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항 케이스가 써 보고 싶어서 구매한 케이스. 5만원대에 이만한 어항 케이스는 이것 뿐이었다. 세컨 PC용 케이스로 잘 쓰고 있다.
그냥 저렴하게 쓰기엔 무리 없는듯. 팬이 3핀이라 조금 아쉽고, 개별적으로 변경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있어 아쉽다. 다른건 가격 생각하면 무난한듯.
어항 케이스라 전면 팬이 없다. 이 부분이 발열이 많은 VGA를 사용하는 경우엔 조금 아쉬움이 있을것 같다. 흡기는 측면에 있는 3개 팬으로 하는데, 측면은 공간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흡기가 잘 안된다. 상단은 라디에이터를 달아야 하기 때문에 하단에 달아야 하는데 ATX 마더보드를 사용하는 나로써는 장치하기가 까다롭다.
----
2024.04.08 부터 기본 제공 팬이 변경되었다. 필자가 구매한건 예전 팬이고, 현재 나오는건 사각형 모양의 팬이다. 위에 나온 케이스 이미지가 변경된 팬이다.
- C6AM (메인, 120mm) -> C7A (통합, 120mm) - C6RS (리버스 서브, 120mm) -> C7RA (통합, 120mm) - LED 효과 변경 불가 (별도 허브 사용해야 함) - 가격은 C6가 1000원 정도 더 비쌈.
1 번은 최소 8억개인 SD1.5 와 유사하다고 생각되는데, SD1.5와 호환될지는 모르겠네요. 2 번은 transformer 를 diffusion 모델과 합했다는 의미인거 같네요. 최근에 나온 비디오 생성 AI인 Sora 가 이렇게 했다죠. 이렇게 하면 초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을걸로 생각합니다. 3 번은 Continuous Normalizing Flows (CNFs)를 사용했다는건데 잘 모르겠습니다.
그외에 이상한 그림 생성 못하게 한다는거 같습니다만, SDXL 을 보면 트레이닝을 처음부터 다시 해버리면 그것도 안되는거라서요. 어쨌든 기본 레벨에서는 생성 안되게 한다는거 같고 이렇게 되면 SD3 이미지 생성 서비스 만들기 쉬워지겠네요. (프롬프트 제한 안걸어도 되니까 말이죠)
또한 여러개의 묘사를 모아서 정의한것도 잘 인식한다고 합니다. 현재 SD 에서는 아직까지 1girl 을 주로 사용하는데요, 2girls 프롬프트를 주어봤자 비슷한 그림이 나오기 때문입니다만, SD3 부터는 이게 하나하나 묘사를 하면 제대로 생성한다는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