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하드디스크 용량 제한 (Hard Disk Size Barriers)

10.4MiB
PC/XT시절 제한 (12실린더, 4헤드, 17섹터)

16MiB
FAT12의 파티션 사이즈 제한 (4086 클러스터, 클러스터당 4096 바이트)

32MiB
DOS 3.x의 제한 (16374클러스터, 클러스터당 2048 바이트)

128MiB
DOS 4.x의 제한 (65525클러스터, 클러스터당 2048 바이트)

503MiB
IDE/ATA와 Int 13h 기반 하드디스크의 제한.
IDE/ATA(16bit실린더,4bit헤드,8bit섹터)
Int13h (10bit실린더,8bit헤드,6bit섹터)
작은값 (10bit       4bit     6bit    )=504MiB

2GiB
32bit로 표현할 수 있는 한계용량. 운영체제가 32bit여도 디스크 처리 부분은 여분의 비트를 두기 시작했음

2.5GB
CHS 기반의 하드디스크에서 10 bit 실린더를 사용했을때의 하드 디스크의 한계 용량

2.15GB
FAT16 파일 시스템을 사용한 운영체제(예를 들어 DOS)의 한계 용량

8.4GB
인터럽트 번호 13h(Int 13h)를 사용하는 운영체제(예를 들어 DOS)의 한계 용량

32GiB
FAT32 파일 시스템을 사용한 운영체제(예를 들어 윈도우 95)의 한계 용량

128GiB
28bit LBA를 사용한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의 한계 용량. 패치하지 않은 윈도우 XP의 한계용량임

2TB
32bit OS 시스템에서의 한계용량. (제한 없는 32bit OS도 있음)

2.2TB
MBR(Master Boot Record)를 사용하는 디스크 레이아웃 방식의 한계. 이후부터는 EFI(Extensible Firmware Interface)의 GPT(GUID Partition Table)나 EBR(Extended Boot Record)을 사용해야 함.

128PB
48bit LBA를 사용한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의 한계 용량. 1PB = 1,024TB = 1,048,576GB

----

http://www.pcguide.com/ref/hdd/bios/size.htm
http://www.seagate.com/support/kb/disc/bioslmt.html
http://www.storagereview.com/guide2000/ref/hdd/bios/size.html
http://www.microsoft.com/whdc/device/storage/GPT_FAQ.mspx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1: 기초 알고리즘(개정 3판)

사용자 삽입 이미지


Donald Ervin Knuth 저.

이 책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관심 있다면 유명한 책이다. 말로만 듣다가 몇년전 교보문고 외서에서 2판을 처음 봤을때 그렇게 사고 싶었는데 비싸서 못샀다. 원서였으니깐 ^^

컴퓨터 프로그래밍 전반에 대한 내용이 모두 수록되어있다. 프로그램을 어떻게 짤것인가 에 대한 내용, 주로 알고리즘과 관련되어있다.

사야쥐... 장식용으로...

글쓴시간
분류 기술,IT/이어폰

소니 MDR-EX51, MDR-EX71, MDR-EX81

MDR-EX51LP/WHI

MDR-EX71SL/WK

MDR-EX81LP/W

MDR-EX90LP

MDR-NC11A/WHI

MDR-NC22/W

모델명          가격     출시일    국내가격
--------------- ------   -------   --------
MDR-EX51LP/WHI  $39.99   2003.02   30,700원
MDR-EX71SL/WK   $49.99   2003.02   39,700원
MDR-EX81LP/W    $49.99   2004.11?
MDR-EX90LP      $99.99   2006.04   97,000원

* MDR-EX51LP 음질 그저 그럼. 아는 사람것 한번 들어봤음.
* MDR-EX71SL 써본것 중에서는 마음에 듬. 단점이라면 땀에 약하다는거.
* MDR-EX81LP 지금 쓰고 있는것. 비추. 차라리 EX71이 좋을듯. 귀에 거는 타입이라 쏙 안들어간다.
* MDR-EX90LP 한번 써봐야 하는데...

MDR-EX81LP/W는 국내 정식 발매가 되지 않았고, MDR-NC11A/WHI은 국내에 출시되었다가 슬그머니 들어갔다. MDR-NC22가 조만간 정식 발매되기 때문일까? (물론 인터넷 쇼핑몰이나 용산가면 쉽게 구할 수 있다)

MDR-EX90LP과 MDR-NC11A/WHI 가 가격이 같은데 디자인은 둘다 좋지만 음질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 첨엔 전혀 살 생각 없다가 조만간 지를 PSP때문에 역시 하나 있어야 할듯. 현재로써는 MDR-NC22의 국내 정식 출시 가격을 보고 MDR-EX71SL/WK 를 사용할 확률이 높음 (현재 MDR-NC22의 병행 수입품 가격은 약 7만원선)

- MDR-NC~ 시리즈는 전지를 넣어야 작동한다. AAA전지 한개인데, NC가 바로 노이즈 캔슬링(Noise Canceling)의 약자로 잡음 감쇄회로가 장착된 이어폰이라는 뜻. 주변의 잡음을 잘 없애준다고 하는데... 얼마나 그럴지는 써보지 않아서 모른다. 차라리 MDR-EX71같이 귀를 잘 막아주는 이어폰이 더 노이즈 감소에 효과적이다 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 이어폰계의 명품은 바로 슈어의 이어폰이라고 한다. 가격이 15만원~ 60만원대까지 있다. 물론 음질은 소니와는 비교하기 힘들다고 한다. 아래는 한때 구매하려 했던 이어폰인 E4c. 국내에서 27만원 정도에 팔리고 있다.

E4c

----

http://www.shure.com
http://www.sonystyle.co.kr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구글이 유튜브를 인수하네요. 몇주전부터 이야기가 나오더니 결국 인수하는군요. 인수가격은 16억5천만달러. 울나라돈으로 약 1조 6천억원 정도 됩니다. ㅎㅁ 비싸네요.

유튜브는 세계 최대의 동영상 공유 사이트입니다. 울나라용 컨텐츠도 많습니다. 'xx녀' 동영상도 울나라 네이버나 다음에서 검색하는것 못지 않게 있습니다. (단 영어로 검색해야 함^^) 우리나라에서도 접속하면 매우 빠를정도로 전 세계적인 배포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글은 세계 최대의 검색 엔진 회사죠. 이 둘이 합병했으니 시장 점유율은 더욱 높아지겠네요.

구글은 자체적으로 '구글 비디오'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유튜브와 같은 서비스죠. 그런데 이 서비스가 유튜브에 밀려 맥을 못추는 겁니다. 그래서 인수해버린거라 하네요.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해 키워보다가 안되면 1위업체를 인수하는 방법. 꼭 MS애덜이 하는거랑 비슷하게 보이네요.

----

http://www.youtube.com/
http://video.google.com/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AMD 사용자를 위한 CPU / RAM 메모리 클럭 비교

533 = DDR2-4200
667 = DDR2-5300
800 = DDR2-6400
 
즉 DDR2-6400 메모리를 제대로 쓸 수 있는 CPU는 CPU클럭스피드가 1.6GHz, 2.0GHz, 2.4GHz 이라는 뜻이다. 1.8GHz, 2.2GHz, 2.6GHz의 CPU를 사용할 경우 DDR2-6400 메모리를 사용하는건 돈 낭비가 된다.

CPU 의 경우

Athlon 64 Oleans 3000+ = 1.8 GHz  67,000 원
Athlon 64 Oleans 3200+ = 2.0 GHz  83,000 원
Athlon 64 Oleans 3500+ = 2.2 GHz  85,000 원
Athlon 64 Oleans 3800+ = 2.4 GHz 112,000 원

Athlon 64 X2 Windsor 3800+ = 2.0 GHz 155,000 원
Athlon 64 X2 Windsor 4200+ = 2.2 GHz 186,000 원
Athlon 64 X2 Windsor 4600+ = 2.4 GHz 266,000 원

이 되기 때문에, Athlon 64 Oleans 3000+, Athlon 64 Oleans 3500+, Athlon 64 X2 Windsor 4200+ 이 세개의 CPU를 사용하는 경우 DDR2-6400의 제속도가 나올 수 없다는 뜻이다. 당연히 난 이거 안쓴다. ^^ 가격을 보면 이런것이 반영되어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 도표의 출처는 에즈윈 http://www.aswin.co.kr 홈페이지입니다.

- 하이닉스 총판이 이오 메모리로 바뀌었다는데 정말 질러야 할지도...

----

http://aswin.co.kr/board/up/webedit/1156175310-am2speed.jpg
http://www.eoelectronics.com/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구매 예정 PC

CPU: AMD 애슬론64-X2 윈저 3600+ 정품               146,000
RAM: 하이닉스 DDR2 1G PC2-6400U                    120,000 × 2
M/B: ASUS M2N-E 디지탈그린텍                       112,000
VGA: EVERTOP 라데온 X1600XT 256MB 잘만             133,000
HDD: Seagate SATA2 320G (7200.10/16M) 정품          96,000
ODD: LG DVD-Multi GSA-H10L 화이트 정품              53,000
PSU: Antec Neo HE430                                97,000
CSE: 3Rsystem R240 ZION 화이트                      38,000
KBD: 삼성전자 SKG-220C Basic COMBO                  12,000
P/D: Microsoft Wheel Mouse                          13,000
MNT: LCD 유플러스비젼 UP-M23U                      500,000
총계:                                            1,440,000
HDD/ODD/KBD/PD/MNT제외:                            766,000

초보자를 위한 스펙 간단 정리
AMD 64비트 듀얼코어, 2GB 램, DVD±RW, 하드디스크 320GB

범례
- RAM: 흔히 램이라 하지만, 정확하게는 메모리 모듈을 말함[× 2]는 듀얼 채널 구성을 위함
- ODD: Optical Disc Drive([CD-ROM, DVD 드라이브]라고 불림)
- PSU: Power Supply Unit ([파워]라고 불림)
- CSE: Case 케이스. 일반적으로 통용된 약어는 아님
- KBD: Keyboard 키보드
- P/D: Pointing Device 포인팅 디바이스. 보통 마우스를 말함
- MNT: Monitor 모니터. 일반적으로 통용된 약어는 아님

- CPU: AMD 애슬론64-X2 윈저 4200+ 정품 (187,000원)과 매우 고민중임
- RAM: 샘숭램을 버리고 싶지는 않지만, 샘숭램에 써 있는 마데인차이나는 ㅠㅠ. 그래. 하이닉스도 국산이다.
- PSU: 나도 안텍 트루 파워 쓰고 싶어서 지를까 함
- CSE: 구매 조언(나중에 살때를 대비해) 제품 구별은 박스에 a: 실버 b: 블랙 etc: 화이트로써 표기되어있다. 즉 나는 ETC라 표기된걸 사야한다는 뜻. R110이 9월 10에 나오는데 화이트가 있을 경우 구매할 생각이 있다.
- P/D: [볼 마우스]라고 하면 실망하겠지만 지금 쓰는 몇십만원짜리 포인팅 디바이스 만큼 좋아한다. 저거 사러 갔다가 정작 다른거 사온경우가 많았음. 이번엔 꼭 사야쥐.
- ODD, KBD, MUS는 아마 구매 안할듯. 지금 쓰고 있는것이 더 좋기 때문임 ㅎㅎ
- 결국 업그레이드를 가장한 신규 구매가 될듯 한데...

드디어...

PC가 안 켜진다.

ㅠㅠ 3년 넘게 썼으니 불만은 없지만, 왠지 아쉬운 느낌이 든다. 꽤 정들었는데 말이지. 일단 고쳐보긴 하겠지만, 컴퓨터와 한 10여년의 경험으론 왠지 업글 외엔 방법이 없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어쨌든 위의 사양으로 바꿀껄 고려중이다. 저정도면 현재 나온 게임들도 쌩쌩하게 잘 돌아가겠쥐...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Windows VISTA 가격

차세대 OS로 많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Windos XP 의 후속버전 Windows VISTA. 내년 1월 판매 예정인데요, 가격이 공개되었다고 합니다.

Windows Vista Home Basic: $199.00
Windows Vista Home Premium: $239.00
Windows Vista Business: $299.00
Windows Vista Ultimate: $399.00

Windows XP Home w/SP2: $259
Windows XP Professional w/SP2: $429


오늘자 기준환율(1 USD = 961.40 KRW)로 환산하면
베이식: 19만원
프리미엄: 23만원
비즈니스: 29만원
울티메이트: 38만원

이 되겠네요. ㅎㅁ 비싸네요. 적어도 비즈니스 버전을 사용해야 할텐데요.

윈도우 XP 홈은 25만원
윈도우 XP 프로페셔널은 42만원

이 됩니다.

http://www.microsoft.com/canada/pricelists/default.asp 에 올라와있던 정보인데 지금은 지워졌다네요.

----

http://blogs.zdnet.com/Bott/?p=124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드디어 나왔다~! 삼성 DDR2 PC2-6400 메모리.

이전에 PC2-6400 안나와서 고민이라는 내용의 글을 쓴적이 있습니다. http://windy.luru.net/73 인데요, 드디어 나왔습니다.

안정성 문제로 타사 제품을 쓸 수는 없고 해서 삼성이나 하이닉스에서 언제 나오려나 했는데, 드디어 나왔군요. 등록된지는 꽤 되어 보입니다만, 이제야 글을 쓰게 됩니다.

메모리는 정말 우리나라가 잘 만듭니다. 삼성과 하이닉스 합쳐서 전세계 시장의 43.9%를 괜히 차지하고 있는게 아니죠. 메모리는 크게 메모리 콤포넌트(칩)을 만드는 기술과 메모리 모듈을 만드는 기술이 있습니다. 이 두가지 모두 우리나라 업체들이 다른 나라 업체들을 압도합니다. 이거 자세히 쓰면 한도 끝도 없겠네요. 생략. 조만간 메모리에 대해 쓸 생각입니다.

----

http://windy.luru.net/73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지상파 DMB와 BIFS

BIFS란 Blnary Format for Scene의 약자로, 직역하자면 [장면용 이진 포맷]이 됩니다. TV에서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끔 해주는 것으로 쉽게 얘기하자면 [드라마를 보다가 주인공이 입은 옷이 맘에 들면 즉석에서 TV를 이용해 살 수 있다]는 거죠. 채팅도 되구요(키보드가 없어서 조금 힘들겠지만). 이런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문제는 이게 지금 나와있는 지상파 DMB 기기와 안 맞는다는 것입니다. PMP던 핸드폰이던 말입니다. 기기가 다운되거나,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던가요. 정확하게 어느쪽의 잘못인지는 모르지만 기기의 잘못일 확률이 높은데요, 표준을 지키지 않은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고 하네요. 자칫하면 리콜해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대부분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해결한다고 합니다. 제 생각이지만 펌웨어 업그레이드로는 DMB방송이 나온다는 거지, BIFS를 지원한다는 얘긴 아닐듯 합니다. 네비게이션에선 안되도 상관 없지만 핸드폰에서는 이 기능이 제대로 지원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네요.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RSS, AJAX, CSS 2 그리고 UCC

앞의 세가지는 차세대 홈페이지로 가기 위한 기술들이고, 마지막것은 차세대 홈페이지의 궁극적인 목표라 하겠죠.

RSS: RDF Site Summary, Rich Site Summary, Really Simple Syndication의 약어. 버전별로 의미가 다르다. 가장 초기에는 RDF Site Summary로 불리었으나 현재 RSS v2.0이 나오면서 Really Simple Syndication 로 불린다. [매우 간단한 배급]이라는 뜻으로 컨텐츠(내용물)의 배급을 위해 만들어진 파일의 포맷. 블로그 오른쪽 아래의 오렌지색 사각형안의 무늬가 RSS를 지원하는 페이지를 의미한다. [자신의 사이트의 목차를 일정한 형식으로 공개]하는것이 기술적인 목표이고, 사용자는 공개된 목차를 이용해 적당히 가공한 후 자신의 사이트에 공개하거나,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 특정 사이트의 RSS를 보면 그 사이트에 있는 내용을 알 수 있고, 그 내용을 찾아가 볼 수 있다. 뉴스 사이트에서 특히 유용하다.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비동기 자바스크립트와 엑스엠엘. 기술적으로 웹 개발자들의 골치를 아프게 하는 기술. 안할 수는 없고. ^^ 사용자들에게 가장 와 닿는 걸 예로 들자면 네이버에서 통합검색에 글자를 치면 아래에 검색 도우미가 뜨는데 이것이 AJAX를 이용한 서비스이다. 단순해 보이지만 웹 서비스의 근본 개념을 바꿀 수 있을 정도의 기술이다. 나온지는 꽤 되었지만 최근에서야 각광받게 된 기술.

CSS 2: Cascading Style Sheets 2. 종속형 스타일 시트. 아래아한글로 말하면 '스타일'이고, MS워드로 말하면 서식이다. 근데 이게 뭐가 중요하냐하면, AJAX와 결합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움직이는 홈페이지 구성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AJAX와 CSS로 만들 수 있는것 중 재미있는것이 몇가지 있다.

스타크래프트: http://sea-bug.3322.org/game/sc.htm
오피스:       http://www.writely.com/

자바스크립트로 오피스 만드는게 머가 대단해?라고 생각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1. 저게 잘 된다면 비싼 오피스 사서 쓸 사람 아무도 없다. 2. 인터넷 브라우저가 설치되지 않은 곳은 앞으로 없다. 핸드폰은 물론 게임기, 냉장고, TV까지 설치된다. 그 얘기는 냉장고에서 메일 보고 워드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된다.

몇년전까지만 해도 오피스를 자바 스크립트로 만드는건 불가능이라고 생각했다. 게임 만드는것도 불가능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젠 달라졌다

마지막으로 UCC

UCC: User-Created Content. 사용자 제작 컨텐츠. UCC가 있는 사이트라면 이미 뜬~사이트이다.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여 공개한 컨텐츠.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UCC가 지식IN서비스

에혀... 해야할것이 점점 많아지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