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케이스 LED 조명 RGB, ARGB

요즘의 조립 PC에서는 RGB 조명을 사용하곤 한다. 처음 소개되었을때가 2015년 경이었던걸로 기억하는데 그때 이후로 많이 발전했다.

초기의 RGB 조명은 시스템 팬에 넣은 LED 를 켜거나, SATA 전원단자에 LED 를 사용한 조명기기를 연결해 사용했던 방식이다. 그래도 꽤 인기를 끌었다. 필자도 몇개 가지고 있다.

그 이후 조명기기에서 사용하는것과 같은 형식인 "12V 4핀 RGB 단자"가 마더보드에 기본 장착되게 되고, 이를 RGB 방식이라 명명한다. 마더보드 제조사마다 이름을 달리불렀는데 ASUS 의 경우 ASUS Aura 라고 불렀다. 이때부터 PC 조명 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AMD 에서 나온 CPU 기본 쿨러인 Prism 쿨러에도 이 단자를 사용할 수 있었으니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핀 단자


4핀 단자는 +12V, RED, GREEN, BLUE 단자로 이루어져있고 하나의 색만 표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시중에 조명용으로 널리 사용하는 "12V 5050 RGB LED 스트립" 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하나의 색만 표현할 수 있다는게 "조명"에서는 괜찮았지만 "튜닝"에서는 별로 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핀 단자

그래서 여러가지 색을 표현하고자 Addressable RGB (ARGB) 이 나오게 되었다. ARGB 는 디지털 방식을 사용하고, 5V 를 사용했다. 이후 좀 더 다양한 밝기, 패턴을 사용하기 위해 ARGB2 가 발표되었다. ARGB2 는 ARGB 와 호환된다.

※ 정리하자면

RGB: 4핀(+12V, GREEN, RED, BLUE) → 연결된 기기에 하나의 색만 표현 가능
ARGB:  3핀(+5V, DATA, GND)        → 연결된 기기에 여러 색을 표현할 수 있음
ARGB2: 3핀(+5V, DATA, GND)      → ARGB 에 더해 색의 밝기, 패턴등을 표현할 수 있음

- 현재 PC 튜닝용 LED는 대부분 ARGB 용으로 나오고 있다. RGB 용으로는 안나오고 있지만, RGB 방식은 조명기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규격이라 그냥 조명기기 판매점에서 PC단자가 달린 LED 스트립을 구매해서 사용하면 된다.

- ARGB 는 DRGB(Digital RGB) 라고도 불린다. ARGB 도 어차피 WS2812(네오픽셀)칩 계열을 사용한 LED를 구동시킬  뿐이다.

- ARGB 제품중에서 A 가 Addressable 이 아니라 Auto 의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는 제품이 있다. 마더보드에서 설정해준 효과, 예를 들어 Aurora 효과나 Breath 효과가 제대로 표현되는 제품이 제대로된 ARGB 제품이다.

- 여러대의 LED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LED의 소비 전력에 주의해야 한다. 대부분의 마더보드는 5V-3A 까지 전력을 공급해주는데, 전체 전력값은 기기를 여러개 연결하다보면 신경써서 작업해야 한다. 6개 정도의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고 한다. 전력을 신경쓰지 않으려면 차라리 ARGB 허브를 하나 구매하는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