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착한PC (20만원미만)

CPU: Intel E3400              4.8
M/B: ECS G41T-M6              4.8
MEM: Samsung DDR3-1GB         1.3
HDD: Hitachi 500GB P7K500     4.1
ODD: Samsung DVD-ROM SH-D163C 1.7
CHA: 3RSystem R640 조로       1.5
PSU: BigBeam 쿨가이 C450      1.7
---------------------------------
총계                         19.9

사용자 삽입 이미지

ECS G41T-M6

- [통큰PC], [통더큰PC]를 본딴 저가 PC를 한번 견적내 봤다. 요즘 이런게 유행인듯. [통더큰PC]는 정말 업체 마진 많이 줄인걸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igBeam 쿨가이 C450

- 20만원 미만 맞추려고 너무 낮은 부품을 쓴 느낌. 윈도비스타나 윈도7사용하려면 메모리 2GB는 기본이다. 차라리 PC견적에서 30만원대 PC를 사거나 중고PC알아보는게 좋을 듯. 아무리 낮춰 잡아도 30만원정돈 되어야 쓸만하다는게 내 생각이다.

2011.01 견적: http://windy.luru.net/1067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LG전자 플래트론LED IPS236V-PN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S236V-PN

- 23인치, UH-IPS, 16:9, 1920x1080, LED
- HDMI, RGB, DVI
- 명암비: 1000 : 1(동적: 5000000 : 1), 250cd
- 응답: 14ms(GTG) 6ms(GTG bw)
- 시야각: 178/178
- 색상: 1,670만
- 도트피치: 0.265x0.265
- 논글레어

오오~ [29만원]에 UH-IPS 패널을 사용한 LG제품이군요. 당분간 다른 제품 볼 필요 없을 듯.

----

IPS(In Plane Switching)패널

S-IPS: 초기의 LG의 IPS 패널
E-IPS: S-IPS의 저가버전
H-IPS: S-IPS의 보라빛 왜곡 수정
UH-IPS: H-IPS에서 개구율 18% 향상
S-IPS2(S2): S-IPS의 단점을 커버한 패널. 정확한 스펙은 알려지지 않음.
P-IPS: 전문가급 패널

개구율(開口率, Aperture Ratio): 화소 면적에서 블랙 매트리스 및 전기 배선을 뺀 면적의 비율. 개구율이 높으면 밝아진다.

E → S → H → UH → S2 → P 순서로 좋고 그만큼 가격이 비싸다.

----

http://www.lg.com/jp/it-product/monitor/LG-16-9-wide-IPS236V-PN.jsp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샌디브릿지(Sandy Bridge) i5-2500

코어수/스레드수               4/4
클럭/터보속도          3.3/3.7GHz
L3캐시                        6MB
버스속도                   100MHz
명령셋확장             SSE4.2,AVX
공정                         32nm
메모리        32GB/DDR3-1333/듀얼
그래픽              850Mhz/1.1GHz

Turbo Boost                   O
Hyper Threading Tech.         O
VT-x                          O
VT-d                          O
Trusted Execution Tech.(TXT)  O
AES New Inst.                 O
Idle State                    O
Enhanced SpeedStep Tech.      O
Thermal Monitor               O
Intel Fast Memory Access(FMA) O
Intel Flex Memory Tech.       O
Execute Disable Bit           O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네할렘의 후속인 샌디브릿지가 1월 5일 CES에서 발표 되었습니다. 이스라엘에 있는 개발팀에서 2005년 부터 개발했다고 하네요. 이스라엘팀은 Core 아키텍처를 만든 곳이기도 합니다.

- 샌디브릿지의 특징이라 하면 모든 CPU에, GPU와 VT-x가 내장되어있다는 것을 들 수 있겠네요. (예전엔 모델마다 달랐기 때문에 일일이 확인하고 사야 했습니다) 성능은 (인텔의 백서에 의하면) 동일한 클럭의 네할렘 프로세서보다 15% 정도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벤치마크로는 그보다 훨씬 적은 5% 미만이라고 하네요) 하지만 오버클럭은 오버클럭용 CPU가 아니면 사실상 불가능할 걸로 보입니다. 최대 메모리도 32GB(네할렘 프로세서는 16GB)로 늘어났습니다.

- 내장 그래픽(VGA) 성능은 익스트림 버전 외에는 4만원대 그래픽카드 성능보다 낮게 나오는걸로 보이네요. 이정도면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진 못할 것으로 보이네요.

- 샌디브릿지에서는 벡터 연산을 빠르게 하기 위한 AVX(Advanced Vector Extensions) 명령 12개가 새로 추가되고  AES-NI 명령을 모든 라인업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습니다. AVX야 GPU로 대체해도 AES는 대체할 수가 없었는데, 라인업 관계없이 전부 지원하니 이건 좋은 변화네요.

- 샌디브릿지 후속인 아이비 브릿지(Ivy Bridge, 22nm 공정 사용, 기본 4코어)는 2012년 초, 이후에는 하스웰(Haswell, 기본 8코어, 아키텍처 개선, 2013년 초 예정)과 락웰(16nm 공정 사용, 2014년 초 예정)이 나옵니다. 2015년 이후에는 뭐가 나올지 아직은 모릅니다.

- 현재 샌디브릿지 CPU 가 출시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가격은 아직은 초기라 네할렘보다는 좀 비싼듯 하네요. [i5 2500]이 26만원입니다. 수주 이내로 24만원까지는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전 AMD 불도저 CPU 나올때까지 지금 시스템에서 소폭 업그레이드만 할겁니다. ㅎㅎ

- 버스속도가 상당히 낮은것으로 보이네요. 배수만 33배군요. (직전 CPU 까지는 15배면 매우 높은 편이었음)

----

Intel® Core™ i5-2500 Processor (6M Cache, 3.30 GHz)
http://ark.intel.com/Product.aspx?id=52210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컴퓨터 견적 2011.01

※ 메인PC급(80만원)
                                                2011.01    전월대비
에이엠디 페넘II-X6 1055T(95W)                    181000      ↓1000
아수스 M4A87TD EVO                               134000           -
삼성 DDR3 4G PC3-10600                            61000 × 2 ↑2000
조텍 지포스 GTS450 K810 D5 1GB                   146000      ↓4000
웨스턴디지털 SATA3 500GB Caviar Blue WD5000AAKX   43000        신규
파이오니어 DVD/CD Writer DVR-S18LBK               33000      ↑1000
지엠씨 Double-X                                   34000      ↓1000
시소닉 S12II-430 브론즈                           81000      ↓4000
-------------------------------------------------------------------
2.8㎓×6,8GiB,500GB,USB3,DVD-Multi,430W          774000      ↓4000

※ 세컨PC급(50만원)
                                                2011.01    전월대비
에이엠디 애슬론II-X4 645                         111000      ↓7000
아수스 M4A88TD-V EVO/USB3                        144000           -
삼성 DDR3 2G PC3-10600                            24000 × 2 ↓3000
웨스턴디지털 SATA3 500GB Caviar Blue WD5000AAKX   43000        신규
삼성 Super-WriteMaster SH-S223C                   20000      ↓1000
쓰리알시스템 R460 에스프레소                      33000           -
시소닉 SS-400ET 브론즈                            57000      ↓3000
-------------------------------------------------------------------
3.1㎓×4,4GiB,500GB,USB3,DVD-Multi,400W          456000     ↓16000

※ 서드PC급(30만원)
                                                2011.01    전월대비
에이엠디 애슬론II-X2 255                          60000      ↓3000
에즈락 880GM-LE                                   62000      ↓1000
삼성 DDR3 2G PC3-10600                            24000      ↓3000
웨스턴디지털 SATA3 500GB Caviar Blue WD5000AAKX   43000        신규
삼성 Super-WriteMaster SH-S223C                   20000      ↓1000
쓰리알시스템 R640 조로                            15000           -
파워렉스 REX III 500-80PLUS Triple V2.3           53000        신규
-------------------------------------------------------------------
3.1㎓×2,2GiB,500GB,DVD-Multi,500W               277000      ↓3000

- SATA 3(6Gbps)방식의 하드디스크로 변경. 조만간 시게이트에서 출시되면 시게이트로 변경할지도 모름. 16MB버퍼이지만 7200RPM 이라 크게 성능저하는 없을듯. 무었보다 플래터 1장으로 알고 있다.

- 슬슬 SATA3, USB 3 방식의 장비들이 나오네요.

- CES에서 인텔이 발표한(아직 발매는 안된) 샌디브릿지에 대한 기대때문에 지금은 별 감흥이 안오네요. AMD는 퓨전 APU를 발표했지만, 그래도 정체되어있는 느낌입니다.

- 모 쇼핑몰에서는 초 저가 PC(20만원 이하)도 구현했던데 그 정도까지 스펙을 낮추면 싸서 좋긴 하지만 가격때문에 성능을 너무 포기하는 거 같네요.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E2160 vs E4300 - L2 캐시에 따른 성능 차이

인텔 펜티엄 E2160 과 인텔 코어2듀오 E4300 비교 - L2 캐시에 따른 성능 차이

※ 스펙 비교

              E2160        E4300
출시일      2006.Q3      2007.Q1
클럭속도     1.8GHz       1.8GHz
L2캐시          1MB          2MB
버스속도     200MHz       200MHz
FSB속도      800MHz       800MHz
공정           65nm         65nm
출시가격        $64         $115
중고(만원)      4.4          4.9

∴ 스펙은 L2캐시만 빼고 동일하다.

※ E4300 의 CPU-Z 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CPU-Z으로 본 Core2 Duo 4300

※ L2캐시만 빼고는 동일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1MB이상 메모리에 적재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할때 두 CPU는 성능에서 차이난다.

아래의 슈퍼파이 연산에서, 1M, 2M 보다 4M 연산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가 데이터를 1MB이상 사용했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E2160

사용자 삽입 이미지

4300

     E2160  E4300
1M     32s    30s  1.06
2M     77s    73s  1.05
4M    176s   158s  1.11

※ 게임에서는 데이터로 몇백메가 이상 사용해서 (L2캐시에 최적화하지 않는 이상) 캐시 힛트 비율이 적기 때문에 L2캐시가 높은 CPU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서버용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베이스(일반인들은 사용하지 않는 소프트웨어임) 프로그램이라면, 캐시 증가에 따른 성능 향상을 쉽게 체감할 수 있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윈도 비스타와 DirectX 11

다이렉트엑스 11(DirectX 11)은 윈도 7에는 번들되어있지만 비스타에서는 번들되어있지 않다. 아래 3가지를 설치하면 DirectX11이 설치된다.

- Windows Vista Service Pack 2

Vista 32bit: http://www.microsoft.com/downloads/ko-kr/details.aspx?FamilyID=891ab806-2431-4d00-afa3-99ff6f22448d
Vista 64bit: http://www.microsoft.com/downloads/ko-kr/details.aspx?FamilyID=8ad69826-03d4-488c-8f26-074800c55bc3

- DirectX 엔드유저 런타임(2010 6월)

http://www.microsoft.com/downloads/en/details.aspx?displaylang=en&FamilyID=3b170b25-abab-4bc3-ae91-50ceb6d8fa8d

- KB971512(Windows 그래픽, 이미징, 및 XPS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Vista 32bit: http://www.microsoft.com/downloads/ko-kr/details.aspx?FamilyID=e1199d12-5b23-4769-b1e0-210ee147ce15
Vista 64bit: http://www.microsoft.com/downloads/ko-kr/details.aspx?FamilyID=e2da6ef8-92b6-4370-9e22-2c05a8c37ab0

※ DirectX 11을 사용하지 않아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미지 라이브러리가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속도도 향상되고, 에어로 테마도 조금 바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윈도 비스타에 DirectX 11을 설치하고 dxdiag.exe 를 실행한 모습


----
Windows Server 2008 플랫폼 업데이트 및 Windows Vista 플랫폼 업데이트에 대한 설명
http://support.microsoft.com/kb/971644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케이스 팬 고르기

PC에 사용되는 팬은 모두 12V 브러시리스(brushless) 직렬 모터를 사용한다. 고려해야하는 요소에는 아래과 같다.

※ 크기

정사각형 팬 프레임의 가로/세로 길이(정확하게는 마운트 홀간의 거리) 및 두께로 표기한다. [80mm, 25T]라 함은 가로 세로 각 80mm, 두께 25mm를 의미한다. 두께는 25T가 기준이다.

※ 회전수

RPM(Revolutions Per Minute)으로 나타낸다. 분당 몇 회전 하는지 나타낸다. 2500 RPM 이상이면 소음이 들린다. 팬에 사용되는 저소음 팬은 보통 1500 RPM 이하다.

회전수가 클수록 풍량이 크고, 전력을 더 소모하며, 소음이 커진다.

※ 풍량

CFM(Cubic Feet per Minute, ft³/min) 또는 ㎥/h 으로 나타낸다. 밀폐된 통로에서 바람의 속도를 재어 면적에 통로의 단면적을 곱해 알아낸다. 시간당 바람을 내보내는 양을 나타낸다.

팬의 크기에 따라 기준이 되는 풍량이 달라지는데, 필자는 3000 RPM 에서 120mm 팬의 경우 50 CFM, 80mm팬의 경우 25 CFM 이상이면 고성능 팬으로 본다.

주) 1 ft³≒ 28.316847ℓ ≒ 0.028317㎥
    ∴ 1 CFM = 1 * 0.028317 * 60 = 1.69902 ㎥/h

※ 풍압

mmH2O 으로 나타낸다. 물줄기를 밀어 올릴 수 있는 길이를 나타낸다. 풍량이 크면 일반적으로 풍압이 크지만 반드시 그런건 아니다. 2mmH2O 라면 꽤 높은 풍압을 가진 팬이다.

※ 날개 개수

보통 7엽 날개를 사용하지면, 낮은 속도로 돌아야 하는 팬이라면 9엽 이상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날개 개수가 많은데 RPM이 높으면 오히려 흡기 저항이 생겨서 좋지 않다.

※ 커넥터

전원을 연결하는 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2핀, 3핀(Pulse Sensor), 4핀(PWM, Pulse Width Modulation)이 있다. 일단 어떠한 방식이던지 직류 12V전원을 양극/음극만 확인해서 연결해주면 돌아간다. 2핀은 전원만 공급해주는 핀만 있으며, 3핀은 팬의 회전수를 알려주기 위한 핀이 추가되었다. 4핀은 팬의 회전수를 알려주고 PWM방식으로 팬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까지 가지고 있다.

※ 베어링

모터와 팬, 본체를 연결해주는 베어링은 팬의 수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 하단에 별도의 블로그 문서로 남겨둔다.

※ 소음

회전수가 높고 크기가 클 수록 소음은 커진다. 보통 스펙상으로는 dB(데시벨)과 sone(손)을 사용한다. dB는 소리의 절대적인 음압을 나타내고, 손(sone)은 인간의 가청 주파수와 민감도를 고려해 사람이 느끼는 소음을 나타낸 정도다.

필자는 팬에서 나는 소리의 주파수는 거의 일정하다고 보기 때문에 dB로 표기되어도 상관 없다고 본다. 30dB, 0.5 sone 이하면 조용한 팬이다.

----

베어링 종류: http://windy.luru.net/1048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시게이트 제품 펌웨어 업데이트

사용자 삽입 이미지

Seagate 7200.12 내부모습


- 마더보드 펌웨어 업데이트, VGA 펌웨어 업데이트, 공유기 펌웨어 업데이트 등은 그냥 하지만, 디스크 펌웨어 업데이트는 왠지 겁난다. 문제 생길경우, 금전적 손해보다 데이터 잃는 손해가 훨씬 크기 때문이다. 마더보드 펌웨어 업데이트 하다가 문제가 생긴경우 그냥 마더보드만 교체해주면 되지만, 하드디스크는 단순히 교체만 해서는 안되기 때문. PC의 컴포넌트중 가장 중요한건 하드디스크다.

- 7200.12 제품의 경우 현재 펌웨어 [CC46]까지 나와있다. 내껀 [CC35]다. ㅎㅁ

- 현재 문제가 없다면, 안하는것도 좋을듯. 자칫하면 하드디스크 날린다. 일단 백업부터 받고 해야할듯.

- 본글은 7200.11에서 발생했던 치명적인 문제와 전혀 관계없습니다.

----

업데이트 완료. 더 부드럽게 작동하는 듯한 느낌. 렉도 줄어든 듯. 소음도 줄은것 같은 느낌도 든다. ^^ Barracuda12-ALL-CC46.exe를 실행하면 시스템을 재시작해 도스로 부팅하고 펌웨어를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에는 10초 정도 소요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00.12의 펌웨어를 CC46으로 업데이트한후 SeaTools으로 확인한 모습

----

Seagate 제품을 위한 펌웨어 업데이트: http://knowledge.seagate.com/articles/ko/FAQ/207931ko/

시게이트 바라쿠다 7200.11 펌웨어 업데이트: http://windy.luru.net/568
시게이트 바라쿠다 7200.11 → 7200.12 교환 완료: http://windy.luru.net/724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LPCIO

CPU-Z에서 마더보드 항목을 보면 LPCIO(Low Pin Count I/O)가 나온다. LPC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출력을 말하는데, 현재 주된 용도는 팬의 RPM을 재거나 온도를 잴 때 사용한다.

이를 담당하는 칩은 ITE IT87xx 칩이나 Winbond W836xx 칩이 유명하다. Winbond칩은 플로피 디스크 컨트롤러나 LPT, COM 컨트롤러도 내장되어있다.

참고로 요즘 나오는 PC에서 온도 센서가 있는 곳은 CPU, M/B(Mother Board), GPU(VGA), HDD다. LPCIO칩에의해 온도를 재는 곳은 M/B다. 나머지는 컴포넌트 자체에 온도 센서가 있다. (쉽게 말해 CPU 내부, GPU칩 내부, 하드디스크 내부에 온도 센서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OpenHardMonitor를 사용한 시스템 모니터링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ICH 7 vs ICH 10

인텔에서 만든 I/O 컨트롤러 허브(I/O Controller Hub)를 ICH라 한다. 상대적으로 느린 장치,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라던가 USB장치를 지원하기 위해 만든 칩이다. 1999.06에 최초의 ICH가 나왔고, 현재는 ICH 10(2008.06 출시)까지 나와있다. 최근 나온 6x 칩셋에는 ICH개념이 없어지기 때문에 앞으로는 단종의 길로 나갈 칩셋이다.

이중 요즘 사용되는건 ICH 7과 ICH 10이다. 저가형 또는 고가형인 셈.

                   ICH7         ICH10        ICH10R
출시               2005          2008          2008
PN              82801GB       82801JB       82801JR
공정              130nm             ?             ?
DMI               1Gbps        10Gbps        10Gbps
PCIe                  6             6             6
USB 2.0               8            12            12
LAN             100Mbps         1Gbps         1Gbps
SATA2                 4             6             6
PATA                  1             X             X
RAID(Matrix)          X             X             O
AHCI                  X             O             O
VT-d                  X             O             O
HDAudio               O             O             X
AC97                  O             X             X
가격                $10           $14           $17

- ICH7은 AHCI를 지원하지 않는다. ICH7R이 지원하는데 이 칩셋은 리테일용 마더보드에 채택되는 경우가 없었다.

- ICH10에 와서는 PATA를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 LTP포트(프린터 포트)도 제거되었다.

- VT-d나 AC97, AHCI는 칩셋에서 지원해도 마더보드 바이오스에서 지원 안해주면 소용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45, ICH10 Chipset

----

ICH7:   http://ark.intel.com/Product.aspx?id=27679

ICH10:  http://ark.intel.com/Product.aspx?id=34392

ICH10R: http://ark.intel.com/Product.aspx?id=34395

AHCI(Advanced Host Controller Interface) 사용: http://windy.luru.net/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