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사고났을 경우 대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 2016년 1월 22일 서울지하철2호선 잠실새내역(구 신천역) 화재가 났다고 한다.

- 아기왈, 대기해야지.

- 원칙적으로 대기가 맞다. 특히 열차 안에서는 임의로 내려가는건 위험하다. 뒤따라오는 차량과 무딪힐 수 있고, 반대편에서 오는 열차와 부딪힐 수 있으니 열차 안에서 대기하는게 맞다.

- 하지만 몇년 전 일어난 사건이나 오래전에 일어났던 지하철 화재 사건을 본 부모 입장에선 그렇게 말 못하지. 위험은 스스로 감지하고 스스로 탈출하는 거다.

※ 가능하다면 불 끄는거 훈련 한번 받아봤으면 하기도한다.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유성우 관측 후기

- 유성은 생각보다 자주 안 떨어진다. 육안으로는 20분에 하나 보이는 정도다. 돋자리 펴놓고 누워서 하늘을 보면서 옆 사람과 이야기 하다보면 하나 떨어진다. 다행이 아이들도 유성을 보긴 봤다. 하지만 너무 순식간(3~5 초 정도)에 지나가기 때문에 잠시만 한눈 팔아도 안 보인다.

- 유성 떨어질 때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는 이야기는, 그 찰나에도 그 소원을 생각하고 있을 정도로 간절하다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 카메라를 가져갔지만 촬영은 엄두도 못 냈다. 일단 유성우가 생각보다 자주 안떨어지는데다, 카메라를 어디를 향하고 있어야 할지 알 수 없다. 전천을 카메라에 담을 수 없기 때문. 그냥 포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https://unsplash.com/photos/O0R5XZfKUGQ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유성우 관측 방법

※ 일년에도 유성우는 몇번씩 관측할 수 있지만, 2016-08-12 22:00 ~ 24:30에 절정을 이룰 페르세우스 자리 유성우는 시간당 150개, 분당 2.5개의 많은 유성이 떨어질거라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mage from https://unsplash.com



※ 유성우 관측 조건

- 광해가 없는 지역이어야 함(따라서 도심지역은 불가능)
-> 맨눈으로 하늘 올려다보면 수백개의 별이 보이는 어두운 곳이어야 한다.
-> 은하수까지 보이는 어두운 곳이라면 금상첨화다. (이런곳은 강원도 한적한 곳에나 가야 있을 것이다)

- 구름이 없어야 함
-> 구름이 별빛을 가리면 당연히 안보인다.

- 달이 지거나 하늘의 구석에 있어야 함
-> 광해와 마찬가지

※ 유성우 관측하기 위한 준비물

- 모기 기피제
- 돗자리
- 담요
- 간식꺼리
- 별자리 어플
-> 예를 들어 이번 유성우는 페르세우스라는 별자리 방향을 보고 있어야 하는데, 그 방향이 어딘지 초보자는 찾기 어렵다. 하지만 이번 유성우의 경우는 그냥 고개들어서 하늘만 보고 있으면 된다.

※ 필요 없는 준비물

- 망원경
-> 별을 관측하려는게 아니기 때문에 유성우를 관측할 때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시야가 좁아서 유성이 안보인다.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김해국제공항

대한민국 동남권의 관문공항이다. 대한민국 공군에서 운용한다. 유사시에는 이 공항을 통해 미군들이 들어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해국제공항



요즘 정치적으로 핫 이슈가 되는 공항이다 신공항으로 말이 많기 때문. 머 일단은 내 일아니므로 관심 없다.

우리나라에서 착륙하기 어렵기로 소문난 공항이다. 바다와 이웃한 공항이고 바다쪽에서 바람이 들어오는 경우 육지쪽에서 착륙을 시도해야 하는데, 육지쪽에는 하필이면 커다란 산이 있다. 그래서 18R서클링이라는 착륙 방법을 사용해 착륙한다. 하지만 대단히 어렵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해공항 제프슨 차트.

제프슨 차트를 보면,  가운데의 별표가 18R로 들어오는 불빛이 있는 곳이다. 바로 옆의 노란색은 산이다. 바다쪽에서 진입하다가 한바퀴 쭉 돌아 유턴하면서 착륙한다. 착륙장면을 한번 보자.

비행기는 바퀴 돌린다고 바로 유턴이 되는건 아니기 때문에 1~2초만 실수해도 위험해진다. 특히 산이 있는 경우는 말이다.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반응형 에드 센스 광고

오랜만에 에드센스에 들어갔더니 반응형 에드 센스가 새로 나왔네요. 즉시 적용했습니다만, 아직은 뭔가 안나오네요. 스크립트 오류는 없고 영역도 정상적으로 계산하고 있으니 한 1시간 정도 기다려봐야겠습니다. 그래도 안 되면 다시 원복.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에드센스에서 반응형 광고 크기 지원


만약 기다려봐도 안되면, https://support.google.com/adsense/answer/6307124 참조해서 수정할 생각입니다. 반응형을 포기할 수는 없으니까요.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환태평양 조산대(불의 고리)

환태평양 조산대(環太平洋 造山帶)은 태평양을 감싸고 있는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 지도의 붉은 곳이다. 영어로는 Ring of Fire(불의 고리)라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환태평양 조산대(Ring of Fire)


우리가 사는 땅는 맨틀이라는 뜨거운 액체 위에 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떠있는 대지는 거대한 판을 이루어 맨틀위에 떠 있습니다. 지진은 판과 판의 경계에서 주로 일어납니다. 판과 판이 만나면 한쪽은 위로, 다른 한쪽은 아래로 내려가게 되는데, 판의 끝부분에서 내려가는 판에 말려 조금씩 내려가다가 말려있는곳이 갑자기 펴집니다. 용수철이 구부려졌다가 다시 펴지는걸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때 지진이 발생하죠. 즉 지진은 판과 판이 만나고 대지와 대지가 만나 찌그러지다가 펴지는때에 발생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판의 경계를 그린 그림. 위의 환태평양 조산대와 비교해보자.



그 판과 판이 만나는 곳을 그려보면 위 사진과 같이 됩니다. 태평양에만 있는건 아니고 중국이나 유럽에도있고 서아시아나 아프리카에도 있지만 특히 태평양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으로 이뤄진 환태평양 조산대가 가장 유명합니다.

최근에 이곳에서 나는 지진이 심상치 않다고 하네요. 제가 봐도 뭔가 큰게 나오지 않을까 합니다. 이런걸 보면 정말 큰 지진에서 벗어나있는 우리나라는 큰 행운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삼성 애니콜 벨소리 - 그대와드라이브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킨폰



예전에 벤츠폰(SPH-E3200)이랑 스킨폰(SPH-V8900) 를 쓴적이 있었다. 그때 애용하던 벨소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름도 기억안났지만 애니콜로 검색해 구글링 해봤다. 그리고 결국 찾음 "그대와드라이브를" 이라는 벨소리다.


요즘 나오는 삼성 갤럭시 폰에서는 "Over The Horizon" 이 대표적인 벨소리이지만 예전에도 괜찮았던 벨소리도 많았다. 이 벨소리좀 리믹스해서 넣어줬으면 하는 바램도 있다.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경축! 누적 방문자수 200만 돌파

오늘로 이 블로그를 만든이후 누적 방문자가 200만이 되었습니다. 2006년 3월 29일 이후 약 9년 11개월만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만 카운터!



100만 돌파한지 22개월 만이기도 합니다. 왠지 뿌듯하네요.

----

100만 돌파: http://windy.luru.net/1699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절대온도

※ 절대온도란 -273.15℃을 말한다. 분자의 운동이 정지하는 온도다. 물리학적으로 매우 의미있는 온도다. 기호는 K를 사용한다. 즉 "0 K = -273.15℃"이다.

※ 몇가지 온도

숯불: 500℃
연탄: 700℃
양초 겉불꽃: 1400℃
양초 속불꽃: 1200℃
가스렌지:    1000℃
용광로:      1500℃
원자로      2200℃
산소용접기: 3000℃
아크용접기: 3400℃

태양표면:    6000K
코로나:   2000000K

※ 태양 표면 온도나 코로나의 온도를 K로 쓰는 이유는 워낙 수치가 크기 때문에 273도 차이나는건 의미 없기 때문이다. 측정 오차라는 것도 감안하면, 태양 표면이 6000℃ 라고 하는 것과 6000K라고 하는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단 물리학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K를 사용해 표현했을 뿐이다.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넋두리... 빵집

※ 빵집의 개발이 중단되었네요. 한때는 애용하던 압축 프로그램(ZIP, ALZ 등의 파일을 관리해주는 프로그램)이라 아쉽네요. 그리고 이분은 제 선망의 대상이기도 했습니다. 기억하진 못하시겠지만 만나뵌적도 있구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http://blog.naver.com/delmadang/220447632060


※ 왠지 아쉽네요. MDIR 개발 중단된것도 그렇구요. 저도 예전에 열정적으로 개발하던걸 학교 졸업하고 시간이 안나서 개발 중단하던 프로그램이 있었는데, 그거나 한번 다시 꺼내봐야겠네요. 정말 아쉽네요.

----

빵집 예전 URL: http://www.bkyang.com/

넋두리... DOS 그리고 MDIR:  http://windy.luru.net/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