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790GX, SB750 마더보드 ASUS M3A78-T
※ ASUS M3A78-T
※ DFI LANPARTY JR 790GX-M2RS
화려한 스펙만큼 가격도 역시 비싸다. DFI는 메이저(많이 판매하는)회사는 아니지만, 매니아(보통 마더보드 매니아들은 오버클러커들이다)들에겐 잘 알려져 있는 회사다. (난 매니아가 아니라 사용하지 않는다. ^^ 어서 ASUS것이 나와야 할텐데 말이다)
DFI는 랜파티(LANPARTY)시리즈와 인피니티(INFINITY)시리즈가 있는데, 인피니티가 보급형이다. 근데 랜파티 팀에 밀리는 바람에, 인피니티 개발팀은 폭스콘이라는 회사로 자리를 옮겨 퀀텀포스 시리즈를 만들고 있다.
가격: 179,000
블로그 관리 및 트래픽 올리기
1. 포스팅 회수
[일주일에 7개]보다는 [하루에 한개]씩 포스팅하는것이 가장 좋다. 각종 검색 엔진에서 방문하는 최대 회수가 2주에 한번이기때문에 최소한 이에 맞춰 포스팅 해야한다.
2. 제목은 두번 쓸것
HTML의 H1태그를 사용하면 금상첨화지만 그게 아니라면 하는 수 없다. 본문에 제목과 같은(!) 내용을 한번 쓸것. 윈디하나의 블로그도 그 컨셉을 유지하고 있다. 단 키워드 검색을 위한 메타 키워드 삽입이라던가,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같은건 전문 블로그나 전문 사이트가 아니면 무용지물이니 현혹되지 말자. SEO도 한번 해놓으면 끝까지 효과를 보는게 아니라, 검색엔진 알고리즘은 계속 조금씩 조금씩 바뀌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그리고 경험상 남들 다 하는거는 해봤자 소용 없다.
3. 코맨트와 트랙백
절대적으로 코멘트와 트랙백이 많아야 한다. 단 쓸데없는 스팸 트랙백과 코멘트는 반드시! 바로! 삭제할 것. 검색엔진엔 각 사이트마다 점수를 매기는데, '질 낮은 사이트'로 걸려있는 링크가 많은 블로그는 관리가 안되는 사이트로 간주해 해당 블로그 사이트의 점수도 깎는다.
4. 메타 블로그 사이트
검색엔진외에 다음의 블로거 뉴스(http://bloggernews.media.daum.net), 신지식(http://k.daum.net), 올블로그(http://www.allblog.net), 블로그코리아(http://www.blogkorea.net), 한RSS(http://hanrss.com) 에 등록해 놓을것. 주의: 트래픽이 너무 높으면 높은 트래픽을 감당하기 위해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가볍게 운영하려면 올리지 말 것.
5. 정보성 내용을 쓸것
내 소개는 필요 없다. 내 사생활은 필요 없다. (단 자신의 사생활을 평생동안 쓴다면(=일기) 그것은 매우 높은 가치를 지닌다) 그런건 방문자의 흥미 유발에 한계가 있으니깐. 최소한 사용기정도는 되어야 좋다. 전문 잡지 수준의 정보성 글이면 오케이다. 또한 뉴스에서는 하기 힘든 비평글이나, 비교글, 의견글, 광고글, 일생 생활의 노하우 같은 글도 매체가 쉽게 따라하기 힘들기 때문에 좋은 내용이 될 수 있다.
6. 서비스
블로그를 운영하는 서버가 다운되면 1∼2주일간 방문자수 20%는 줄어든다. 블로그를 활성화 시키려면 좀 비싸더라도 서버가 안정적인 곳을 찾아야한다. 또한 백업에도 신경써야 한다. 데이터를 날리면 수년간 노력했던 수고가 한순간에 물거품이 된다. 또한 검색엔진이 자신의 블로그 내용을 가져가지 못하게 막아놓은 사이트도 있는데 당연히 이런곳은 피한다.
MDR-XB40EX, MDR-XB20EX, MDR-EX500SL, MDR-EX300SL 소니에서 새롭게 발매될 이어폰
- 이어폰이 망가져 가고 있다. 피복 벗겨지고 전선도 몇가닥 끊어진듯 ^^ 구매하기 싫어도 구매할 수 밖에 없는 시점이 조만간 오지 않을까 생각중.
- 가격은 세금 비 포함, 발매가격임. 실 구매가격은 훨씬 저렴함.
※ MDR-XB40EX, MDR-XB20EX
XB는 엑스트라 베이스(EXTRA BASS)의 약자. 말 그대로 저음 대역을 중시하고 강화시킨 이어폰이다. 11월 10일 일본에서 발매 예정.
MDR-XB40EX MDR-XB20EX
임피던스Ω 16 16
감도dB/mW 105 103
재생대역 4㎐∼24㎑ 5㎐∼23㎑
드라이버크기㎜ 13.5 9
가격(엔) 5900 3500
MDR-XB40EX
MDR-XB20EX
MDR-EX700SL MDR-EX500SL MDR-EX300SL
임피던스Ω 16 16 16
감도dB/mW 108 106 105
재생대역 4㎐∼28㎑ 5㎐∼25㎑ 5㎐∼24㎑
드라이버크기㎜ 16 13.5 13.5
가격(엔) 35000 11800 5900
MDR-EX700SL
MDR-EX500SL
MDR-EX300SL
MDR-EX300SL과 MDR-EX90SL중 고민하고 있는것. 실 구매가격으로 8만원 정도다.
컴퓨터 견적
에이엠디 애슬론64-X2 브리즈번 4850e 72000
아수스 M3A78-EM 디지탈그린텍 89000
삼성 DDR2 2G PC2-6400 40000 × 2
시게이트 SATA2 640GB 7200.11/32M ST3640323AS 86000
파이오니어 DVD-Multi DVR-S16FXB 47000
스파클텍 첸브로 아이스 I 화이트 (FSP300W, LP) 53000
------------------------------------------------------
2.5㎓,4GiB,640GB,DVD-Multi 427000
에이엠디 애슬론64-X2 브리즈번 4050e 정품 54000
아수스 M2A-VM 디지탈그린텍 67000
삼성 DDR2 1G PC2-6400 17000 × 2
시게이트 SATA2 250GB 7200.10/16M ST3250410AS 슬림48000
삼성 DVD-Multi SH-S203B 화이트 정품벌크 24000
스파클텍 첸브로 아이스 I 화이트 (FSP300W, LP) 53000
------------------------------------------------------
2.1㎓,2GiB,250GB,DVD-Multi 280000
※ 마더보드의 AHCI 또는 RAID를 사용해 윈도우를 인스톨 하려면 플로피디스크(1000원)및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9000원)가 필요하다. 만원 투자할 만한 가치는 있다고 생각한다. 아수스 마더보드에 들어있는 시디는 부팅 가능한 시디이므로, 부팅해 윈도우용 드라이버 플로피 디스크를 만들면 된다.
※ GiB: 기비바이트라 읽음. 1GiB = 1024 × 1024 × 1024 = 1073741824 Bytes 보통 파일 및 메모리, 포맷후 저장용량의 단위
※ GB: 기가바이트라 읽음. 1GB = 1000 × 1000 × 1000 = 1000000000 Bytes 보통 하드 디스크(포맷전 저장용량)의 단위
※ ㎓: 기가헤르쯔라 읽음. 1㎓ = 1000 × 1000 × 1000 = 1000000000 ㎐ 보통 CPU 클럭의 단위
CERN, LHC
CERN(유럽 원자핵 공동 연구소)의 LHC (Large Hardron Collider, 거대 강(强)입자 가속기)가 올 9월10일 09시30분(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으로는 16시 30분)에 가동해 마이크로 블랙홀을 만든다고 합니다. 본격적인 연구는 10월부터라는군요.
그런데 [블랙홀을 만들면 거기 빨려들어가는거 아니냐, 그럼 지구가 빨려들어갈 수 있는거 아니냐] 이런말이 나오네요.
LHC 만들때부터 블랙홀 만들려고 했습니다. 아니 바꿔서 블랙홀 만들려고 LHC 만드는 거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여기서 블랙홀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블랙홀과는 달리 '마이크로 블랙홀'입니다. 달랑 수소 양성자 두개가 부딪혀서 만들어지는 블랙홀이라 중력이 매우 약하며, 호킹박사의 이론에 의하면 곧 사라집니다. 주변의 물질을 잡아당기질 못합니다. 이런 블랙홀은 이글을 읽고 있는 분 옆에도 만들어지는 것이죠.
이론상으론
① 현재의 LHC의 입자 가속력으로 블랙홀이 만들어지며
② 블랙홀이 만들어질때 소비된 에너지와 사라질때 발산된 에너지가 같지 않을것이다.(여기서 에너지는 질량을 가진 물질을 포함합니다. 아인슈타인이 그랬잖아요. 질량과 에너지는 같다라고요. E=MC²말하는 겁니다)
①, ②가 순서대로 진행된다면 이 우주에 제 5의 차원이 있다고 해석됩니다.
①에서 5의 차원이 있다면 양성자를 광속의 99.99999% 만 가속해 충돌시켜도 블랙홀이 생성됩니다. 5의 차원이 없다면 더 속도를 높여야 합니다.
②에서 블랙홀이 소멸될때 없어진 에너지는 제 5의 차원(3차원 + 시간 이외의 차원)으로 간것으로 이론상 추정됩니다. 또한 소멸될때 다양한 소립자가 생성되며 각종 검출기를 이용히 검출합니다. 소립자중 힉스입자의 검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제 5의 차원이 있다는 실증을 위해 실험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리고 LHC에 의해 실증된다면 전세계 최초로 제 5의 차원이 실증되는 순간이 될겁니다. 그리고 많은 소립자가 발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우리 세계에 11개의 차원이 존재해야 하는데 이를 증명하기 위한 첫번째 가장 어려운 단추를 채우는 것이죠.
미래의 어느날에는 [21세기 사람들이 무식해서 이렇게 거대한 지하구조물을 만들었다]고 하겠지만, 이게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는 해봐야 알겠죠.
※ CERN: 정식명칭은 European Organization for Nuclear Research 인데, 설립당시 프랑스어명칭인 Conseil Européen pour la Recherche Nucléaire(European Council for Nuclear Research 라는 뜻) 에서 따온 약어를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습니다.
CERN의 LHC 홈페이지: http://www.cern.ch/LHC/
LHC반대집단의 홈페이지: http://www.lhcdefense.org/
YAMAHA TSS-20(야마하 TSS-20)
야마하 TSS-20
야마하 TSS-20 후면
TSS-10은 기존의 TSS-1와는 완전히 다르게 야마하가 자랑하는 YSS-938칩을 썼다. (TSS-1은 YSS-918) YSS-938을 사용한 야마하의 보급형 앰프가 100만원대라는 것을 감안하면, 이 스피커의 20만원대 가격은 매우 저렴하게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기능적으로는 다 막아놨기 때문에 20만원대가 맞다) 시장에선 없어서 못 팔았을 정도였다. 스피커는 안 보고 디코더 때문에 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제품이다. 물론 나도 마찬가지다. (TSS시리즈의 위성 스피커는 그저 그렇다) ㅎㅎ
TSS-10 TSS-15 TSS-20
DSP YSS-938 YSS-948 YSS-948
최대출력(W) 40 40 40
RCA 인 1 1 1
옵티컬 인 2 2 2
코엑시얼 인 X 1 1
스테레오 인 X X 1
DD 5.1 O O O
DTS O O O
Prologic II O O O
ActiveServo O O O
Silent Cinema O O O
AAC 디코더 X O O
Cinema DSP X O O
VirtualSurround X O O
QD-Bass X O O
3.1 VirtualMode X X O
출시년월 2002.5 2005.5 2008.5
가격(만원) 22 22 28
※ 표에는 오류가 있을 수 있다
TSS시리즈를 사용할때 반드시 유념해야 할것.
- 우퍼 스피커는 좋다고 할 수 있지만, 위성 스피커는 바꿀 수 있다면 바꿔라. 4Ω 짜리 풀레인지 스피커를 사용하면 된다.
- Dolby Digital Live, DTS Connect 가 지원되는 사운드 카드 사용해서 모든 음악 소스를 DD/DTS 로 들을 것. 쉽게말해, 2채녈 스테레오 MP3를 DD5.1채널 인코딩 해서 디지털로 출력하고, 이를 TSS-20을 이용해 들으라는 뜻이다. 이게 아니면 TSS-20쓸 이유가 없다. 반대로 이렇게 하면 돈 아깝다는 생각이 안 들 것이다.
TSS-10 http://www.yamaha.co.jp/product/av/prd/cinema_st/tss-10/index.html
TSS-15 http://www.yamaha.co.jp/product/av/prd/cinema_st/tss-15/index.html
TSS-20 https://jp.yamaha.com/products/audio_visual/home_theater_systems/tss-20_black__j/index.html
핸드헬드 멀티미디어 기기(handheld multimedia device)
네비게이션,TPEG,DMB,PMP,사전,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이번에 사려고 하는 핸드헬드(손에 들고 사용하는)기기의 기능 요약이다. 한마디로 다~ 되야 한다. 위에서 열거한 기능을 자주 사용하지는 않겠지만, 없어서 못하는것과 있는데 안하는것은 나에겐 큰 차이다. 위에서 내게 가장 중요한건 PMP기능인데, 문제는 이런 제품이 너무 많다는 것. PMP 겸용 네비게이션, 네비게이션 겸용 PMP, PMP형 초소형 노트북, PMP 겸용 전자사전, PMP 겸용 MP3플레이어 등등이 나와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 고르는 방법
1. 화면의 크기,해상도
일단, 화면의 크기를 정해야 한다. 3인치 이하, 5인치, 7인치대가 있다. 내 생각으론 3인치는 동영상 보기엔 너무 작다. 5인치나 7인치가 필요할 듯 하다. 해상도는 800 × 480 이상 지원되면 더이상 볼것이 없다.
2. 운영체제,칩셋
운영체제: 임베디드 리눅스 또는 윈도우 CE. 개인적으론 윈도우 CE가 더 좋다.
칩셋: 알케미 또는 다빈치. 알케미 칩셋은 일반적으로 부가기능이 좋고, 다빈치 칩셋은 동영상 지원이 좋다. 개인적으론 알케미 칩셋이 더 좋다.
RMI Alchemy: WMV를 잘 지원. Au1250 700㎒까지 나옴.
TI DaVinci: XVID, H.264등의 고해상도 코덱도 잘 지원.
주) 기기의 해상도가 800 × 480 까지 지원된다는 것에 주의. 간단히 말해 초 고해상도는 필요 없다. 게다가 어차피 기기용으로 인코딩을 해야 한다.
http://www.razamicroelectronics.com/products_alchemy/au1250_overview.htm
http://www.ti.com/corp/docs/landing/davinci/index.html
3. 부가기능
안되도/없어도 상관 없을 듯한 기능들
무선인터넷: 무선인터넷을 통해 브라우징이 지원되면 좋다.
대용량HDD: 60GB이상의 하드디스크가 장착되어있으면 좋다.
H.264코덱지원: 디스플레이장치가 1080p를 지원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해상도가 1920 × 1080 를 지원 못하는 상황에서) H.264 지원이 무슨 소용이겠냐만 있음 좋다.
AV출력/입력: TV를 연결해 화면을 볼 수 있는 기능이며 반대로 입력 받을 수 있는 기능이다. 있으면 좋다. AV IN이 지원되면 나중에 캠코더와 연동될 수 있겠다는 생각도 해본다.
뇌파학습기능: 엠시스퀘어와 비슷한 기능. 학습에 도움된다고 한다. 필자가 고등학생때는 자율학습시간에 잘때 많이 사용했다.
백과사전기능: 사전기능에 한발 더 앞서 나간 기능이다. 문제는 이게 있으면 비싸진다.
현재 COWON Q5 NAVI 60GB (68만원)가 끌리긴 하는데, ㅎㅁ 너무 비싸다. ^^ 60만원정도가 적정가가 아닌가 생각되는데 말이다. 게다가 출시된지 6개월이 넘은 구형이기도 하고. 그래서 7월 중순에 COWON P5 NAVI 60GB 가 나왔는데, 가격이 아직 안 떴다. Q5보다 더 비싸겠지. ^^
COWON P5 블랙
ASUS M3A78-EM (출처: ASUS)
텍스트큐브의 동영상 퍼오기 강좌
1. HTML 소스를 긁어온다. 유투브의 경우 오른쪽 아래의 단추를 누르면 아래의 캡처화면처럼 HTML코드를 복사할 수 있다. Ctrl+A를 눌러 전체선택하고 Ctrl+C를 누르면 된다.
2. 태터툴즈 글을 작성할때 [미디어 삽입]을 이용해 넣는다. 유형에 [코드 붙여넣기]를 선택하고 1. 에서 복사한 HTML코드를 붙여넣으면 된다. 자신의 글 작성 페이지가 아래와 같이 안 나오면 버전 업글을 요청할것.
(아울러 루루 서버 업글은 7월 초로 연기되었다. ^^)
AMD에서 6월 3일 발표할 790GX, SB750 칩셋
AMD에서 6월 3일 발표할 790GX, SB750 칩셋에 대해 관심이 높다. (6월 3일은 대만에서 컴퓨덱스가 열리는 날이다) 이전 블로그 글에서도 밝혔듯, 아직 7xx씨리즈 칩셋을 사용한 마더보드에서 살만한게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 6월 3일 발표될 칩셋및 마더보드에 관심이 높아지는건 당연한 얘기.
690G 780G 790GX
Codename RS690 RS780 RS780D
GraphicCore HD1250 HD3200 HD3300
GraphicFeat Hybrid Hybrid CFX
PCI-E 16x 16x 8x×2
SIDEPORT X GDDR3 GDDR3
※ 690G는 740G로도 불린다. 두 칩셋은 사우스 브릿지인 SB700의 사용 여부에따라 다르다. 690G는 SB600, 740G는 SB700을 사용할 수 있다. 성능을 비롯한 다른 기능은 모두 같다.
SB600 SB700 SB750
SATA 4 6 6
eSATA X O O
SATA RAID 5 X X O
USB 2.0 10 12 12
Clock Gen ? - O
OverDrive 3.0 X X O
어쨋든 좋다. 가격만 빼놓고는
690G → 7∼ 8 만원
780G → 8∼11 만원
790GX → 15∼20 만원(예정가)
정도...
790GX, SB750 을 사용한 GIGABYTE의 GA-MA790GP-DS4H 마더보드 (출처: 기글하드웨어(http://gigglehd.com)) 6월초 발매예정이었으나 7월 말 현재 아직까지 발매하지 않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