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Piwik Archive 코드 수정

블로그에서 방문자 분석을 위한 툴을 사용하고 있다. Mamoto 이다. 오래전에는 Piwik 이라고 했고, 필자는 지금도 Piwik 으로 부른다. 유사한 서비스로 Google Analytics 이 있다.

Piwik 은 블로그 운영 초기부터 사용해왔지만, 중간에 데이터를 날린적이 있어서 몇년치 데이터밖에 없다.

Piwik 스케줄러로 통계를 내려 하는데, 계속 오류가 나서 찾아보던 중, 아래에 문제가있어 소스 수정해서 사용하고 있다. Piwik 업데이트 할 때마다 수정해 줘야 해서 블로그에 써 놓는다. 문제 없으면 수정하지 않아도 된다. $supportsAsync 변수 값을 무조건 false 으로 세팅하는게 핵심이다.

# vi core/CliMulti.php

    public function supportsAsync()
    {
        $supportsAsync = false; // Process::isSupported() && !Common::isPhpCgiType() && $this->findPhpBinary();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Intel® Core™ i7 7500U - CPU-Z

i7 CPU 이긴 한데 생각보다는 느리다는 생각이다. 게다가 2코어다. i7 에 2코어는 이상해서 스펙 찾아봤지만 2코어가 맞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데스크탑으로 말하면 거의 i3 급이 된다. 역시 모바일과 데스크탑의 CPU 급 비교는 할 필요 없다. (모바일이 너무 떨어진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CMD 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

C:\Users\windy>wmic bios get serialnumber
SerialNumber
00XXXXXXXXXX4

C:\Users\windy>systeminfo

호스트 이름:             DESKTOP-WINDY
OS 이름:                 Microsoft Windows 11 Home
OS 버전:                 10.0.22621 N/A 빌드 22621
OS 제조업체:             Microsoft Corporation
OS 구성:                 독립 실행형 워크스테이션
OS 빌드 종류:            Multiprocessor Free
등록된 소유자:           OWNER
등록된 조직:
제품 ID:                 00XXX-XXXXX-XXXXX-XXXXX
원래 설치 날짜:          2022-10-04, 오후 8:08:39
시스템 부트 시간:        2022-12-05, 오후 5:05:04
시스템 제조업체:         LG Electronics
시스템 모델:             XXXXXX-XXXXX
시스템 종류:             x64-based PC
프로세서:                프로세서 1개 설치됨
                         [01]: Intel64 Family 6 Model 126 Stepping 5 GenuineIntel ~1298Mhz
BIOS 버전:               Phoenix Technologies Ltd. C2ZE0180 X64, 2020-06-04
Windows 디렉터리:        C:\WINDOWS
시스템 디렉터리:         C:\WINDOWS\system32
부팅 장치:               \Device\HarddiskVolume1
시스템 로캘:             ko;한국어
입력 로캘:               ko;한국어
표준 시간대:             (UTC+09:00) 서울
총 실제 메모리:          16,094MB
사용 가능한 실제 메모리: 9,219MB
가상 메모리: 최대 크기:  32,478MB
가상 메모리: 사용 가능:  24,924MB
가상 메모리: 사용 중:    7,554MB
페이지 파일 위치:        C:\pagefile.sys
도메인:                  WORKGROUP
로그온 서버:             \\DESKTOP-WINDY
핫픽스:                  핫픽스 4개 설치됨
                         [01]: KB5020622
                         [02]: KB5012170
                         [03]: KB5020044
                         [04]: KB5020487
네트워크 카드:           NIC 1개 설치됨
                         [01]: Intel(R) Wi-Fi 6 AX201 160MHz
                               연결 이름: Wi-Fi
                               상태:      미디어 연결이 끊어짐
Hyper-V 요구 사항:       VM 모니터 모드 확장: 예
                         펌웨어에 가상화 사용: 예
                         두 번째 수준 주소 변환: 예
                         데이터 실행 방지 사용 가능: 예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nVidia GeForce 940MX - GPU-Z

잠깐 쓰던 제품. 노트북에 붙어있었던 제품이다. 그래도 GT 1030 정도 성능을 생각했었는데 그것보다도 성능이 낮은 느낌이다. CUDA 코어라도 많으면 좀 써보려 했는데 384개라 안쓰는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도 노트북에는 이거라도 있는게 좋긴 하다. CPU에 내장된 iGPU 는 더 안 좋기 때문이다. 생각외로 iGPU 에서 차지하는 메모리 대역이 많기 때문에, 성능 저하를 막으려면 외장 GPU 에 전용 메모리를 가진 제품이 필요하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인텔 Core i 시리즈 (데스크탑) 코드네임

         코드명         공정    출시   제품군 소켓       메모리 규격  칩셋  기능
         -----------    ------- ------ ------ ---------- ------------ ---- -----------------------
네할렘 마이크로아키텍처
  1세대  Nehalem         45nm   2008   7,8xx  소켓1156   DDR3          5x  DDR3-1333, SSE 4.2, VT-d
         Westmere        32nm   2009   6,5xx  소켓1156   DDR3          5x  AES-NI, 1GB Page

샌디브릿지 마이크로아키텍처
  2세대  Sandy Bridge    32nm   2011   2xxx   소켓1155   DDR3          6x  AVX
  3세대  Ivy Bridge      22nm   2012   3xxx   소켓1155   DDR3          7x  DDR3-1600, RDRAND, F16C

하스웰 마이크로아키텍처
  4세대  Haswell         22nm   2013   4xxx   소켓1150   DDR3          8x  AVX2, TSX-NI, BMI1, BMI2, FMA3, LZCNT, MOVBE
  5세대  Broadwell       14nm   2015   5xxx   소켓1150   DDR3          9x  RDSEED,PREFETCHW, 윈도11최소

스카이레이크 마이크로아키텍처
  6세대  Sky Lake        14nm   2015   6xxx   소켓1151   DDR3L, DDR4  1xx  AVX-512 (Xeon 제품군), SGX, DDR4-2133
  7세대  Kaby Lake       14nm+  2016   7xxx   소켓1151   DDR3L, DDR4  2xx  USB 3.1, 4K H.265 10bit 디코딩, DDR4-2400
  8세대  Coffee Lake     14nm++ 2017   8xxx   소켓1151v2 DDR4         3xx  윈도11권장, DDR4-2666 (i5 이상) 
  9세대  Coffee Lake R   14nm++ 2018   9xxx   소켓1151v2 DDR4         3xx  AVX-512, 128GB (i5 이상)
  10세대 Comet Lake      14nm++ 2019   10xxx  소켓1200   DDR4         4xx  DDR4-2666, 128GB, DDR4-2933 (i7 이상)

코브 마이크로아키텍처
  9세대  Cannon Lake     10nm   2018                                       (모바일)
  10세대 Ice Lake        10nm   2019                                       (모바일) AVX-VNNI 
  11세대 Rocket Lake     14nm++ 2021   11xxx  소켓1200   DDR4         5xx  AV1 Decoding, SHA PCIe4, SGX 삭제, DDR4-3200
         Tiger Lake      10nmSF 2020                                       (모바일)
  12세대 Alder Lake      Intel7 2021   12xxx  소켓1700   DDR4, DDR5   6xx  P-E 코어, AVX-VNNI, PCIe 5, DDR5-4800, CPU휨 이슈
  13세대 Raptor Lake     Intel7 2022   13xxx  소켓1700   DDR4, DDR5   7xx  DDR5-5600
14세대 Raptor Lake R Intel7 2023 14xxx 소켓1700 DDR4, DDR5 7xx . 14세대 Meteor Lake Intel4 2023? 14xxx ? 15세대 Arrow Lake Intel20A 16세대 Lunar Lake Intel18A
10nmSF = 10nm SuperFin
Intel7 = 10nm Enhanced SuperFin

보안이슈: 스펙터, 멜트다운 해결 안됨
보안이슈2: 캐시아웃은 Cannon Lake 부터 해결
보안이슈3: 보안이슈로 TSX-NI 는 현재 사용되지 않음. 14세대부터는 가능할지도.

(모바일): 모바일용 CPU의 코드네임.

- Core 2 시리즈 이후의 CPU 에 대해 알 필요가 있어서 정리해 봤다. Sky Lake 부터 시작된 인텔의 삽질이 잘 보인다.

- 브로드웰 데스크탑 프로세서는 단지 5종류만 발매되었다. 5775R, 5575C, 5675R, 5675C, 5575R 이 그것이다. 원래는 2014년에 나왔어야 했는데, 연기되어 2015년에 나오는 바람에 다음 세대인 스카이레이크가 3개월 후에 나왔다. 그래서 시장에서도 팔리지도 않았다.

- 9세대 데스크 탑용 CPU인 커피레이크리프레시는 커피레이크의 재탕이다. 심지어 Canon Lake CPU는 1개만 나왔다. 인텔의 삽질이 잘 느껴지는 대목이다. 10nm 공정이 순탄치 않아 그랬다.

- 최근 나오는 소프트웨어들이 AVX2 를 지원하는 경우가 많아 AVX2 가 필수가 될 시대가 곧 올거라 생각한다. 이미 윈도11 은 SSE 4.1 이 필수라, Core 2의 최신 스태핑 이후 CPU부터 사용해야 하기도 하고 말이다.

----

2024.04.12 추가

윈도11 24H2 부터 SSE 4.2 가 필수라고 한다. Core 2 는 SSE 4.1 까지만 지원하기 때문에 더이상 사용할 방법이 없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Core2 Quad Q9500

어쩌다보니 얻게 된 4코어 CPU. 크게 영입할 생각은 없긴 했다. 이 CPU 는 쉽게 말하면 Q9550 의 L2 캐시 축소 버전이다. 그외에 다른 스펙은 같다. CPU-Z 정보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당연한거지만 성능상 Q9550 과 큰 차이는 없다. Q9550 의 12MB (6MB x 2) 캐시를 제대로 사용할 프로그램으로 성능테스트하지 않는 이상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Q9500 의 장점중 하나가 오버클럭이 잘된다는 것이다. FSB 1600 MHz 세팅이 잘 된다는 의미다. Core 2 CPU를 포함한 많은 CPU의 성능은 FSB 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FSB 속도가 곧 메모리 속도이기 때문이다. 주변장치와의 I/O 가 크게 좋아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ntel® Core™2 Quad Q9500 오버클러킹

Intel® Core™2 Quad Q9550 - CPU-Z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ASUS P5K - AHCI 지원
사용자 삽입 이미지
P35, ICH9 칩셋을 사용한 ATX 마더보드다. 상급 마더보드로 오버클럭도 안정적으로 지원해준다. 하지만 기본 SATA 포트에서 AHCI 를 지원하지 않는다. JMicron 칩셋을 사용한 추가 SATA 포트에서는 AHCI 를 지원한다.

원래 ICH9R 칩셋이 아닌 ICH9 칩셋은 AHCI 를 지원하지 않는다. 하지만 간단한 바이오스 트윅으로 ICH9 칩셋에서도 AHCI 를 지원할 수 있고, 대부분의 M/B 제조사에서는 바이오스 트윅을 해줬다. ASUS 도 마찬가지인데, 유독 P5K 마더보드에는 트윅을 안해줬다. 사용자들은 지원해줄때까지 기다렸지만, 결국 공식적으로 안해준다고 했다.

그래서 P5K 사용자들은 트윅 바이오스를 많이 사용한다. P5K 의 최신 바이오스인 1201 버전의 AHCI 지원 바이오스를 구할 수 있다. AHCI 는 SSD 를 사용할거라면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다. AHCI 지원 바이오스는 구글링해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윈도11도 설치된다. 물론 업그레이드로는 안되고 신규 설치해야하며, 설치할 때 약간의 트윅(TPM 검사 비활성화)은 해야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드라이버는 ATK 0110 드라이버 빼고는 모두 잡아준다. ATK 0110 드라이버는 ASUS 지원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다.

----

2024.06.04 추가

P5K 에 장착된 Atheros L1 Gigabit Ethernet NIC 가 윈도10과 충돌하는걸로 생각된다. 뭔가 큰 용량의 파일을 받거나 고해상도 유튜브를 보다 보면 갑자기 블루스크린이 뜬다. NIC 드라이버의 Task Offload 기능을 끄고 사용하라고 하는데 이렇게 하면 더 자주 블루스크린이 뜬다. 그냥 NIC 비활성화 하고 다른 NIC 사용중이다.

----

AHCI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Plextor PX-256S2C

사용자 삽입 이미지

SSD 를 중고로 하나 구해왔다. 플렉스터의 제품이다. 예전에 플렉스터의 CD 라이터를 사용한 적이 있었고, CD-ROM 을 주로 사용하던 시절엔 티악과 플렉스터 제품을 애용했었다. 막상 보니 반가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256GB 기준 스펙

일반
    256GB
    512MB DDR3
    SMI SM2258
    Hynix 16nm TLC

성능
    520 MB/s Sequential Read
    480 MB/s Sequential Write
    98K IOPS 4KB Random Read
    72K IOPS 4KB Random Write

안정성
    1,500,000 hours (MTBF)
    150 TBW

기타
    5V / 1.5A
    GC TRIM, S.M.A.R.T., NCQ, ATA/ATAPI-8
    SATA 6.0 Gb/s, 2.5"
    60g

TBW 는 Total Bytes Written 의 약어. 총 150 테라바이트 쓰기 작업까지 보증한다는 의미다.

출시한지 오래되었지만, 그래도 새거 가져와서 특별히 이상은 없을거라 예상.

사용자 삽입 이미지

----

2025.01.01 업데이트

플렉스터가 대만의 라이트온에 팔렸었고, 다시 일본의 키옥시아에 팔렸었는데 결국 문을 닫게 되네요. 키옥시아에서 플렉스터의 브렌드네임을 버리는 군요. SSD 제품 개발은 SSSTC 라는 키옥시아의 자회사로 넘어가게 됩니다. 앞으로 플렉스터라는 이름을 보지 못하게 되겠네요.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Core2 Quad Q9550

제품명: 인텔® 코어™2 쿼드 프로세서 Q9550
주요스펙: 12MB 캐시, 2.83GHz, 1333MHz FSB

FSB 패리티: 지원
TDP: 95W
전력: 12W ~ 132.48W
VID: 0.8500V ~ 1.3625V
출시일: Jan 7, 2008
출시가격: $530

소켓:  LGA775
T-CASE:  71.4°C
다이크기/트랜지스터수/다이크기: 214 mm2/820 million/214mm2
고급기술: VT-x, VT-d, Intel64
스태핑: C1 (SLAWQ, 10677), E0 (SLB8V, 1067A)
코어 개수/스레드 개수: 4 / 4

L1캐시
- 4 x 32 KB 8-way set associative instruction caches
- 4 x 32 KB 8-way set associative data caches

L2캐시
- 2 x 6 MB 24-way set associative caches (each L2 cache is shared between 2 cores)

----

11년쯤 전에 Core2 Duo E8400 을 거금 15만원을 주고 중고로 구매했을 때, 언젠가 Q9000 급의 CPU 를 써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당시 40만원정도 되는 금액이라 구매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몇 일 전에 Q9550 을 중고로 구매하게 되어, E8400 에서 업글했다. 구매가격은 1.5만냥. 에휴 이렇게 가격이 떨어져있을 줄이야... 그래도 동급의 다른 CPU 보다는 중고가격이 높다. 원래 특정 세대의 가장 성능 좋은 CPU는 중고가격이 성능대비 가격만 따져보면 비싸다. 그리고 비싸다는거 알지만 구매한다.

이 CPU는 앞으로 계속 쓸 생각이다. 왜냐구? 아직 쓸만하니까 그렇다. 어차피 중고 가격도 얼마 안하니 그냥 기념비적으로 보관해 둘 생각이다. 한때 이런것도 사용했었더라라는 거다. 현재 윈도11 설치해서 잘 쓰고 있다.

Core2 Quad 시리즈는 Core2 Duo 시리즈 2개를 하나로 패키징한거다. 그래서 CPU가 2개 들어있다. 2 Core x 2 라는 의미. 물론 4개를 하나로 묶은 것(4 Core x 1) 보다는 좋지 않다.

업글은 했지만 인터넷하는데에는 큰 차이 없다. 하지만 좀 더 쾌적한 느낌. 클럭 주파수가 3.0GHz 에서 2.83 GHz 정도로 낮아졌기 때문에 싱글 스레드 성능은 조금 낮겠지만, 요즘 나오는 윈도는 워낙 많은 프로세스가 돌아가기 때문에, 쿼드 코어 이상의 CPU를 사용하는게 좋다. CPU-Z 정보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는 정말 Core2 에 미련이 없어질듯 하다. 2008년부터 2024년 지금까지 정말 오랫동안 사용한 제품들이라 애정이 갔지만, Core2 를 사용할 수 있는 마더보드가 지금은 기능이 너무 안 좋고 (PCIe 3 및 NVME 지원 못하는게 너무 크다) 더이상 구하기도 어려워서,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요즘 트랜드에도 안 맞고 말이다. 아마 윈도11을 마지막으로 더이상 사용 못할듯. 이후에는 리눅스나 설치해서 사용해야 겠다.

----

2025.03.01 현재 이 블로그는 Q9550 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 CPU로는 윈도11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 CPU에 Windows 11 24H2 가 설치가 안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 블로그에 글을 작성한 Core2 계열 CPU 다. 모두 사용해 본 CPU이고, 더 있긴 할텐데 기억이 잘 안난다. 바꿔말하면 이렇게나 많이 사용했다는걸 새삼 느끼게 해준다. 그만큼 Core2 가 명품이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여러모로 애정이 가는 CPU다.

Intel® Core™2 Quad Q9500
Intel® Core™2 Quad Q8300
Intel® Core™2 Duo E8400
Intel® Core™2 Duo E6750
Intel® Core™2 Duo E6300
Intel® Core™2 Duo E4300
Intel® Pentium® Processor E5400
Intel® Pentium® Processor E2160
Intel® Pentium® Processor E2140
글쓴시간
분류 기술,IT/이어폰
아즈라 세드나이어팁 맥스 스탠다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즈라에서 나온 신형 이어팁 "세드나이어팁 맥스 스탠다드". 평이 좋아서 한번 사봤는데, 매우 만족하고 있다. 이어팁 이름이 조금 길어서 그냥 "세드나 맥스"라고 하면 이걸 지칭하는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AKG N5005에 끼워보니 소리가 이상해졌다. 인터넷 찾아보니 잘맞는 사람들이 많아 보여서 끼우는 방법을 연구해봐야 겠다. 일단 끝까지 끼우면 안되는듯. 오링이라도 써야 하남.

- SONY XBA-N3 에는 잘 맞는다. (이뿐만 아니라 필자가 가지고 있는 소니 이어폰엔 모두 맞는다) 재미있는건 음질이 많이 달라졌다. 소리가 풍부해지고 재미있어졌다는 느낌으로 필자가 좋아하는 음색이다. 이렇게 드라마틱하게 달라질거라고는 생각 못했다. 대신 소리는 작아져서 번들 이어팁 사용할때보다는 볼륨을 좀 키워야 한다. (뭔가 반사음이 줄어든 느낌이다) 귀는 정말 편안하다. 괜히 의료용 실리콘 썼다고 광고하는건 아닌듯. 한동안 이 조합으로 들을 듯.

- 삼성 이어폰엔 아직 안 끼워보았다. (아마 앞으로도 안 끼워볼 듯)

-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에 있는 상품 설명에는 아래와 같이 되어있다. 필자가 소니 이어폰들은 보통 M 사이즈의 이어핏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것도 수치 비교해보면 MS 사이즈가 맞을거라고 생각했었지만, 그건 아니었다. 막상 써보니 S 가 맞았다. 그냥 S로 써야 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