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문화,취미
샴푸, 트리트먼트, 린스

머리 감는 순서는 샴푸 → 트리트먼트 → 린스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샴푸는 두피와 모발의 이물질을 씻어내기 위한거라서 두피와 모발을 골고루 잘 닦아준다. 닦는다는 표현보다는 빨래빨듯이 빨아준다는 표현이 더 좋겠다. 머리긴 사람들은 정말 빨아야 하니깐 말이다. 두피도 샴푸로 닦아줘야 하는데 샴푸 후 두피에 문제가 생길 경우 샴푸를 바꿔야 한다. 자신에게 맞는 샴푸를 알아내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 지성/건성 두피도 나이가 들면 바뀌기도 하니 (점점 건성으로 바뀐다) 주기적으로 샴푸를 교체해 보자.

린스는 모발을 코팅하기 위해 사용한다. 컨디셔너라고도 부른다. 샴푸 후, 약간 젖은 머리에 린스를 적당량 덜어내어 모발에 발라준다. 가급적 두피에는 바르지 않는게 좋다. 두피에 바르라고 만든 제품이 아니다. 골고루 발라준 후 2 ~ 3분정도 있다가 잘 헹궈낸다. 2 ~ 3분 텀을 두지 않고 바로 헹궈내면 효과가 많이 떨어진다.

트리트먼트는 모발에 영양을 주기 위해 사용한다. 헤어팩이라고도 부른다. 주 1회 정도가 적당하고 (자주할 필요 없다), 샴푸 후, 린스 전에 사용한다. 린스와 마찬가지로 두피에 바르지 말아야 한다. (일부러 두피에 바르지 말라는 의미다) 사용하는 요령은 린스와 같은데, 10분 이상 있다가 헹궈야 한다. 영양은 모발에 스며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린스를 하고 트리트먼트를 바르면 효과가 떨어진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PS/2 키보드

아주 오래전에 키보드 커넥터는 굉장히 컸습니다. 100원짜리 동전 만한 너비를 가졌었죠. 5핀 DIN 타입이었고, XT/AT Keyboard Connector 라는 이름을 가졌습니다. 그런 커넥터를 PC 뒷면에 끼웠습니다.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이후 PS/2 Mini 커넥터가 나옵니다. 6핀 DIN 타입입니다. 원래는 IBM PS/2 라는 컴퓨터 기종에 사용하던건데 이게 작은 키보드/마우스 커넥터를 사용했습니다. 그게 PS/2 규격입니다. PC에서도 그대로 사용하게 되었죠.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요즘엔 USB 방식의 키보드/마우스를 사용합니다. 나아가서 무선 블루투스 방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PS/2 방식의 키보드가 사장되는듯 하다가, 갑자기 PS/2 키보드가 핫 해지고 있습니다. AMD 5xx 칩셋 이상, Intel 3xx 칩셋 이상의 마더보드에 윈도7을 설치할때, 윈도7에서 신형 USB 드라이버를 인식하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집니다. 그래서 키보드/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게되고 따라서 설치도 못하게 되죠. 윈도7은 단종되었지만, 아직까지 많은 곳에서 사용하고 있고 앞으로도 많은 곳에서 사용하고 있을겁니다. 그래서 요즘 일부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PS/2 키보드가 필요해지게 되었습니다.

USB 키보드/마우스를 PS/2 키보드/마우스로 변환해주는 어댑터도 있습니다. PS/2 나 USB 나 시리얼 통신이기때문에 가능한겁니다. 1000원이면 구매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생겼는데, 이걸 사용하려면 키보드/마우스에서 지원해줘야 합니다. 요즘 나오는 LED 달린 키보드는 아마 지원 안될겁니다. 삼성에서 만든 키보드가 지원 잘 됩니다. 하지만 스펙에 PS/2 지원된다는 이야기가 안써있어서 문제네요. 제가 해본건 SPA-KKA1BUW 이고 어댑터를 사용해 PS/2 포트에 연결해도 잘 입력됩니다. 하지만 K640 은 안되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USB-PS/2 키보드/마우스 어댑터. 키보드는 보라색, 마우스는 청록색이다. 어댑터 뿐만아니라 키보드/마우스에도 PS/2 펌웨어가 들어가 있어야 한다.



키보드는 USB 방식보다 PS/2 방식이 더 좋긴 합니다. 통신 방식만 놓고 보면요. PS/2 방식은 전용 키보드 컨트롤러가 있기 때문에 더 잘 지원해줍니다. N키 롤오버 같은것도 원래 PS/2 에서는 이야기가 안나왔습니다. 컨트롤러에서 당연히 지원되는거라서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명한 키보드 컨트롤러인 Intel 8042



----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LogoFAIL 보안 취약점

사용자 삽입 이미지

LogoFAIL 로고. 출처: binarly.io



UEFI 의 보안 부팅을 우회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다고 하네요. 많은 마더보드에는 PC에 전원인가시 화면에 표시되는 로고를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여기에 취약점이 있다고 합니다.

발견은 작년에 되었고, 올해 초에 보안 취약점을 해결한 마더보드 바이오스가 배포되고 있는거 같네요. 제가 눈여겨 보는 ASUS PRIME A520M-A II 제품도 올해 1월 8일에 배포되었습니다.

자세한 방법에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만, 꽤 심각한것 같아 보이네요. 관련된 버그는 CVE-2023-5058, CVE-2023-39538, CVE-2023-39539, CVE-2023-40238 입니다. 바이오스 업데이트 필수네요.

----

The Far-Reaching Consequences of LogoFAIL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Intel® Core™ i5 7500 - CPU-Z

i5 7500 을 구했다. 당근에서. 5만냥.

사용자 삽입 이미지

켜자마자 i3 6100 보다 빠르다는걸 실감했다. 메모리가 빨라서 그런감.

사용자 삽입 이미지

SD 1.5 도 이미지 생성속도가 약 15% 정도 빨라진거 같다. 12 초에서 10 초대 정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엇보다 많이 바뀐건 내장 그래픽이다. 인텔 HD 그래픽 530 에서 630으로 바뀌었는데 코덱 지원이 특히 늘었다. H.265, VP9 디코딩도 제대로 지원해준다. 따라서 630 용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해줘야 한다. 아쉽게도 3D 성능은 기존과 동일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DDR4-2400 지원이라 메모리 클럭이 1200MHz 으로 나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ntel® Core™ i5 7500
Intel® Core™ i3 6100
Intel® Pentium® G4560
Intel® Core™ i7-7700K

글쓴시간
분류 기술,IT/스테이블 디퓨전
Stable Diffusion - 반월 #1

만월과 드레스는 있는데 반월과 드레스는 없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래서 바로 실행. 마침 반월과 관련된 LoRA 가 있어서 그걸 활용해 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