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디아블로 III 노멀 난이도 클리어
생각보다는 쉬웠네요. 원래 쉽게 개발했다고 합니다만 말이죠. 그냥 천천히 욕심같은것도 안 부리고 시나리오를 보면서 클리어 했습니다.
드디어 디아블로가 내손에 들어왔습니다.
월급 받으면 사겠다는 약속
지켰습니다. ㅠ_ㅠ
얼마나 플레이할 수 있을지는 또다른 이야기이지만요.
크라이시스 3(Crysis 3)
크라이시스 3의 플레이 이미지가 나왔습니다.이정도면 전에 올린 배틀 필드보다도 더 향상된거 같네요. (나중에 나온거니 당연하겠습니다만)
크라이시스 3 공식 스샷(리사이즈)
늪지대 그래픽은 오브젝트가 많고 어둡기 때문에 대충(?) 그려도 티가 안 납니다만, 확대해놓고 봐도 이정도면 수준급이군요.
크라이시스 3 공식 스샷(리사이즈)
이정도 돌리려면 필요한 사양이 얼마나 될까요? 1080p에서 돌리려고 해도 GTX680가지고도 안될지도 모른단 생각이 드네요. 최소사양이 현재 GT450으로 되어있고 DirectX 11 지원 필수라네요.
iPad with Retina Display(iPad4)
- 4세대 아이패드
- A6X (기존은 A5X)
- 전면 HD 카메라 120만화소, 720p 지원. (기존은 30만화소)
- 후면 iSight 카메라 (500만화소, 오토포커스, 얼굴감지, 5매 렌즈, 적외선필터, BSI센서, f/2.4)
- 모든 국가의 LTE 지원
iPad with Retina Display
※ BSI(Backside Illumination, 이면조사형)센서는 저광량에서 사진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칩 제조 기술이다. 칩의 배선을 후면에 배치하고 수광부를 칩 최상부에 배치하는 기술이다. 원래는 CCTV용 카메라용 CMOS 칩에서 사용하던 기술이었다. iPhone 4부터 이기술이 사용되었다.
iPad 4의 카메라 렌즈. 5매가 사용되었다.
Apple A6X
※ A6X가 A5X와 같은 듀얼코어이긴 하지만, 아키텍처가 다르기 때문에 A5X보다 두배 이상 빨라졌을 겁니다. 게다가 그래픽코어도 A5X와 동일한 쿼드코어이긴 하지만 역시 두배이상 빨라졌을거 같네요.
※ 아이패드 미니는 관심 없습니다. 어차피 갤럭시 노트2를 살 예정이라 그다지 땡기진 않네요. iPad2와 스펙이 비슷하니 그다지 관심 없는것도 있습니다.
※ 아이패드3를 7개월만에 단종시킬거라고는 생각도 못했네요.
※ 우리나라는 와이파이모델의 경우 11월 2일, LTE모델의 경우 11월 말 발매라네요. 가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만원)
Wifi LTE
16GB 62 77
32GB 74 89
64GB 86 99.9
128GB 98 111.9 (2013.02.05출시)
신세기사이버포뮬러(新世期GPX サイバーフォーミュラ)
1991년에 선라이즈에서 제작한 경주 에니메이션. 이후 5개의 OVA가 나왔다.
사이버포뮬러(1991): 총 37화
사이버포뮬러 더블원(1992): 총 6화
사이버포뮬러 제로(1994): 총 8화
사이버포뮬러 얼리데이즈리뉴얼(1996): 총 2화
사이버포뮬러 사가(1996): 총 8화
사이버포뮬러 신(1998): 총 5화
- 첫 무대의 배경이 2015년이다. 3년 후에 이런 머신이 나와 경기가 가능할 지는 의문이다. 현재의 F1 와 비슷한 방식으로 치뤄지는 경주 경기지만, 사이버 포뮬러는 수소엔진을 사용하고, 컴퓨터 제어의 도움으로 속도는 더욱 올랐다. 2단계 부스터까지 사용하면 시속 600가 넘는 속도가 나오니 말이다. 이 정도 속도라면 비행기보다 빠르다.
- 에니 곳곳에서 느껴지는 속도감은 그 어느 에니보다 우수하다. 어떻게 이런 연출이 가능한지 감독의 능력에 감탄하며 보았다,
- 1996년의 얼리데이즈리뉴얼 작품은 TV판을 편집해 만든거다. 새로운 씬도 없고 새로운 내용도 아니기 때문에 그냥 없는 셈 친다.
- 이번에 신(SIN)까지 다 봤다. 그전까지는 사가(SAGA)까지 봤던걸로 기억한다. 제로(ZERO)에 나오는 제로의 영역은 건담 SEED에서 나오는 그 제로의 영역과 비슷한 개념이다. 그다니 맘에 드는건 아니지만 말이다. (같은 감독이다)
- TV판과 얼리데이즈리뉴얼을 제외한 나머지를 4개의 OVA 감상을 쓸 생각임. 역시 감동적인건 마지막 OVA인 '신(SIN)'이다.
M.ZUIKO DIGITAL ED 40-150mm F4-5.6 R
- 40-150mm, F4-F5.6
- MSC
- 필터사이즈 58mm
- 30만원, 190g
M.ZUIKO DIGITAL ED 40-150mm F4-5.6 R
※ M.ZUIKO DIGITAL ED 40-150mm F4-5.6 의 리파인(R) 제품
M.ZUIKO DIGITAL ED 40-150mm F4-5.6 R 렌즈 구성. 녹색은 HR렌즈, 파랑은 ED렌즈
※ 아무래도 100, 200mm 부근의 렌즈가 없으면 불편해서, 조만간 하나 사야할듯.
M.ZUIKO DIGITAL ED 40-150mm F4-5.6 R MTF차트
※ 광각도 필요하긴 하지만 망원 렌즈까지만 구매하면 마이크로 포서드 관련해서는 한동안 사지 않을 예정. 담번은 캐논이다.
M.ZUIKO DIGITAL 14-42mm f3.5-5.6 II R
- 14-42mm, F3.5-F5.6
- MSC(Movie & Still Compatible)
- 필터사이즈 37mm
- 15만원, 113g
M.ZUIKO DIGITAL 14-42mm f3.5-5.6 II R
※ M.ZUIKO DIGITAL 14-42mm F3.5-5.6 II의 리파인(R) 제품. 외관이 약간 변하고 1g 가벼워졌다. 렌즈 성능은 동일. 작년 9월경 발매.
M.ZUIKO DIGITAL 14-42mm f3.5-5.6 II R 렌즈 구성. 붉은색은 비구면 렌즈.
※ M.ZUIKO는 마이크로 포서드 제품용 렌즈라는 의미다. ZUIKO는 포서드 제품용이다.
M.ZUIKO DIGITAL 14-42mm f3.5-5.6 II R MTF차트
※ MSC는 동영상 촬영을 위해 고속 AF및 AF가 조용히 작동함을 의미.
Olympus PEN mini E-PM1
- 미러리스 카메라
- 1230만화소, 4:3 비율의 4/3인치 센서
- 초음파방진필터
- Full HD 촬영, 최대 22분 녹화
Olympus PEN mini E-PM1
- 20D 뽀닥났음. 셔터 고장. 당연히 수리는 안하는걸로. 나중에 하나 지를것임.
- 그래서 컴팩트 디카라도 빨리 사려다가, 펜 미니로 지름. 후속기종인 E-PM2 가 조만간 출시되겠지만 출시가는 안드로메다로 갈테니 지금 싸게 구입하는것도 괜찮을 듯. 번들렌즈 킷으로 40만원 안되는 금액에 구매 가능하다. 이 가격이면 하이엔드 디카보다는 싼편이다.
- 캐논에서 나올 EOS M을 기다려 볼까도 했지만, 당장 아기 사진 찍어야 하니 기다릴 여유는 없다. 어느정도 가격에 풀릴지도 모를 일이고 말이다.
- 초당 5.5연사에, 아트필터, 플래시를 지원하기 때문에 나름 괜찮다고 생각중. 기능만 약간 축소되었을뿐, 상위 기종과는 화질은 동일하다. 그리고 mini라 정말 작고 가볍다. 손떨방이나 먼지 제거 시스템은 수준급.
- 하지만 내가 구매한 이유는 가격때문이다. 나온지 1년된거라 지금은 가격이 고급 컴팩트 카메라 수준이다. M.ZUIKO DIGITAL 14-42mm F3.5-5.6 II R 가 번들로 딸려 나오는데 이 렌즈 써보니 괜찮다. (번들렌즈 가격은 15만원 정도다)
- 나중에 렌즈를 추가로 지를지는 잘 모르겠지만 역시 망원의 필요성은 좀 있다. M.ZUIKO DIGITAL ED 40-150mm F4.0-5.6 R 가 유력한 후보. 가격은 30만원 정도다.
M.ZUIKO DIGITAL ED 40-150mm F4.0-5.6 R
- SDXC UHS-I을 지원하기 때문에, 나중에 SDXC 카드 하나 살 생각임. (아직 시장에 안 풀렸다) 지금 쓰는건 SD 2GB짜리로 약 100장 남짓 찍는다. ㄲㄲ
- 미러리스라 미러가 없어 좋긴 하지만, 셔터가 있어 셔터 충격은 있는 편이다.
마리아님이 보고계셔 ~봄~(マリア様がみてる〜春〜)
※ 마리아님이 보고계셔 2기입니다. 1기의 뒷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만, 1기 도중의 이야기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여는노래에 가사가 있죠. 콘노오유키(마리아님이보고계셔의 원작자임)가 작사했습니다. 1기는 그냥 연주만 삽입되었었죠.
이별의 뽀뽀(2기 4화)
※ 가장 기억에 남는 화는 6화와 9화입니다. 소설판 마리아님이 보고계셔 10권 레이니 블루에 해당되는건 11화부터 13화입니다만, 소설을 읽었을때는 잘 썼다고 생각했는데, 에니에서 볼때는 조금 답답한 감이 있네요.
세이와 시마코(2기 6화)
※ 6화는 세이와 시마코가 스루가 된 이야기이고, 9화는 시마코와 노리코가 스루가 된 이야기입니다. 1기 10화, 11화와 같이 봐야 왜 이런 시나리오가 나왔는지 이해하기 쉽습니다. 셋다 비슷한 이유로 스루가 된거군요.
시마코와 노리코(2기 6화)
시마코와 노리코 (2기 9화)
마리아님이보고계셔: http://windy.luru.net/1502
마리아님이 보고계셔(マリア様がみてる)
※ 콘노오유키(今野緒雪)의 동명소설을 에니화한 작품입니다. 2004년에 첫 방영이 시작되었고, 2009년에 완결되었죠. 이 글에서는 2004년에 방영된 첫번째 시리즈에 대해 씁니다. 다른 시리즈도 모두 쓸 예정입니다만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네요.
※ 사립 리리안 여학교 선후배사이의 쇠르(자매)를 맺어 엮어나가는 소설입니다. 몇가지 특이한게 있는데 로자리오(묵주)를 매개로 한 쇠르나, 산백합회(학생회), 장미관(학생회실), 장미(학생회의 수장 3인), 봉오리(장미들의 쇠르)등이 있습니다. 이글 보시는 분은 이게 잘 이해 안될 수 있겠습니다만, 에니나 소설에서는 친절하게 다 설명해줍니다.
사건의 발단이 된 한장의 사진. 이 장면은 다른 백합 에니에도 영향을 준다. 백합 + 타이교복이면 거의 이장면 나온다고 보면 된다. (1화)
사치코가 장미의저택을 나와 최초로 만나게 된 아이가 바로 유미다. (1화)
※ 아마 이 에니로 백합을 처음 접했던 분들도 많을꺼라고 봅니다. 원래 그전에도 이런 장르는 있었지만 이게 대중화된건 이 에니가 최초라네요. 재미있어서 소설도 읽었었는데, 지금은 흥미가 많이 떨어졌네요.
- 언니는 있니? - 아뇨. (1화)
※ 1기 에니의 하이라이트는 1화~3화의 내용인 오가사와라사치코(2학년)과 후쿠자와유미(1학년)가 쇠르를 맺게 되는 이야기입니다. 2화의 마지막에나오는 대사가 맘에 들었죠. 사치코님의 동생 제안을 왜 거절했냐는 동급생들의 질문에 [사치코 선배님이 정말로 나 같은 애를 동생으로 삼을 리가 없잖아!]라고 답합니다. 사치코선배를 좋아하지만 어쩌다가 근처에 있어 동생이 되었다고 하면 너무 비참하니까 마지막 자존심으로 거절한거니까 말이죠. 이 말은 이 에니에서 사치코와 유미 시나리오의 핵심입니다. 머, 저라면 그런 열등감은 가지지 않을텐데 말이죠.
사치코 선배님이 정말로 나 같은 애를 동생으로 삼을 리가 없잖아! (2화)
- 저에게 로자리오를 주세요. - 싫어! (3화)
내기, 동정심 같은건 없어, 이건 신성한 의식이니까. (3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