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nVidia GeForce GT1030

사용자 삽입 이미지

Inno3D Geforce GT103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당근에서 저렴하게 구매했다. 5만냥. 현재 신품 최저가는 10만냥이다. 2022.08 제조한 제품으로, 무상 A/S 남아있는 제품이다. 팬 없는 제품이다. 팬이 없는건 게임용으로 사용하기엔 적절하지 않지만, 조용하기 때문에 주로 유튜브나 동영상 감상용으로 많이 구매한다. 4K 지원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확실히 지난번에 쓰던것보다는 빠르다. 특히 h.265 하드웨어 가속이 되니 좋다. 진작 쓸껄 그랬다. 어차피 몇주 후에는 1030 지를 예정이긴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윈도11 지원되기 때문에 작업관리자에 아래와 같이 뜬다. 팬이 없기 때문에 특히 온도에 주의해야 한다. 게임만 안하면 별로 신경 안써도 되겠지만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Vidia GT 1030 은 GT 의 마지막 제품이고 (이후에는 GTX 나 RTX만 나옴) 팬리스의 마지막 제품이다. 이후에는 모두 팬을 달고 나온다. 2024년 현재 소비전력 30W 대인 마지막 제품이기도 하다. 이후 기술로도 30W 제품을 맘먹으면 만들 수 있겠지만 아직 까진 안만들었다. 외장 그래픽 카드는 내장 그래픽보다 성능이 좋아야 하기때문에, 성능을 좋게 하려면 소비전력 30W 으로는 못만든다. 따라서 앞으로도 만들일 없다고 본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에너맥스 CYBERBRON ECB600AWT 80PLUS BRONZ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에너맥스 사이버브론 파워 구매했다. 2개 구매했다. 마침 이벤트로 싸게 판매해서 개당 5만냥 미만에 구매했다. 현재 가격은 5.8만냥 정도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래는 500W 정도되는걸 사려고 눈팅하다가 운좋게 걸렸다. Nichicon 社의 420V / 270㎌ / 105℃
캐패시터를 사용한 제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CIe 8 핀을 2개 제공해준다. 이렇게 돌릴일은 없겠지만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력은 아래와 같다. 가장 중요한 12V 출력이 552W 이다. 생각보다는 좋아서 맘에 든다. 이 정도면 300W 정도되는 GPU 를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그래서 8핀 PCIe 파워 커넥터가 2개를 제공해준다. 게다가 좀 무리하면 350W 급 GPU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RTX4080 (TGP 320W) 사용 가능하려나 모르겠다. (실제로 4080 을 사용할 시스템에 이런 저가형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하지는 않겠지만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https://www.enermax.com/en/products/cyberbron-600-watt-80-plus-bronze-non-modular-power-supply

---- 2024.05.06

후속작인 사이버브론 II 가 나왔는데, 이게 평이 좀 실망이라는 게 있다. 기존건 제조사가 대만의 CWT(Channal Well Technology) 였는데 새로나온 신형은 Helly라고 한다. CWT는 OEM/ODM 파워 제조사로는 최고라고 알려져 있다. 그렇다고 Helly 니까 안산다는건 좀 이상하지만 말이다. 하지만 파워가 2024.04 에 나왔는데도 ATX 3.1 을 지원하지 않는건 좀 아쉽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nVidia GeForce GT440

우연히 나눔받은 nVidia GeForce GT440의 정보. AFOX 의 제품으로 OEM 용 그래픽카드로 추정된다. DDR3 라서 게임 성능은 당연히 기대하지 않지만, 세컨 PC에 장착해서 유용하게 사용할것 같다. 이 블로그에 보면 GT440 에 대한 글이 몇 있다. 2010년 당시 그렇게 사고 싶긴 했는데 결국 안 산 제품이다. 하지만, 이렇게 사용하게 될 줄은 몰랐다.

그래도 GT440 은 PureVideo 3를 지원하기때문에 H.264 코덱으로 인코딩된 4K 동영상도 하드웨어적으로 디코딩 되는 좋은 기기다. (하지만 GT440 은 4K 출력이 안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윈도10을 정식지원하기 때문에, GPU 상태가 윈도 작업관리자에 표시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ASRock G31M-S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눔으로 받은 보드. G31M-S R2.0 이다.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스펙써놓은거 비교했다)

- EuP LAN / EuP Audio 를 지원하기 때문에 PSU 에서 EuP 지원되면 좀 더 적은 전력으로 대기할 수 있다.
- FSB 1600 오버클러킹에 대한 안내가 추가되었다. (보드에 마킹되어있다)
- 105W CPU 지원
- CD 헤더 삭제
- ALC662 코덱만 사용(기존 버전은 VIA® VT1708S 과 병행했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쨌든 FSB 800 CPU 라도 DDR2-800 으로 세팅되면 매우 빨라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름 만족하면서 서드 피씨로 잘 쓰고 있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Intel® Pentium® Processor E5400 - CPU-Z

콘로 프로세서의 45nm 버전이다. 펜티엄 브랜드로 출시되었다. L2 캐시가 2MB이고 FSB 가 800MHz 이다. 아래 CPU-Z 화면은 SLGTK 스펙을 가진 E5400 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울프데일 코어인데도 SSE 4.1 을 지원하지 않는건 좀 아쉽다.

필자가 선택하는 최소 성능 기준이 Full HD (1920 x 1080, H.264, 2CH), 24 fps 영상을 무리없이 재생할 수 있느냐인데, 이 CPU로는 정상적인 플레이가 어렵다. 그래서 현재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3RSYS R10 아트오브제 (화이트)

케이스 하나 구매. 기존에 사용하던 거의 15년 가까이 사용하던 케이스가 도저히 못 쓸 정도가 되어서 버리고, 새로 구매했다. 3RSYS 의 R10 아트오브제다. 가격은 4.5 만냥.

사용자 삽입 이미지
디자인이 괜찮고, 번들된 팬이 3RSYS Socoool Silence SE 으로 120mm/140mm 각각 1개씩 준다. 이 팬이 상당히 성능이 좋다. 조용하기도 하고 말이다. 팬을 손으로 돌려보면 그 부드러움이 느껴졌다. 여태까지 케이스 팬은 고성능 팬을 주로 써 왔고 필요하면 팬 컨트롤러로 바람 세기를 조절하면서 사용했는데, 조용하고 부드럽게 돌아가는 팬도 써보니 괜찮아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면은 스피커 디자인. 이 케이스의 유일한 단점(?) 이 전면 패널에 팬을 2개 달지 못한다는 거다. 1개만 달 수 있다. 저 스피커 처럼 생긴 유닛 뒷부분에 팬을 달 수가 없다. 이 부분이 가장 아쉽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2025.02.18

이 케이스는 필자가 최근 구매/사용한 케이스 중에서, 가장 맘에 든 케이스다. 단지 보고만 있어도 괜찮았다. 다시 구매하려고 보니 단종이라고 나왔다. (판매점 수가 빠르게 줄고 있다) 같은 형식의 다른 케이스가 나올지 보고 있다. 후속 제품은 스피커 부분에 팬을 달 수 있게 나왔으면 좋겠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Intel® Core™2 Duo E6750 - CPU-Z

사용자 삽입 이미지

CPU-Z 올려 놓았는 줄 알았는데 아직 안해놨더라. 업로드 해 놓는다.

이 블로그도 몇일 전까지 이 CPU 를 사용해 운용했다. 지금은 업그레이드된 상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블로그 운영하는데에는 느리다고는 생각하진 않았지만, 다른 작업도 하려 해서 부득이하게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단행했다. 그래도 꽤 애정이 남는 CPU라 구형 데스크탑에 소장용으로 정말 못쓰게 될떄까지 쓸 것 같긴 하다. 마더보드도 아직 멀쩡하고 말이다. 발열은 많지만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E6750 와 DG31PR 조합에서, 최고의 성능을 뽑아내서 썼다고 자부한다. 특히 메모리 바꾸고 나서 제 성능이 나오는거 보고 꽤 감탄하기도 했다. 진작 바꿀껄 하는 생각도 같이 들었지만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Intel® Core™ i7 7500U - CPU-Z

i7 CPU 이긴 한데 생각보다는 느리다는 생각이다. 게다가 2코어다. i7 에 2코어는 이상해서 스펙 찾아봤지만 2코어가 맞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데스크탑으로 말하면 거의 i3 급이 된다. 역시 모바일과 데스크탑의 CPU 급 비교는 할 필요 없다. (모바일이 너무 떨어진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nVidia GeForce 940MX - GPU-Z

잠깐 쓰던 제품. 노트북에 붙어있었던 제품이다. 그래도 GT 1030 정도 성능을 생각했었는데 그것보다도 성능이 낮은 느낌이다. CUDA 코어라도 많으면 좀 써보려 했는데 384개라 안쓰는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도 노트북에는 이거라도 있는게 좋긴 하다. CPU에 내장된 iGPU 는 더 안 좋기 때문이다. 생각외로 iGPU 에서 차지하는 메모리 대역이 많기 때문에, 성능 저하를 막으려면 외장 GPU 에 전용 메모리를 가진 제품이 필요하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하드웨어 정보
Core2 Quad Q9500

어쩌다보니 얻게 된 4코어 CPU. 크게 영입할 생각은 없긴 했다. 이 CPU 는 쉽게 말하면 Q9550 의 L2 캐시 축소 버전이다. 그외에 다른 스펙은 같다. CPU-Z 정보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당연한거지만 성능상 Q9550 과 큰 차이는 없다. Q9550 의 12MB (6MB x 2) 캐시를 제대로 사용할 프로그램으로 성능테스트하지 않는 이상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Q9500 의 장점중 하나가 오버클럭이 잘된다는 것이다. FSB 1600 MHz 세팅이 잘 된다는 의미다. Core 2 CPU를 포함한 많은 CPU의 성능은 FSB 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FSB 속도가 곧 메모리 속도이기 때문이다. 주변장치와의 I/O 가 크게 좋아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ntel® Core™2 Quad Q9500 오버클러킹

Intel® Core™2 Quad Q9550 - CPU-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