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E란 인텔의 X86 CPU의 확장 명령어다. Streaming SIMD Extension 의 약어다.
SSE(1999), SSE2(2001), SSE3(2004), SSSE3(2006), SSE4.1(2006), SSE 4.2(2008) 순서로 발표되었다. 1996에 발표된 MMX의 후속이다. 현재 인텔은 SSE5 대신, AVX(Advanced Vector Extensions, 벡터연산에 특화된 명령어)를 밀고 있는 추세다.
이중 SSE2 와 SSE 4.1 지원 여부는 프로그램 성능상 아주 중요하다. 그만큼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를 확장시켰기 때문이다. SSE, SSE3, SSSE3 등은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쓸일이 없지만, SSE2와 SSE 4.1 은 프로그래머들이 매우 자주 사용하는 범용 명령을 추가했기 때문에, 많은 컴파일러/소프트웨어에서 지원한다.
Core2Duo E8400 CPU-Z 정보. SSE 4.1 을 지원한다
SSE 4.1 을 지원하는건 2006년에 발표된 45nm 공정의 Core 2 Duo CPU 부터다. 또한 윈도7을 써야 SSE 4.1을 사용해 처리한다. 비스타 쓰면 사용 못한다. 최신 시스템에서 윈도7을 써야하는 이유다.
※ 국정원에서 지메일까지 감정했다고 하는군요. 패킷 감청을 통해 했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했는지는 안 나와있습니다. 물론 어떻게 했는지 공개될리는 없겠죠.
※ 기술적으로 메일 발송은 메일을 받을 서버까지 전달하는 도중 암호화되지 않는 구간이 있기 때문에 그 구간에서 감청하면 누가 와도 막을 수 없습니다. 메일 내용을 별도의 솔루션을 통해 암호화하지 않는한요. 이래서 PGP 암호화를 사용하는 거겠죠. 하지만 좀 불편합니다. 메일사업자들이 이런 작업을 자동으로 해주는걸 만들어줬으면 하긴 하네요.
※ 예전에 중국에서 지메일 해킹할때는 사용자가 지메일 접속할 때는 http 를 통해 접속한다는 점을 노렸는데요, 그래서 구글에서 https 를 사용하도록 바꿨습니다. 따라서 이부분은 해킹하기 힘들구요, 다른 부분이 아닐까 생각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