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LCD FullHD(1080p) TV
한달째 고민중. 어떤걸로 사야되남 ^^
일단 삼성은 정했고,현재 팔리는 걸로는
모델명 가격 출시일 명암비 밝기
LN40M81BDA 159만원 2007.03 12000:1, 550cd, 60Hz
LN40M92BD 183만원 2007.06 17000:1, 550cd, 60Hz
LN40F81BD 216만원* 2007.09 25000:1, 550cd, 120Hz
LN40A550P1F 186만원 2008.02 30000:1, 550cd, 60Hz
가 있다. LN40A550P1F 는 출시 예정이다.
현재로써는 LN40F81BD이 끌리는중. 삼성이 저 제품 이후로 화질이 소니의 KDL-46X3000 과 버금간다는 소리를 들었다. ㅎㅁ
리뷰 읽다가 안건데, 요즘 TV는 펌웨어 업데이트도 된다. ^O^
지를 시기는 2008년 3월초(내부적으로는 날짜도 정해져있음). 그날 이후로는 머니가 없을 예정이니 빌붙어야쥐. ㅎㅎ
무선 공유기 (Wireless Access Point, Wireless Router)
NDSL(닌텐도 DS Lite)로 동물의 숲을 하다가 무선인터넷으로 인터넷 접속 가능하다고 해서 알아보고 있는중이다.
그래도 비싼 돈 주고 사는데 제대로 된거 사야된다는 생각에 망설이고만 있다.
괜찮은 건 벨킨(Belkin International, Inc, 미국회사임)이다. 유일한 문제라 하면 비싸다는거(타사대비 30% 정도 비쌈). 수신율 좋고 네트워크 안 끊기고. 이정도면 더 뭘바래. 하나 더 말하자면 제품 디자인이 굿~ 이다. 한번 질러봐?
----
http://buffalo.jp/
http://www.airstation.com/
http://www.belkin.com/
도메인 가치 평가 서비스
그냥 심심해서 한번해보는 정도. 이걸 그대로 믿는 사람은 없을테니까 말이다.
도메인은
1. .com → .net → .org, →→→→→ .co.kr → .kr 의 순서로 좋다.
2. _, - 등의 특수문자가 들어있으면 가치가 확 떨어진다. 숫자도 없어야 한다.
3. 도메인의 길이가 짧아야 한다. 4자면 상급이다. 3자면 최상급, 2자면 레어아이템이다.
4. 한개의 단어로 구성된 도메인이 좋다.
혹시 도메인을 사려는 사람이 있으면 위와 같은 내용을 참고하면 좋겠다.
그럼 luru.net의 가치는?
내 생각엔 객관적인 기준으로는 1,000 만원의 가치는 있을 듯하다. 4글자 영문만 사용한 .net 도메인이라 그렇다. .com 이면 2,000 만원 이상 될텐데 말이다. 물론 그 가격 줘도 안판다.
알파벳만 사용하는 경우
.com, .net도메인개수
2자 676 × 2
3자 17576 × 2
4자 456976 × 2
개밖에 안된다. 참고로 몇년전에 4자리까지 다 등록되어있다고 본것 같다. (정말 4자리 영문 도메인은 다 등록되어있다. 영문 자음으로만 구성된 경우(모음이 없는 경우)는 짧아도 값어치가 없다)
----
블루웹 도메인 가치 평가 서비스
http://domain.blueweb.co.kr/domain_value.html
luru.net 가치: 3500 만원
네임즈 도메인 가치 평가 서비스
http://www.names.co.kr/service/dna.html
luru.net 가치: 450 만원
고속도로 우회망
TBS 홈페이지에서 퍼온 우회망 정보
※ 경부/중부/중부내륙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 대구/부산/마산 방향 우회방법
① 강변북로/88올림픽도로에서 강일IC까지 간 후 중부고속도로 → 호법분기점 → 영동고속도로 → 여주분기점 →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하면 편리
② 국도6호선, 국도44호선을이용해 강원도 홍천으로 간다음 홍천IC를 이용해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거나 만종 분기점에서 영동고속도로로 진입후 여주분기점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
③ 영동고속도로 호법-여주구간이 혼잡시 이천IC 에서 국도 3호선을 이용하거나 여주IC 에서 국도37호선을 이용해 감곡 IC로 진입후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
* 목포/군산/광주 방향 우회방법
① 인천방향에서 오는 귀성객은 국도 39호선이나 국도 77호선을 이용하여 아산을 경유, 홍성IC로 진입하여 서해안고속도로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부천ㆍ서울 남부지역에서 출발하는 귀성객은 국도 39호선을 이용하거나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산본IC 에서 국도 47호선을 이용하여 직진하면 국도 39호선과 만나게 되며, 학의분기점에서 지방도 313번을 이용, 봉담에서 국도 43호선과 국도 39호선을 이용하여 아산을 거쳐 홍성IC나 대천IC에서 서해안고속 도로로 진입할 수 있다.
② 서울요금소를 통과하여 수원(신갈)을 지나도 경부고속도로가 혼잡할 경우에는 안성분기점에서 평택③ 안성고속도로를 이용, 서평택분기점에서 서해안고속도로로 진입할 수 있다. 다만 서해안고속도로 송악-당진구간이 혼잡할 경우에는 경부고속도로를 그대로 이용하여 천안-논산고속도로를 이용하는 편이낫다.
④ 수원에서 출발할 경우 국도 1호선 오산-천안구간이 혼잡할 때에는 강릉방향의 국도 42호선-용인대 입구 (지방도 333호선)-국도 45호선을 이용하여 경부고속도로 서안성IC로 진입,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것도 정체구간을 피하는 방법이다.
* 강릉방향/충북(진천ㆍ청주)ㆍ충주방향 우회방법
① 인천에서 강릉방향의 경우 영동고속도로 동수원(신갈)에서 용인휴게소 구간이 혼잡할 경우, 수원IC를 빠져나와 국도 42호선을 이용해야 하며, 호법(이천)-여주구간이 혼잡할 때에도 양지IC에서 빠져나와 국도 42호선 이용, 문막IC로 진입하여 영동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② 영동고속도로 양지IC에서 국도 17호선을 이용하여 일죽IC로 진입하면 중부고속도로를 이용 진천ㆍ청주로 갈 수 있으며, 국도 38호선을 이용하여 감곡IC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제천방향으로 가는 경우 국도 38호선이 4차로로 되어 있어 편리하게 귀향할 수 있다.
http://tbs.seoul.kr/r_traffic/program_7.jsp
정체, 서행, 원활의 기준
TBS(교통방송, FM 95.1㎒ , http://www.tbs.seoul.kr/)듣다보면 현재 고속도로가 [정체되었다] [서행중이다] [원활하다] 라고 나온다. 도대체 몇 ㎞/h이어야 저런 말이 나올까 해서 찾아봤다.
정체 서행 원활
고속도로 ∼30㎞/h ∼70㎞/h 70㎞/h∼
시내도로 ∼30㎞/h ∼50㎞/h 50㎞/h∼
간선도로 ∼20㎞/h ∼40㎞/h 40㎞/h∼
국 도 ∼20㎞/h ∼40㎞/h 40㎞/h∼
보통 이렇다고 한다. 운전할때 50㎞/h 이상이면 운전하는 입장에선 밀린다는 느낌이 들지 않기때문에 수월하다는 표현도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교통 상황 지도
예외:
고속도로의 경우 서울은 ∼20㎞/h까지를 정체라 표현한다.
일반국도의 경우 과천에서는 45㎞/h∼, 안양시는 20㎞/h∼ 를 원활 이라고 표현한다.
사람이 100m를 10초에 달릴때가 36㎞/h이다.
세중 옛돌 박물관
옛날 돌을 전시해놓은 곳. 약 한시간 정도 둘러볼만한 컨텐츠이다. 가격은 어른 5,000원. 한번 둘러볼만 하다고 하던데. 여름에 가야 파란 배경에 사진찍을 수 있다.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 303-11번지
가는방법: 영동고속도로 양지IC에서 나와 양지사거리에서 북쪽으로 1.5㎞ 가면 된다.
1kg = ? m
- 1킬로그램은 몇 미터? 질량과 거리의 단위인데 변환이 되는가 하는 다소 황당한 질문이라 치부할지 모르겠지만, 재미있게도 이 계산은 답이 있다.
1kg = 4.0663629142661555120790868718329 * 10^58 m 이다.
- 아인쉬타인의 유명한 식 에너지와 질량의 등가법칙(E=mc^2)을 이해하면, 1m가 결국 얼마만큼의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지까지도 공식으로 나올 것이다. ㅎㅁ ^^
이거 노벨상감 아녀..
상반기 가야할 전시회들
원래는 두개였는데 하나가 더 늘었네... ㅎㅎ
MP530 잉크
CLI-8BK,8M,8C,8Y는 13㎖
PGI-5BK는 26㎖
타사에 비해서는 2~3배 정도의 용량이다. 슬슬 잉크를 다 써가는거 같은데. 5개 잉크 3번만 사면 MP530 프린터 한대값이랑 맞먹는다. 많이 싸졌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비싸긴 비싸... ㅎㅁ
----
위 잉크로 출력가능매수
흑백 문서 820매
컬러 차트 5BK:1,450매/8Y:540매/8M:600매/8C:850매
포토 출력 8BK:1,650매/8Y:310매/8M:290매/8C:430매
흑백 문서 조건: Microsoft Windows XP환경하에서 1,500개의 문자, 노말 텍스트, 스탠다드 모드, 보통 용지 모드에서 출력시
컬러 차트 조건: Windows XP 드라이버, 포토샵 7.0을 사용해 보통 모드로, 보통용지에서 ISO/JIS-SCID N5 패턴을 기초로 출력시
포토 출력 조건: Windows XP 드라이버 환경하에서, XP의 포토 출력 마법사를 사용하여, 4"x6" 포토 광택지를 캐논의 표준 패턴으로 보통 모드에서 여백없이 출력시
![]() 흑백문서조건(1500자) | ![]() ISO/JIS-SCID N5 |
무한잉크(잉크연속공급장치, CISS, Continuous Ink Supply System)
사용할 생각은 아직까진 없지만, 그래도 알아보는 차원에서.
이름만 보면 잉크만 보충해주면 언제까지나 '무한'할것 같지만 잉크 압력이 정품과 다른 관계로 노즐에 문제가 생긴다. (압력이 낮으면 막히고 압력이 높으면 터진다) 문제는 캐논의 버블젯 노즐은 원래부터가 소모품인데다가 아주 많이 비싸다. (A/S센터에 전화해서 구매해야 하는데, 약 10만냥 정도 되는걸로 알고 있다 (전화해본건 아니다. 아님 말고) 프린터값이 21만냥인데 말이다 ^^) 노즐은 잉크젯 프린터의 핵심 부품임을 감안해도 아무래도 무한잉크 쓰지 말라는 뜻일지도.
무한잉크 시스템은 약 10만원. 잉크는 1ℓ(=1,000㎖)에 색상당 1만원 정도이다.
http://powerink.co.kr/
http://www.neten.com/
----
MP530구매기 http://windy.luru.net/294
MP-530 vs MX-700 http://windy.luru.net/327
MP530CD프린팅 http://windy.luru.net/329
MP530 잉크,무한 http://windy.luru.net/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