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AMD A4-4000 Richland

AMD의 3세대 APU, 코드명 리치랜드(Richland)가 나왔습니다. 첫번째 모델명은 A4-4000이네요. 가격은 5.3만원. 40달러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A4-4000 모델이 완벽하게 리치랜드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GPU가 7480D로 2세대 APU인 A4-5300와 같기 때문이죠. 그래서 공식적으로는 트리니티라고 하는거 같네요. 원래대로라면 8xxxD 의 GPU가 들어있어야 합니다.

그래도 제가 리치랜드라 칭할 수 있는건, CPU가 리치랜드의 명령셋과 기능(DDR-2133지원?)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리치랜드의 공식적인 데뷔는 6월 4일로 예정되어있습니다. (인텔의 차세대 CPU인 하스웰 출시가 6월 3일입니다) 아직 A4-4000도 AMD홈페이지에서 스펙을 찾을 수가 없네요.

AM3+ 를 말아먹었지만 FM2라도 선전하고 있으니 그나마 AMD의 명맥이 유지되고 있는건가요. 암드의 선전을 기원합니다. 좀 잘좀 해봐.

성능은 Athlon X2 5200+, Core 2 E6400 정도입니다. 간단한 게임 돌리는데는 전혀 문제 없는 수준입니다만, 최고급 데스크탑 CPU에 비해서는 1/4 수준 될겁니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노트북의 인터넷을 안드로이드 핸폰과 공유하는 방법

※ 갤럭시 S, 갤럭시 노트 사용자로써, 핸폰으로 [테더링 및 휴대용 핫스팟]을 사용해 노트북에서 연결 하는건 잘 되는데, 그 반대가 안된다. 안드로이드에서 에드훅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 iOS기반 기기는 에드훅을 지원하기 때문에 연결 잘 된다.

※ 만약 반드시 에드훅(Adhoc)으로 사용해야 한다면, 안드로이드 폰을 루팅해서 wpa_supplicant 파일을 변경하면 된다.

※ 하지만 인텔 센트리노 무선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냥 Intel My Wi-Fi(MWT) 를 사용해 무선 연결 공유를 하면 된다.

1. 유선 네트워크에 공유 설정.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 어댑터 설정 변경 -> 로컬영역연결 -> 속성 -> 공유 -> 다른네트워크 사용자가~로 시작하는 두개의 체크박스 체크.

2. 인텔에서 배포하는 최신 [인텔® PROSet/무선 소프트웨어 및 드라이버]와 최신[Intel® My WiFi Dashboard Software] 설치
- 센트리노 Wireless 모델만 지원함. 지원 스펙은 하단 링크 참조.
- 필자는 Wireless_15.6.1_s64.exe, Intel My WiFi Dashboard_15.6.0_64.msi 를 사용.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선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있는 연결 유틸리티. 굉장히 직관적이라 필자도 애용한다.

3. My WiFi Dashboard(이하 대시보드)에서, Wi-Fi Direct 와 핫스팟을 켬

사용자 삽입 이미지

My WiFi Dashboard 에사 WiFi Direct와 핫스팟을 켰다.

4. 스마트폰들에서 와이파이에 접속
- SSID와 암호는 대시보드에서 옵션-핫스팟 에 설정되어있다.
- 두대이상 공유해 사용 가능하다. ad-hoc이 아닌 AP로 설정되기 때문.

----

My WiFi 하드웨어 요구사항
http://www.intel.com/support/kr/wireless/sb/cs-029296.htm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주파수 전쟁 3라운드

※ 할당 현황

유럽: B3(1800MHz), B7(2600MHz), B20(800MHz)
미국: B13(700MHz), B17(700MHz)
한국: 700, B3(1800MHz), 2100 예정

- SKT: B3(1800MHz, 10MHz), B5(850MHz, 10MHz)
- KT:  B3(1800MHz, 10MHz), B8(900MHz, 10MHz), B26(850MHz, 5MHz)
- LG:  B1(2100MHz, 10MHz), B5(850MHz, 10MHz)

※ 경매에 붙여질 주파수

2.6GHz A블록, B블록
1.8GHz C블록, D블록

※ LTE B3대역은 1710~1785(Up), 1805~1880(Down) 임. 이중 SKT가 FDD 10MHz, KT가 FDD 10MHz 할당되어있음. LG도 10MHz를 가지고 있지만 2G로 활용중. 나머지 FDD 35MHz는 이번에 경매에 붙여질 예정

※ SKT는 B3대역의 상단에 위치한 주파수임. 따라서 이번에 경매에 붙여질 대역은 KT와 인접해있는 대역(D블록)을 포함함. 인접대역을 확보하는 경우 35MHz라는 광대역을 확보할 수 있음.

※ LG는 유럽이나 미국과 호환되는 기기가 없어 외국산 스마트폰을 들여오기 어려운 상황. 이번에 B3대역 중 하나를 받아야 함.

※ 참고로 가시광선은 파장 780nm ~ 380nm, 주파수로 환산하면 385THz ~ 789THz임.

----

http://chocoberry.pe.kr/162155678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15550289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뻥테나

- 와이파이 안테나 하나로 송신(TX)과 수신(RX)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송수신을 위해서는 안테나는 한개만 있으면 되죠.

- 802.11n에서 새롭게 선보인 MIMO라는 기술이 있습니다. 쉽게 말해 안테나 두개로, 두개의 채널을 사용해, 두배의 전송효율을 낼 수 있는 기술입니다. 802.11n 에서는 최대 4채널까지 지원합니다. 따라서 4배의 속도(150Mbps * 4 = 600Mbps)까지 지원되는 거죠. 4채널을 모두 사용하면 4TX-4RX 로 표기합니다.

- 요즘엔 2.4Ghz와 5GHz를 지원하는 듀얼밴드 무선랜이 대세가 되는 추세입니다. 각각의 주파수에 안테나 한개씩 필요합니다. 따라서 안테나가 두개라 하더라도 이걸 듀얼밴드지원을 위해 달아놓은건지 아니면 2채널 MIMO를 위해 달아놓은 건지는 겉만 봐서는 알 수 없습니다. 스펙을 봐야합니다.

- 따라서 싱글밴드, 2CH MIMO(2TX 2TR)를 지원하는 AP가 안테나가 3개라는건 없습니다. 브로드컴이란 회사의 다이버시티(Diversity)기술을 지원하려면 안테나가 하나 더 필요하긴 하지만, 이건 스펙에 대문짝만하게 써 있을테니 혼동하시진 않을겁니다. 이 기술을 지원하는건 아직 국내에서는 못봤습니다. (혹시 있다면 댓글 부탁)

- 그 결과 나온게 뻥테나(가짜 안테나, 더미 안테나)였고 결국 터졌네요. 안테나 개수가 많은게 좋다라는 인식이 퍼지니, 가짜 안테나라도 하나 더 달아놓은 겁니다. 물론 더미안테나가 있다고해서 성능이 안좋아지는건 아닙니다. 문제가 생기진 않으니 그냥 쓰셔도 무방합니다만, 쓸데없이 안테나 값을 지불했다는게 문제죠.

- 현재 3RX-3TX를 지원하기 위해 안테나를 3개 단 제품은 아수스 AC66U, 링크시스 EA6500, 넷기어 R6300 가 있습니다. 모두 가격이 20만원이 넘습니다. 3RX-2TX를 지원하기 위한 제품은 아수스 N65U가 있습니다. 이것도 10만원대 후반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etgear R6300

- 2RX-2TX에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공유기 제품은 네티스 WF2409, 아이피타임 N704BCM 가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704BCM

- 전글에서도 강조했지만 그냥 와이파이인증 받은걸로 고르면 문제 없습니다. 문제는 2~3만원 가격대에 한글지원되는 공유기중 이런 공유기가 거의 없다는 사실이죠.

 ----

무선랜 표준: http://windy.luru.net/1599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SHA-512/224, SHA-512/256

※ 이번에 새롭게 제안된 메시지 다이제스트(Message Digest)알고리즘입니다. 2011년에 Draft 된 제안서가 나온걸로 알고 있습니다.

※ SHA-512의 알고리즘상 64비트 CPU에서 처리성능이 좋아집니다. 현대의 64비트 CPU에서는 SHA-512가 SHA-256보다 40% 정도 더 빨리 계산 가능하다고 하네요. 그래서 SHA-512를 쓰면 좋은데 이게 결과가 512비트로 나와서 너무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게 문제였습니다.

※ 그래서 나온게 SHA-512/224, SHA-512/256 입니다. 계산방법은 SHA-512와 동일하지만 마지막에 결과 비트를 줄이는 단계가 하나 더 있습니다. (초기 벡터값도 다릅니다) SHA-512의 안전성을 해치지 않으며, 비트수를 줄이는 것에 의한 보안 위협은 현재까지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구요.

※ SHA-3가 조만간 표준화 되겠습니다만, 아직 SHA-2는 현재의 주력 다이제스트 알고리즘입니다. 아직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몇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OpenSSL도 지원 안하네요. 쓰고싶긴 하지만 ㅎㅁ...

----

SHA-3: http://windy.luru.net/1708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구글의 2013 만우절 이벤트

서버자원이 남아도는 곳이라 확실히 스케일이 다르군요. 구글지도가지고 장난 치려면 지도데이터를 다시 만들어야 하고, 그걸 저장할 공간도 넉넉하게 준비해야 했을텐데요. 구글의 클라우드 기술의 승리라고밖에 안 보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쨌든 재미있네요. 제가 사는 곳에도 몇가지 세계적인 문화유산이 있습니다만, 표시되지 않은건 아쉽습니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구글 Play 스토어 계정 삭제 방법

※ [Play 스토어]에서는 삭제 안됨. 삭제하려면 아래와 같이 한다. 스크린샷은 갤럭시 노트2 (4.4 킷캣 버전) 에서 캡처했다.

1. [설정]의 [계정] 또는 [계정및동기화] 메뉴로 들어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정 -> 계정 -> Google 으로



2. 계정 목록이 나오면 Play 스토어 계정을 선택하고, 벤더 목록이 나오면 [구글]로 들어가 Play 스토어 계정을 선택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lay 스토어 계정을 선택한다.



3. [삭제 버튼]을 터치하거나, [메뉴]를 눌러 [삭제]를 터치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단에 보면 계정 삭제 버튼이 보인다. 버튼을 터치한다.

※ 적어도 이런건 폰마다 통일좀 시켜줬음 하는 바램이다. 찾는데 고생 했다. 삼성, LG, 팬택의 핸폰으로 확인해봤는데, 전부 위치나 메뉴 이름이 달랐다. LG와 팬택이 그나마 유사했다.

※ 결론적으로 시스템의 계정 관리에서 지워야 한다. 구글 Play 스토어 앱에서는 삭제가 안된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윈도7에서 엑셀문서 두개 창에 띄우기

※ 기본적으로 엑셀은 여러개의 문서를 MDI형식으로 하나의 창에 띄움. 다중 모니터 사용시 이게 불편할 때가 있는데 윈도XP에서는 연결프로그램 설정창에서 고급버튼을 눌러 액셀을 실행하는 명령을 수정해주면 되었다.

※ 하지만 윈도7에서는 아예 이 방법이 불가능하다. 프로그램 실행 명령을 수정할 방법이 아예 없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윈도7의 연결 설정 페이지. 커맨드를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윈도7에서는 레지스트리를 직접 편집해야한다. 핵심은 DDE명령과 멀티 파일 명령을 전달하지 않고, /e 대신 /en 옵션을 줘서 excel.exe 를 실행시키면 된다.

 아래 내용으로 레지스트리 파일을 생성해 실행해주면 완료! 이 레지스트리는 윈도7 64비트 버전에서 엑셀 2007 또는 오피스 2007을 사용하는 경우다. 만약 윈도 7 32비트를 사용한다면 Program Files (x86) 이라 되어있는 2곳을 Program Files 로 수정해야 한다.

----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Excel.Sheet.8\shell\Open\command]

[-HKEY_CLASSES_ROOT\Excel.Sheet.8\shell\Open\ddeexec]

[-HKEY_CLASSES_ROOT\Excel.Sheet.12\shell\Open\command]

[-HKEY_CLASSES_ROOT\Excel.Sheet.12\shell\Open\ddeexec]

[HKEY_CLASSES_ROOT\Excel.Sheet.8\shell\Open\command]
@="\"C:\\Program Files (x86)\\Microsoft Office\\Office12\\EXCEL.EXE\" /en \"%1\""

[HKEY_CLASSES_ROOT\Excel.Sheet.12\shell\Open\command]
@="\"C:\\Program Files (x86)\\Microsoft Office\\Office12\\EXCEL.EXE\" /en \"%1\""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IE 10 을 64비트로 실행하기

Internet Explorer 9까지만 해도 64비트와 32비트 IE의 실행파일이 달랐는데, 이번 Internet Explorer 10부터는 통합되었다. 기본적으로 32비트 모드로 실행되며, [인터넷옵션 - 고급 - 보안 - 향상된 보호 모드 사용]에 체크해주면 64비트 모드로 실행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E 10에서 64비트 모드 활성화


DNT 추가된게 눈에 띄임. 빨라진거 같기도 하고, 기본 설정들이 좀 바뀐거 같고. 표준을 더 잘 지켰다니 쓸만 하다. 아직까진 안되는 홈페이지도 없었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aptX

사용자 삽입 이미지

aptX 는 CSR(Cambridge Silicon Radio, 영국의 모바일 반도체 회사)에서 개발한 오디오 코덱이다. (CSR의 모바일 부문은 삼성에 인수되었다가 다시 퀄컴에 인수되었다) CD음질을 구현하는 평범한 코덱이 주목받는 이유는 이 코덱이 블루투스에서 사용하려고 만든 코덱이기 때문이다.

블루투스의 음악 전송 프로토콜인 A2DP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에서 사용 가능한 코덱으로 SBC(SubBand Codec)가 있다. SBC는 압축효율이 좋아 전송량이 많지 않지만, 음역대가 100Hz~13Khz이어서 MP3와 비슷하지만, 고음질 음악을 표현하기엔 음역대가 너무 좁고 압축효율이 낮아 비트레이트가 높은 편이다. 이를 해결해주는게 aptX다. aptX는 56kbps에서 CD음질수준의 구현이 가능하다.

블루투스 기기에서는 소니, 야마하, 애플에서는 AAC를, 삼성과 HTC는 aptX를 밀고 있다.

갤럭시노트2는 SBC와 aptX를 지원한다.

블루투스 헤드셋 구매를 고려하고 있는데, 음악 감상용이라 aptX가 가능한 것을 사용해야 할 듯. 삼성 HS3000, 소니 MW1 중 고민중. 현재로써는 HS3000 살듯. 조만간 지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http://www.csr.com/products/60/aptx
http://www.samsung.com/sec/news/productnews/2012/samsung-electronics-the-uk-mobile-sector-csr-company-acquis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