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AMD Phenom II X3 (Triple Core) → Quad Core로 인식
아래의 조건이 맞으면 트리플코어(3개의 코어)를 쿼드코어(4개의 코어)로 인식시키고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1. AMD 페넘II X3 (헤카) 720 또는 710: 2009년 04주~06주 생산품 중 일부
2. 790GX - SB750 마더보드 중 일부
3. 바이오스에서 ACC(Advanced Clock Calibration)를 Per Core로 활성화
쿼드코어로 만든걸 하나 끄게 해서 트리플 코어로 만든건데, 끈걸 다시 활성화 하는 거랍니다. 오~ 굿~ 이것에 성공한 CPU를 헤네브라고 부르네요. (Phenom II X3의 코드명이 헤카(Heka), Phenom II X4의 코드명이 데네브(Deneb)인데, 이를 합성한걸로 보입니다)
문제는... 현재 710/720의 가격이 쿼드코어 가격과 비슷합니다. 이게 알려지자 마자 바로 가격이 오른듯 하네요. ^^ 근데 일부만 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격은 원상복귀하겠죠.
마케팅 전략 같지는 않습니다만 AMD에서 공식적으로 입장을 밝히지는 않고 있습니다.
AMD AM2, AM2+, AM3, AM3+ CPU
※ 마더보드(M/B) 및 CPU 호환표
AM2 M/B AM2+ M/B AM3 M/B AM3+ M/B
AM2 CPU ○ ○ X X
AM2+ CPU ③ ○ ① X
AM3 CPU ④ ② ○ ○
AM3+ CPU X X ⑤ ○
X: 지원 안함
○: 지원 함
ⓧ: 주석 참조
① AM3 M/B 에서 DDR2 메모리를 지원하는 경우만 해당됨. 마더보드 바이오스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수 있음
② AM3 CPU 에서 DDR2 메모리를 지원하는 경우만 해당됨. 마더보드 바이오스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수 있음
③ 마더보드 바이오스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수 있음
④ 마더보드 제조사에 문의. 기본적으로 안되지만 제한적으로 지원 하는 경우도 있음.
⑤ 마더보드 제조사에 문의. 기본적으로 지원안됨. 핀배열과 최대 전류는 호환시켜도, 사이드밴드 온도 센서 규격(SB-TSI, Sideband Temperature Sensor Interface), VCore 스위칭 규격이 달라 사용 불가인 경우가 많음.
→ AM2, AM2+, AM3, AM3+ 모두 같은 형태의 소켓을 사용하고 있지만 핀 배열(막혀있는 핀이 있음)이 다르다. 따라서 AM2 마더보드에 AM3 CPU가 들어가지도 않는다.
![]() AM3+ | ![]() AM3 |
※ 메모리 차이
AM2, AM2+ CPU는 DDR2 메모리만 지원
AM3 CPU는 DDR2과 DDR3 둘 다 지원하거나 DDR3만 지원
AM3+ CPU는 DDR3 만 지원
DDR2 메모리와 DDR3 메모리는 핀 개수와 배열이 같지만, 전기적 신호가 다르기 때문에 혼용하거나 둘다 지원하는 마더보드는 현 시점에서는 없다. (마더보드에 DDR2 DIMM과 DDR2 DIMM 이 같이 달려나오면 가능하다. DDR2 DIMM에 DDR3 메모리를 끼울수는 없다. 놋치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문제는 2009.02월 현재 DDR2와 DDR3 메모리의 가격차이가 너무 난다는것.
삼성 DDR3 2G PC3-10600 52,000
삼성 DDR2 2G PC2-6400 29,000
DDR3메모리를 사긴 사야하나 가격이... 에혀...
----
2011.08.04 AM3+ 관련 내용 추가~
아답텍 호스트 레이드(HostRAID)
ADAPTEC AAR-1220SA 82,000 2포트/LP/RAID 0,1,JBOD/PCI-E 1x/NCQ
ADAPTEC AAR-1430SA 165,000 4포트/LP/RAID 0,1,10,JBOD/PCI-E 4x/NCQ
![]() 1220SA | ![]() 1430SA |
※ 정말 성능을 원한다면 50만원이 넘는 RAID카드를 써야 한다. 아답텍의 RAID 5나 1e가 지원되는 카드들 말이다.
※ 작년에 하드디스크만 5개가 고장났다. 그때 한번 사용할까 생각했던 제품. 데이터 날리는건 무서우니까 말이다. 지금은 사지 않는 것으로 결론은 냈지만, 왠지 아쉬움이 계속 남는 제품이다.
※ 호스트 레이드(Host RAID)란 기초적인 수준의 RAID 지원을 위한 내장 RAID 기술을 의미한다. 보통 iROC(intelligent RAID on chip)이라고 불리기도 하고, 컨트롤러의 펌웨어 형식으로 내장되어있다는 점 때문에 소프트웨어 RAID라고도 한다. 쉽게 말해 HDD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는 있지만 하드웨어적인 RAID 프로세서가 없는 RAID 컨트롤러다.
바이러스 보안 위협
- Win32/Conficker.worm.173318 : 콘플리커(Conficker) 혹은 다운애드업 웜(Downadup worm)
- Win32/AimBot.worm.15872: 에임봇(AimBot) 또는 2090 바이러스
MS08-067 취약점을 이용한 바이러스입니다. 몇달전에 콘플리커가 나오더니 몇일전엔 에임봇이 나왔죠. 문제는 피해가 심각하다는 것입니다.
위 두 바이러스가 위협이 되는건 저 웜에 걸린 PC들이 좀비 PC로 발전되기 때문입니다. '웜'이라서요.
바꿔말하면 DDoS 공격의 진원지가 될 수 있다는 것이죠. 참고로 몇몇 업종의 사이트는 요즘 DDoS공격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영향이 있는듯 하기도 하네요.
에임봇은 USB메모리도 감염시키기 때문에, USB메모리도 치료해야 합니다.
개인사용자들은 V3Lite 나 알약 같은거 빨리 사용하세요.
----
MS08-067: http://www.microsoft.com/korea/technet/security/Bulletin/MS08-067.mspx
에임봇: http://kr.ahnlab.com/info/smart2u/virus_detail_25902.html
콘플리커: http://kr.ahnlab.com/info/smart2u/virus_detail_24705.html
V3 Lite: http://www.v3lite.com/
알약: http://alyac.altools.co.kr/
윈도7 제품 라인업
Windows7 Home Premium (컨슈머)
Windows7 Professional (기업)
Windows7 Enterprise (Software Assurance 프로그램 채용 기업)
Windows7 Home Basic (신흥국)
Windows7 Starter (OEM용)
Windows7 Ultimate
* 홈 프리미엄과 프로페셔널 두가지가 주로 팔릴듯 하네요.
* 비스타는 사용상의 어려움 때문에 프로그래머나, 준 전문가 이상에서나 환영받는 운영체제였는데요, 이번 윈도 7은 일반인들에게 어떻게 어필할지는 모르겠네요. 권장사양도 (비스타에 비해서) 낮고, 더 빠르다는데요.
----
윈도 7인 이유: 원래 버전이 아래와 같이 매겨져 있었다. 버전은 탐색기에서 도움말 → Windows 정보를 선택하면 확인 가능하다.
Windows NT 4.0
Windows 2000 5.0
Windows XP 5.1
Windows 2003 5.2
Windows Vista 6.0
Windows 7 6.1
컴퓨터 견적 2009.02
2009.02 전월대비
에이엠디 페넘-X4 아제나 9550 159000 ↓6000
아수스 M3A78-T 디지탈그린텍 198000 ↓2000
삼성 DDR2 2G PC2-6400 31000 × 2↑11000
시게이트 SATA2 500GB 7200.12/16M ST3500418AS 81000 -
파이오니어 DVD-Multi DVR-S16FXB 53000 ↑4000
히로이찌 HEC H80 78000 ↓1000
에너맥스 MODU82+ EMD425AWT 99000 ↓17000
-------------------------------------------------------------------
2.2㎓×4,4GiB,500GB,DVD-Multi,425W 730000 ↓6000
2009.02 전월대비
에이엠디 애슬론64-X2 브리즈번 5200+ 정품 69000 ↓3000
아수스 M3A78-EM 디지탈그린텍 103000 ↓14000
삼성 DDR2 2G PC2-6400 31000 × 2↑11000
시게이트 SATA2 500GB 7200.12/16M ST3500418AS 81000 -
파이오니어 DVD-Multi DVR-S16FXB 53000 ↑4000
히로이찌 HEC PIANO 화이트 (HEC-300W) 68000 ↓5000
-------------------------------------------------------------------
2.7㎓×2,4GiB,500GB,DVD-Multi,300W,LP 436000 ↓2000
※ 주변기기 가격인하분을 메모리값이 올라 다 상쇄해버렸군요. ㅎㅁ
※ 시게이트의 하드디스크의 모델을 변경했습니다. 7200.11 의 버그 때문에요. 7200.12는 전송률에 있어서는 매우 만족한다고 하네요. 하지만 7200.11보다 액세스 타임은 안 좋다는 군요. 진짜 저대로 PC맞춰볼까 하는 분들은 댓글 남겨주시길...
시게이트 바라쿠다 7200.11 펌웨어 업데이트
Seagate Barracuda 7200.11 Firmware Update
시게이트 바라쿠타 7200.11에서 큰 문제가 발생했네요. 7200.11 거의 대부분의 모델에서 발생했습니다. 큰 문제란, 갑자기 드라이브가 인식되지 않는 현상입니다. 아무것도 묻지도 않고 따지지도 않습니다. 한마디로 환장하죠. Barracuda 7200.11, DiamondMax 22, Barracuda ES.2 SATA 모델중 대부분에 해당됩니다.
그외에도 하드디스크의 캐시 용량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고 전부 사용하지 못하거나, NCQ사용시 큐가 31개 넘어갈 때 절반정도로 성능이 저하되거나, NCQ 명령중 FLUSH_CACHE명령 사용시 타임아웃 걸리는 문제가 있긴 했습니다만, 이건 그래도 디스크는 사용 가능했었죠.
ST3500320AS
ST3640330AS
ST3750330AS
ST31000340AS
위 모델은 7200.11 32MB 500GB/640GB/750GB/1TB 짜리 모델입니다. 이외에도 더 있습니다. 특히 SD15, SD16, SD17, SD18, SD19 펌웨어를 사용하는 모델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펌웨어를 SD1A로 바꾸면 해결된다고 하네요. 자신의 시게이트 하드디스크의 모델명 및 펌웨어 버전을 보려면 가장 아래에 있는 링크를 클릭해 툴을 받아 실행하시면 됩니다.
저는 ST3500320AS를 여러대 가지고 있고 모두 해당되네요. ㅎㅁ 그리고 이미 하나 날렸습니다. 이거 보기전까진 왜 날렸는지도 몰랐네요. A/S 받으면 되지만 그간 모았던 자료는 어쩌라구요.
※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 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를 백업
1. 하단의 [시게이트 공지사항]링크를 클릭해, 자신에게 해당되는 드라이브 모델을 찾아 클릭한다.
2. 중간쯤 보면 하드디스크의 펌웨어가 들어있는 .ISO파일을 다운로드. 필자의 경우는 MooseDT-SD1A-2D-8-16-32MB.ISO 파일임. (1.6MiB)
3. 받은 파일을 CD로 ISO 이미지로써 굽는다
4. CD로 부팅한후 화면의 지시에 따른다.
----
시게이트 공지사항: http://knowledge.seagate.com/articles/en_US/FAQ/207931en
시게이트 드라이브 7200.11 펌웨어1: http://knowledge.seagate.com/articles/en_US/FAQ/207951en
시게이트 드라이브 7200.12 펌웨어2: http://knowledge.seagate.com/articles/en_US/FAQ/213891en
주: 펌웨어는 자신의 드라이브에 맞는걸 받아야 합니다.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인한 모든 실수는 사용자의 책임입니다. 왠만하면 그냥 A/S받으세요.
주2: *Note: This file has been temporarily taken offline as of Jan 19, 2008 8PM CST for validation. 라고 써 있네요. 검사을 위해 잠시 다운로드를 중지한답니다. 기다리는 수밖에 없는듯 하네요. 컴퓨터 안 끄고 있습니다. ^^
주3: 2009.01.22추가: 지금은 다운로드 제공하네요.
주4: 2010.12.23 현재는 SD2B까지 나와있습니다. (일부모델에 한함)
----
시게이트 바라쿠다 7200.11 → 7200.12 교환 완료: http://windy.luru.net/724ASUS M4A78 PRO
ASUS의 AMD마더보드는
M2~: Socket AM2
M3~: Socket AM2+
M4~: Socket AM3
처럼 이름지어질거 같네요. M4A78 PRO 는 AMD 780G + SB700 칩셋의 조합으로 되어있습니다. 원래는 AM2+ 지원을 위한 칩셋이지만 ASUS에서 AM3지원도 되도록, 그리고 최적화 시켜서 나오나 보네요.
다른 부분은 괜찮은데, 백 패널은 아주 맘에 안듭니다.
SDXC(Secure Digital eXtended Capacity)
- SD(Secure Digital): 최대 4GiB, FAT12/16 파일 시스템 사용
- SDHC(Secure Digital High Capacity): 최대 32GiB, FAT32 파일 시스템 사용
- SDXC(Secure Digital eXtended Capacity): 최대 2TiB, exFAT(일명 FAT64) 파일 시스템 사용
올 2분기에 나올 SDXC는 초당 104MB/s로, 최대 300MB/s까지 나올것으로 보인다네요. 저정도면 거의 하드디스크 급이군요.
exFAT(Extended File Allocation Table)은 FAT64라고도 불리며, 윈도우CE 6, 윈도우 비스타 서비스팩 1에서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파일 시스템입니다. 최대 16EiB(2의 64승)까지 지원합니다. 윈도우 XP에서는 uexfat.dll 와 exfat.sys 파일을 복사하면 사용할 수 있다네요. (공식 지원은 아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