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AHCI(Advanced Host Controller Interface) 사용
특히 SATA HDD의 NCQ(Native Command Queuing)와 SSD의 Trim(데이터 블록을 초기화 하는 명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AHCI 를 사용해야 한다. 쉽게 말해 HDD와 SDD가 더 빨라진다. 특히 다중 작업(동시에 2개 이상의 프로그램에서 동시에 하드디스크의 파일을 읽거나 쓸때)시 더 빨라진다.
문제는 현재나오는 OS에서 AHCI로 설치하려면 드라이버 디스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윈도 XP에서 설치하려면 플로피디스크에 AHCI F6 드라이버를 받아놔야 하고, 윈도 비스타와 윈도7에서는 (대부분의 AHCI드라이버는 내장되어있지만) 마더보드에 맞는 AHCI 드라이버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드라이버를 받아놓아야 한다. 비스타 이후부터는 플로피 디스크 뿐만 아니라 USB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다는건 그나마 다행이다. 다행이 내 마더보드는 기본 지원 했기 때문에 쉽게 설치할 수 있었다.
예전엔 AMD SB600 칩셋의 RAID 1 기능을 이용해 미러링 해서 썼는데, 이번에 하드디스크를 바꾸면서 AHCI로 변경했다. 중요한건 어차피 별도의 하드디스크에 백업받고 있으니, 차라리 이게 더 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결과는 역시 AHCI가 더 빠르다. 초당 120MB는 복사하는듯 하다. AHCI 구성하지 않은 경우 초당 80MB 수준이었다. (옆에 있는 서브 PC도 초당 50MB는 복사할 수 있다) 특유의 딜레이도 많이 줄어들었다.
결론이 뭐냐고? [윈도비스타/윈도7 설치할때 꼭 AHCI를 사용하라]는 거다.
- AHCI를 사용하려면 운영체제에서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하지만, 바이오스에서도 AHCI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 최신의 중급 이상의 마더보드는 모두 지원한다. 한번 AHCI를 사용해 윈도를 설치했다면, AHCI 여부를 변경하지 못한다. 불가능한건 아니지만, 윈도 다시 설치해할 수도 있다.
- 인텔은 인텔 칩셋에 RAID기능이 있는 경우 AHCI보다 RAID를 권장한다. 하지만 필자는 권하지 않는다. RAID 설정 풀리면 HDD에 있던 데이터를 사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 사용한 컴퓨터 사양
M/B: Asus M2A-VM HDMI
CPU: AMD BE-2350
RAM: Samsung DDR2-800 8GB
HDD: Seagate 7200.12 750GB
OS: Windows Vista 64 SP1
2009.7.7 DDoS
2003.1.25 일 1차 인터넷 대란에 이어 2009.7.7 2차 인터넷 대란이 있었습니다.
1차 인터넷 대란은 대량의 DNS쿼리에 의한 KT DNS서버다운으로 인한 장애였구요,
2차 인터넷 대란은 대량의 좀비PC에 의한 DDoS공격에 의한 서버 다운이네요.
가장 염려스럽고, 가장 최악의 경우였는데 현실로 나왔습니다. 대량의 좀비PC에 의해 감행된 DDoS에 의한 인터넷 서비스 거부 공격.
1차 인터넷 대란은 마이크로소프트 SQL서버용 웜인 [슬래머웜]에 의해 대량의 DNS쿼리가 발생하는 바람에 당했다. 물론 부하가 많은 리버스 쿼리도 평소보다 월등히 많이 나와서 그것 하나만으로는 단정지을 수 없지만 말이다. 어쨌든 DNS서버에 과부하가 걸려서 DNS서버가 제 역할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인터넷 접속 불능이 일어난건 맞다.
2차 인터넷 대란은 좀비PC에 감염된 각종 웜에 의해 특정 사이트로 DDoS를 보내 특정 사이트만 다운시켰다. 24시간 단위로 DDoS를 보낼 주소를 받도록 했는데, 어디인지는 아직 모르는 상황이다. P2P를 이용해서 쉽게 찾을 수가 없다는 뉴스를 봤다. 어쨌든 명령을 내리는 주 서버는 존재할테니 계속 들여다보면, 감염된 PC를 확보해 패킷 모니터링을 계속 하고 추적하고... 그러다보면 나올 것이다. 단지 그 서버가 컴맹의 PC가 아니길 바랄 뿐이다.
DDoS에 대해 해결책은 두가지있다.
① 개개인이 보안에 철저하도록 방법. 각 PC에 V3Lite 만 설치해놓았어도 이런 일까지는 없었을 텐데 말이다.
② 서비스가 DDoS로 다운 되지 않도록 증설하는 방법. 큰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쉽지 않다.
- 수억원대의 DDoS방어 장비로 막을 수 있었다면 이렇게 염려하지도 않았다
- [배후세력] 뉴스 나올때 웃었다. 차라리 그러면 다행이다. 그렇게 쉽게 알아낼 수 있었다는건, 북한의 해킹실력이 형편없다는 뜻이니깐.
※ 이번 해커는 상당히 머리가 좋다. 버그를 이용해 웜이 PC에 침투한다음, 공격파일과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받아 실행한다. 직접 만든것으로 보인다. 단순히 인터넷에 있는 툴 받아서 해킹하는 초보적인 수준이 아니다. 이미 해커들에겐 영웅이 되어있을지도.
※ 조만간 감염된 PC의 하드디스크가 손상될꺼라고 한다. 처음 증상이 멀쩡한 파일이 갑자기 압축파일로 바뀌는 것이다. (압축 안 풀린다)
※ 뉴스에 상당히 자세하게 나온다. 비 전문가들은 알아듣기 힘들것 같은데 말이다.
PC 견적 2009.07 (인텔)
- M/B
ASRock G31M-S 50,000
G31,FSB1333MHz,PC2-6400,6Ch,24+4,2Bank,100MLAN
Intel DG41TY Classic 94,000
G41,FSB1333MHz,PC2-6400,6Ch,24+4,2Bank,1GBLAN
ASUS P5QL-EM 149,000
G43,FSB1333MHz,PC2-8500,8Ch,24+4,4Bank,HDMI,eSATA,IEEE1394,1GBLAN
- CPU
인텔 코어2듀오 울프데일 E8400 정품(3.0GHz,6MB,지원) 202,000
인텔 코어2듀오 울프데일 E7400 정품(2.8GHz,3MB) 143,000 추천
인텔 펜티엄 울프데일 E6300 정품(2.8GHz,2MB,지원) 102,000
인텔 펜티엄 울프데일 E5200 정품(2.5GHz,2MB) 81,000 추천
인텔 펜티엄 콘로 E2220 정품(2.4GHz,1MB) 76,000
인텔 셀러론 콘로 E1400 정품(2.0GHz,0.5MB) 53,000
- RAM
삼성 DDR2 2G PC2-6400 (정품) 31,000 * 2
※ 마더보드를 가격대에 맞췄다. 10만원 초반중에 G41을 사용하는건 인텔 보드가 유일한듯
※ CPU에 [지원]은 윈도7의 [XP가상화 기능]을 지원하는 CPU라는 뜻
※ 인텔에서 조만간 가상화를 지원하는 CPU를 대거 출시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 조금 기다렸다가 사는게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
컴퓨터 견적 2009.07
※ 메인PC급
2009.07 전월대비
에이엠디 페넘II-X2 칼리스토 550 Black Edition 126000 ↓4000
아수스 M4A78T-E 228000 ↓10000
삼성 DDR3 DDR3 2G PC3-10600 55000 × 2↑12000
시게이트 SATA2 500GB 7200.12/16M ST3500418AS 70000 ↑3000
파이오니어 DVD/CD Writer DVR-S17FXV 48000 ↓2000
쓰리알시스템 R120 V2 TOP Model 52000 -
에너맥스 ECO80+ EES400AWT 92000 -
-------------------------------------------------------------------
3.1㎓×2,4GiB,500GB,DVD-Multi,400W 726000 ↑11000
※ 세컨PC급
2009.07 전월대비
에이엠디 애슬론II-X2 레고르 250 정품 100000 ↓10000
아수스 M4A78-EM/1394 ACC 114000 신규
삼성 DDR2 2G PC2-6400 31000 × 2 ↑2000
시게이트 SATA2 500GB 7200.12/16M ST3500418AS 70000 ↑3000
삼성 Super-WriteMaster SH-S223Q 27000 ↑1000
에너맥스 Opera E1-WL (ECP300TST) 59000 ↓5000
-------------------------------------------------------------------
3.0㎓×2,4GiB,500GB,DVD-Multi,300W,LP 432000 ↓1000
※ 30만원PC
2009.07 전월대비
에이엠디 애슬론64 리마 LE-1640 41000 ↓5000
아수스 M4A78-VM 89000 신규
삼성 DDR2 2G PC2-6400 31000 × 2 ↑2000
시게이트 250GB 7200.10 ST3250310AS 8M 슬림 54000 ↑2000
삼성 Super-WriteMaster SH-S223Q 27000 ↑1000
쓰리알시스템 R640 조로 16000 -
지엠씨 풍 P-4000 V23 30000 ↓5000
-------------------------------------------------------------------
2.7㎓×1,4GiB,250GB,DVD-Multi,400W 319000 ↑11000
----
- 램값이 심상치 않다. ㅎㅁㅎㅁ
- 마더보드를 모두 아수스의 M4 시리즈로 교체했다. AM3 CPU를 사용하는데 지장 없을 것이다. 30만원PC에까지 M4시리즈를 사용한건 오버인거 같기도 하지만, 마더보드 만큼은 좋은거 써야 하니 패스
- 세컨PC급에서 nVIDIA칩셋을 포기. ACC때문에 결국 AMD칩셋을 선택했다. ㅎㅎㅎ 마더보드 설명: http://windy.luru.net/706
URBAN HACK ATTACK - EPISODE 1
도시 해킹 공격 - 에피소드 1
해커라면 이정도는 되어야 명함을 내밀던가말던가 할텐데요. ^^
빌딩의 전원 공급기를 해킹한거라 하네요. 시리즈물로 담번엔 어느 빌딩이 될지 ^^
햅틱 아몰레드(Haptic AMOLED)
SCH-W850/SPH-W8500/SPH-W8550
- 3.5 인치 AMOLED
- WVGA(800x480)
- Touch WIZ 2.0
- 500만화소,AF,LED 플래시카메라
- DivX, H.264, GPS
※ 아몰레드. AMO-LED 를 발음나는 대로 쓴 단어다. 뭔 뜻이 있나 찾아봤다는 ^^
※ 오늘 출시된 삼성에서 새로나온 폰이다. 아래의 제트폰의 국내판이다. (근데 무선랜을 지원 안한다. ㅎㅁ)
※ 이름 그대로 AMOLED를 달고 나왔고, DivX와 H.264코덱을 지원하고, 3.5파이 이어폰(일반 MP3 플레이어에 들어가는 이어폰)을 끼울 수 있다.
※ DRM이 적용되어서 나온다네요. ㅎㅁ ^^ 지름신이 저멀리 도망가는 느낌.
※ 가격은 80만원 후반 예정. 역시 지름신이 저멀리 도망가고 있네요. 실질 구매가가 50만원대까지 떨어질때까지 기다려야 하남.
----
Jet관련 글: http://windy.luru.net/696
아몰레드 리뷰: http://blog.naver.com/delightmate/120072726462
M4A78-EM/1394 ACC
- AM3 CPU 지원
- DDR2 1200 (오버클럭)지원
- 780G + SB710
- RGB, DVI-D Dual 지원
- HDMI + HDCP 지원
- PCIe 2.0 지원
- IEEE1394a 지원
- eSATA 지원
- EPU 지원
- ALC887 사운드 칩셋
- 115,000 원
- 다나와에는 [M4A78-EM/1394 ACC] 라고 표기되어있음
※ M3A78-EM 에서 사우스 브릿지가 SB710로 바뀐 제품이다. (기존은 SB700)
→ SB710은 SB700에 비해 Super I/O와 ACC가 지원되는 것이 다르다. 그리고 상위버전인 SB750은 SB710에 RAID 5 기능이 추가되어있다. 바꿔말하면 RAID 5 이 필요 없다면 SB710사용한 저렴한 마더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는 뜻이다. (RAID 5에는 최소 3개의 하드디스크가 필요하니 사용하는 사람 많지 않을 듯)
→ ACC는 Advanced Clock Calibration의 약어로 오버클러킹을 사우스 브릿지 칩셋에서 해준다는 뜻이다. 반응성도 빠르고 다운되지 않도록 잘 조절해준다. 오버클럭 범위를 지정하면 시스템이 알아서 오버클럭한다.
→ Super I/O지원은 기존의 느린 I/O기기들, 예를 들면 직렬포트나 병렬포트,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같은 레거시 장비 호환 포트를 위해, 마더보드 업체가 별도의 칩을 사용해서 지원했는데 이제는 SB710안에서 기본 지원한다는 뜻이다. 당연히 이렇게 하면 마더보드 가격이 내려간다.
→ 공식 수입사인 디지털 그린텍 홈페이지에 가면 이 마더보드의 ACC 버전 바이오스를 다운받을 수 있다. (아수스의 공식 바이오스는 아니다) 이 바이오스로 업데이트 한 후, 바이오스 메뉴에서 Advanced Clock Calibration를 Enable 로 세팅 한 후, Unleashing Mode('해방 방식'이라는 뜻)를 Enable 로 바꾸면 (운이 좋으면) 헤네브나 칼네브를 만들 수 있다.
→ M3A78-EM에 비해 전원부가 5Phase에서 4Phase로 줄었고, Display Port가 제외되었다.
유일한 문제는 아직 제품이 초기상태라 불안정하다는 글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는거다. ^^ 바이오스 업글이 좀 되어야 할텐데 말이다. 어떤 제품이든 3개월 내의 초기 물량은 가급적 피했던 나로써는 구입을 망설이게 한다는 거다.
Samsung Jet
- 터치위즈 2.0 (햅틱UI 2)
- 3G지원
- 3.1인치 16M WVGA(854x480) AMOLED
- 5백만화소, AF 카메라, 얼굴인식, 플래시
- H.263, MPEG4지원
- DNSe & SRS WOW 사운드
- FM 라디오
- 돌핀 브라우저(자체개발 웹 브라우저)
- 블루투스 2.1, 마이크로USB, 무선랜(802.11g)
- 2GB 내장 저장장치, 마이크로 SDHC슬롯
- 800MHz 프로세서
- GPS내장
ASUS P6T7-WS SuperComputer
원래 인텔의 최신 CPU i7이 워크스테이션 용도죠. 워크스테이션 보드라고 하네요. 실제로 다른 회사에서 파는 워크스테이션용으로 손색이 없습니다. 몇가지만 뺴고요 ^^
- LGA1366
- X58, ICH10R, Nvidia NF200 * 2
- Xeon 프로세서 지원
- 메모리 소켓 6개(3채널), 언버퍼드 DDR3-1333, 최대 24 GB
- PCI-E 2.0 x16 * 7
- SAS, eSATA지원
- nVIDIA SLI, ATI CrossFireX, nVIDIA CUDA 지원
- TPM 지원(하드디스크 암호화 기술임)
- 기가비트랜 * 2(리얼텍)
- CEB Form Factor (서버용 보드임)
- 80만원
→ 외부에서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좀 아쉽네요. 별도의 보드를 두어 네트워크로 보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요. (즉 인터넷상으로 바이오스 조절, 리셋스위치 누르기, 파워스위치 누르기가 가능해짐)
→ 워크스테이션에 리얼텍 랜카드는 많이 아쉽네요.
AMD CPU 이해
AMD Phenom II X4 9xx
- 코드네임: Deneb (데네브)
- 코어개수: 4
- 동작클럭: 2.6GHz ~
- 코어당캐시: 64KB L1 instruction, 64KB L1 data, 1.5MB L2
- L3캐시: 6MB 공유
- 패키지: Socket AM2+ (939핀)
- 공정: 45nm
- TDP: 95W~125W
AMD Phenom II X4 8xx
- 코드네임: Deneb (데네브)
- 코어개수: 4
- 동작클럭: 2.5GHz ~
- 코어당캐시: 64KB L1 instruction, 64KB L1 data, 2MB L2
- L3캐시: 4MB 공유
- 패키지: Socket AM3 (938핀)
- 공정: 45nm
- TDP: 95W
AMD Phenom II X3 7xx
- 코드네임: Heca (헤카)
- 코어개수: 3
- 동작클럭: 2.6GHz ~
- 코어당캐시: 64KB L1 instruction, 64KB L1 data, 1.5MB L2
- L3캐시: 6MB 공유
- 패키지: Socket AM3 (938핀)
- 공정: 45nm
- TDP: 95W
AMD Phenom II X2 5xx
- 코드네임: Calisto (칼리스토)
- 코어개수: 2
- 동작클럭: 3.1GHz ~
- 코어당캐시: 64KB L1 instruction, 64KB L1 data, 512KB L2
- L3캐시: 6MB 공유
- 지원메모리: PC2-8500, PC3-10600
- 패키지: Socket AM3 (938핀)
- 공정: 45nm
- TDP: 80W
AMD Athlon II X2 2xx
- 코드네임: Regor (레고르)
- 코어개수: 2
- 동작클럭: 3.0GHz~
- 코어당캐시: 64KB L1 instruction, 64KB L1 data, 1MB L2
- 지원메모리: PC2-6400, PC3-8500
- 패키지: Socket AM3 (938핀)
- 공정: 45nm
- TDP: 65W
AMD Athlon II X3 4xx
- 출시미정
- 코드네임: Rana (라나)
- 코어개수: 3
- 패키지: Socket AM3 (938핀)
AMD Athlon II X4 6xx
- 출시미정
- 코드네임: Propus (프로퍼스)
- 코어개수: 4
- 패키지: Socket AM3 (938핀)
----
쉽게 이해하기
- Phenom II 는 L3캐시가 있고 Athlon II 는 없다.
- Phenom II계열의 트리플 코어와 듀얼코어는, 쿼드코어에서 코어 한개와 두개를 사용하지 못하게 만든 것이다.
- Athlon II계열은 처음부터 듀얼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코어로 만들었다. 페넘보다 동작 클럭이 높다.
- 보통의 용도에는 Athlon II가 좋을듯. L3캐시를 유용하게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게 아니라면 말이다.
Phenom die
Regor d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