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1년 허버트 윌리엄 하인리히(Herbert William Heinrich)의 저서 산업재해 예방: 과학적 접근(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 A Scientific Approach)에서 나온 법칙.
산업재해가 발생하여 중상자가 1명 나오면, 그 전에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 경상자가 29명, 같은 원인으로 부상을 당할 뻔한 잠재적 부상자가 300명 있었다는 사실을 통계적으로 발견했다. 하인리히가 보험사에서 근무했기 때문에 발견 가능했던 법칙이다.
1:29:300
사소한 사고를 무시하고 그냥 넘어가면 나중에 큰 문제가 되어 돌아온다는 것. 통계상 그렇다는 의미다. (반드시 300번 사소한 잘못 해야 29번 다친다는 의미가 아니다) 여러곳에서 인용되고 있다. 산업재해뿐만 아니라, 국가적, 사회적, 개인적 위기에 대한 통계에도 인용되고 있다고 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짤때 사소한 버그 그냥 뒀다간 크게 자라서 나에게 되돌아 오는걸 몇번 경험한 이후엔, 사소한 버그라도 중요도는 동일하게 책정하곤 한다. (물론 말은 쉽지만 행동하는건 쉽지 않다) 이런 이야기 인듯.
대형사고는 어느 한사람의 잘못만으로 생길 수 없긴 하지만, 각 분야의 총 책임자들은 있게 마련이다. 마스터 키 빼고(?) 간 기관사나, 구호조치 안한(?) 선장이나. 사후 대응하는걸 보면 몸 사리는게 눈에 보이긴 하지만 그건 그렇다고 치고, 앞으로의 사고를 방지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진지한 논의와 실.천.이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