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공개SW? 공짜SW?

공개 소프트웨어(Open Software)와 공짜 소프트웨어(Free Software)는 엄연히 다른 말이다. 공개 소프트웨어란 소스가 공개(Open Source)되어있는 소프트웨어를 뜻하고 공짜 소프트웨어란 말 그대로 공짜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뜻한다.

소프트웨어에서 소스(Source)란 일종의 제품 설계도와 같다. 소스를 컴파일러를 이용해 컴파일 하면 실행 코드가 나온다. 이는 자동차 설계도(소스)를 가지고 공장에서 기계(컴파일러)를 이용해 작업(컴파일)하면 자동차(실행코드)가 나오는 것에 비유될 수 있다.

문제는... 소스가 공개되어있다고 해서 공짜로 쓸 수 있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소프트웨어 특성상 원가가 없다, 복제가 자유롭다는 것 때문에 공개된 소스를 이용해 거의 0에 가까운 비용을 들여 실행코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공개소스소프트웨어는 대부분 공짜소프트웨어이다. 하지만 항상 그런건 아니다.

단지 소스만 공개되어있을 뿐이다. 그것이 쓸만한 소스이고 그것을 이용해서 제품을 만들려면 설계도에 대해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게 공개 소프트웨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다. [소스만 공개]되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자, 그럼 소스를 왜 공개할까? 자칫하면 프로그래머들의 밥줄을 끊어놓을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는 조금 잘못된 생각이다. 당신이 자동차 설계도를 얻었다고 해보자. 그것 가지고 당신은 자동차를 만들 수 있는가? 아니다. 우선 그 설계도를 이해하는 것 조차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 그 설계도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을 고용해 자동차를 만드는 방법이 있다. 그렇다. 프로그래머 취직 더 잘된다. ㅎㅎ

소스가 공개되어있으니 그대로 만들면 타사와의 제품 차별성이 전혀 없어져 판매할 수가 없다. 살짝~ 바꿔야 한다. 소스를 가지고 조금 더 좋게, '나만의 제품'을 만들어서 제품 팔면 안될까? 하는 얌체같은 생각을 할 수가 있다. 이는 라이센스때문에 안된다. 대부분의 오픈 소스 제품은 GPL(GNU Public License)이라는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다. 이 라이센스의 핵심은 'GPL라이센스를 따르는 오픈 소스 제품을 소스를 수정한 경우 수정된 소스를 공개해야 한다'는 조항이 있다. 그렇다. '나만의 제품'도 소스를 공개해야 한다.

그럼 GPL로 하면 돈이 안되겠네. 회사들은 다 망하는거 아냐? 하고 생각할 수 있겠다. 소스를 공개해놓고 제품 만들어 파는건 회사의 수익에 악영향을 끼칠것이라 생각하기 쉽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소프트웨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는 통용되지 않는다.

실례로, 레드햇이라는 회사는 [리눅스]라는 제품의 소스를 수정해 만든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서버, 이하 RHELS]라는 제품을 판매하며, [리눅스]가 GPL을 따르기 때문에 당연히 저 제품도 소스가 공개되어있다. 그리고 이 공개된 소스를 가지고 센트오에스라는 곳에서 'CentOS'를 만들었다. 따라서 RHELS와 CentOS는 사실상 동일하다. 단지 RHES는 약 40만원에 판매되는 제품이고 CentOS는 무료라는 점이다. 그럼 레드햇이란 회사는 어떤가? 잘나가고 있다. 돈 잘~번다. 왜냐... 한가지때문이다. 바로 [지원]. 소프트웨어란 버그가 있게 마련이고, 그 버그는 치명적일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급하게 필요로 할 때가 있다. 이런때 필요한 것이 레드햇 회사의 [지원]이다. 'CentOS'는 그런거 없다. 즉 회사에서는 40만원의 부담되지 않는(?)가격이라면 살만 한 것이다.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도 공개소스가 있다. 어차피 FEB(반도제 제조 공장)을 일반인들이 가지고 있는건 아니니 이거 공개한다고 무슨 소용이겠냐만 어쨌든 공개는 되어있다. 오픈 스팍(Open SPARC) 이라는 CPU가 그 좋은 예이다.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와 공짜 소프트웨어는 같은 말이 아니다.

----

GNU의 GPL 라이센스
http://www.gnu.org/copyleft/gpl.html

GNU의 GPL 라이센스 한글판(비공식) - 공식적으로 GPL은 번역하지 않습니다
http://korea.gnu.org/people/chsong/copyleft/gpl.ko.html

레드햇
http://www.redhat.com/

CentOS
http://www.centos.org/

오픈 스팍
http://opensparc.sunsource.net/nonav/index.html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 2004-06: 한국IBM에 IT인프라 관리 아웃소싱 10년 계약

* 2004-12-09 11시30분 ~ 13시30분: 네트워크 장비 교체작업시 문제발생 - 일부 접속 불가

* 2005-02-21 00시30분 ~ 01시: 서버 프로그램 교체 버그 - 일부 서비스 접속 불가

* 이하는 모두 2006년
* 3월  9일 19시 ~ 23시 까지: 가비아측 DNS 존 파일 설정 오류 - 접속 불가
* 3월 14일 11시 ~ 12시 까지: 이미지 서버 다운 - 이미지 보이지 않음
* 6월  5일 09시 ~ 11시 까지: KT 전원장애 - 일부지역 접속 불가
* 7월  9일 06시 ~ 12시 까지: 네트워크 장비 오류 - 접속 불가

- 나같음 아웃소싱 안함 - 불쌍타. 아직 8년이나 남았네.

2003년 1월 25일 낮 12시경 시작된 울나라 인터넷 전체의 서비스 접속 장애에 대해 기억하고 있을 겁니다. 전 그때 마침 IDC(Internet Data Center,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있었는데, 정말 속수 무책이었죠. 당시 네트워크에 대해 초보 수준이었지만 이걸 계기로 조금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장애는 발생했는데, 해결책이 없는것 만큼 답답한것도 없죠.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합니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소켓 AM2의 런칭 이후

PC의 CPU는 인텔과 AMD가 양분하고 있습니다. 이중 AMD에서 이번에 새로운 규격을 만들어 발표했습니다. Socket AM2가 그것입니다. 발표한지는 꽤 지났네요.

아직도 Socket A쓰고 있는 나로써는 (약 3세대 전 모델임) 바꿔야 한다는 생각은 많은데 현재로는 망설이게끔 하는게 있습니다. 다름 아닌 메모리.

원래 AMD의 소켓 AM2에는 DDR2-6400 을 써야 제 속도가 나는데, 현재 이 메모리가 너무 비싸다는게 흠입니다. 셈프론급 CPU(저가형)에는 PC2-5300까지 지원하지만, 애슬론급 CPU이상은 PC2-6400을 지원해준다는 거죠.


동작클럭  SDRAM     DDR-SDRAM     DDR2-SDRAM    DDR3-SDRAM
 66MHz    PC66
100MHz    PC100      PC-1600       PC2-3200      PC3-6400
133MHz    PC133      PC-2100       PC2-4200      PC3-8500
166MHz               PC-2700       PC2-5300      PC3-10600
200MHz               PC-3200       PC2-6400      PC3-12800
266MHz                             PC2-8500
핀수      168핀        184핀         240핀         240핀


즉 AM2용 CPU는 외부 클럭으로 800MHz까지 지원됩니다. 이는 PC2-6400(400MHz)를 듀얼채널로 사용하면 딱 맞는 클럭이 됩니다. 따라서 PC2-6400 을 써야 타이밍이 정확하게 맞아 빠르다는 것입니다.

언제 가격이 싸지려나요... PC2-6400 메모리가 시장에 많이 나와야 별 망설임 없이 구매할텐데요.

* 동작 클럭은 메모리 칩의 동작 클럭을 의미합니다. DDR2-SDRAM의 경우 DDR-SDRAM과 같은 스피드의 칩을 사용해도, I/O 클록이 2배가 되기 때문에 2배의 성능을 냅니다. DDR3-SDRAM의 경우 I/O 클록은 DDR의 4배가 되어 4배의 성능을 냅니다. I/O 클록은 메모리 모듈의 클록과 같습니다.

* I/O클록 비교
PC100 = PC-1600 = 100MHz
PC2-3200 = 200MHz
PC3-6400 = 400MHz

* 메모리로부터 1 byte 의 데이터를 읽을때는 동작 클럭이 같은 제품은 속도가 같습니다. 1바이트를 읽는다면 PC100, PC-1600, PC2-3200, PC3-6400 의 속도는 같다는 뜻입니다.

* PCx- 뒤의 숫자는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입니다. 클수록 좋습니다. 예를들어 PC2-6400 은 6.4 GiB/s 의 전송률을 가집니다.

----

SDRAM 메모리 종류: http://windy.luru.net/949
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DR-SDRAM: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솔라리스 10 새로운 버전, 그리고 ZFS
 
솔라리스 10 새로운 버전 (update 2)이 2006년 6월 등록되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 드디어 ZFS(Zetabyte File System)가 나왔습니다. 2년 전에 나온다고 했던게 이제 나온거긴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ZetaByte 급 저장소(하드 디스크)를 지원하는 시스템이긴 하지만, Z 가 마지막이른 의미로, 최후의 파일 시스템이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이보다 더 좋은게 나올 수 없다는 의미지요. 현재로써는 최강의 파일 시스템입니다.
 
제타바이트는 1,180,591,620,717,411,303,424 바이트를 의미합니다.

1 B  = 8 b      1 바이트 = 8 비트
1 KB = 1024 B   1 킬로 (Kilo) 바이트 = 1024 바이트
1 MB = 1024 KB  1 메가 (Mega) 바이트 = 1024 킬로 바이트
1 GB = 1024 GB  1 기가 (Giga) 바이트 = 1024 메가 바이트
1 TB = 1024 GB  1 테라 (Tera) 바이트 = 1024 기가 바이트
1 PB = 1024 TB  1 페타 (Peta) 바이트 = 1024 테라 바이트
1 EB = 1024 PB  1 엑사 (Exa)  바이트 = 1024 페타 바이트
1 ZB = 1024 TB  1 제타 (Zeta) 바이트 = 1024 엑사 바이트
1 YB = 1024 ZB  1 요타 (Yotta)바이트 = 1024 제타 바이트

1 KB = 1,024 (2 ^ 10)
1 MB = 1,048,576 (2 ^ 20)
1 GB = 1,073,741,824 (2 ^ 30)
1 TB = 1,099,511,627,776 (2 ^ 40)
1 PB = 1,125,899,906,842,624 (2 ^ 50)
1 EB = 1,152,921,504,606,846,976 (2 ^ 60)
1 ZB = 1,180,591,620,717,411,303,424 (2 ^ 70)
1 YB = 1,208,925,819,614,629,174,706,176 (2 ^ 80)

꼭 만억조경해자양구간정재극 을 보는거 같네요.
 
요즘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는 조만간 1 TB를 넘길것 같습니다만, 1 ZB 짜리 저장 공간을 보려면 얼마나 기다려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어느 애널 리스트의 말로는 10년 에서 15년 후라고 합니다.
 
단순히 큰 용량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 뿐만 아니라, 많은 공간을 요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도 합니다. 시스템 관리자에겐 이게 더 중요하죠. 서드파티로는 많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솔루션이 있지만 운영체제에 내장된 형태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건 ZFS가 처음입니다.
 
이제 스킬업을 해야 할 때가 온것 같다는 느낌이네요.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스팸방지를 위한조치

잊을만 하고 좀 풀어주면 다시 스팸이 붙네요. 일단 다시 조치해놨습니다.

1. 코멘트 스팸 방지를 위해 영문만으로 된 코멘트는 달 수 없습니다. 사용하실때 참고해주세요.

2. 트랙백 스팸 방지를 위해 트랙백 서버가 정말로 존재하는지 확인합니다. 태터툴즈 1.0.5 기능입니다. 트랙백 처리가 조금 늦어지겠지만 어쨌든 트랙백 스팸은 확실하게 제거되겠네요.

이렇게 두가지입니다. 레퍼러 상으로는 구글 제팬에서 오는것으로 되어있지만, 아무래도 레퍼러 조작된듯 하네요. IP 추적결과 루마니아인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아마 이 IP도 조작되었을 가능성이 높겠습니다만, 그나마 우리나라에서 온건 아니라 다행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