라이버의 문제도 없는데다 결제도 잘 됩니다.
----
Windows Vista 32bit 설치 후기: http://windy.luru.net/651
Windows Vista 64bit 설치 후기: http://windy.luru.net/652
Windows 7 64bit 설치 후기: http://windy.luru.net/1102
Windows 메모리 한계: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aa366778(VS.85).aspx
4GB 인식을 위한 조건: http://windy.luru.net/1208
NW-X1060, NW-X1050
기능도 안드로메다(무쟈게 좋다는 뜻임), 가격도 안드로메다(무쟈게 비싸다는 뜻임).
소니에서 자랑하는 디지털 앰프가 들어갔으니, 음질도 좋을테고, 돈값은 하겠지만 너무 비싸당. ㅎㅁ 30만원대라면 기꺼이 지불하겠지만 말이다.
GP2X Wiz
- 왜케 방문자가 많나 보니, 명텐도 때문이었군요. 하지만 이번의 명텐도는 4월 13일 발매된 [GP2X Wiz]라는 게임기 때문입니다. 국내에서 개발된 휴대용 게임기죠. GP2X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지만, 아직까지 계속 발매되었다는게 놀랍네요. 게임파크홀딩즈라는 회사에서 3번째로 만든겁니다.
- 사양
ARM9 533MHz 프로세서
64MB 메모리
1GB 내장 저장장치
2.8인치 320×240 AMOLED 터치스크린
리눅스 기반 OS
SDHC지원
OpenGL ES 1.1 지원(iPhone과 같음)
NDS가 ARM9 66MHz, 메모리 4MB를 사용해 만든건데 이에 비하면 대단한 사양입니다. 직접비교는 어렵지만 사양만 놓고 보면 PSP와 비슷합니다.
- 리눅스기반이라 소스도 공개되어있어서, 외국에서는 꽤 많이들 사용하나 보네요. (전 세계에 리눅스 기반 게임 콘솔자체가 몇개 없습니다) 저도 한번 찾아봐야겠습니다. 명텐도와 비교할바는 안되겠네요.
- 대한민국 국민으로써 한번 사볼까 하는 생각은 있지만, 아마 사서 게임하기 보단 리눅스 깔고 이것저것 해보겠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