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시간 2025/06/01 23:04
분류 기술,IT
윈도11 2025.05 업데이트 KB5058499 - GPU 관련 안정성 해결 금번 업데이트 예정인 KB5058499 가 핫합니다. 그동안 Windows 11 24H2 에 있었던 GPU 관련 불안정성을 해결하는 패치라고 합니다. 윈도11 의 업데이트 미리보기를 통해 지금 설치해볼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내역을 보면 아래와 같은 문구가 있습니다.
[그래픽 커널] 해결됨: 24H2로 업그레이드한 후 일부 게임 타이틀이 응답하지 않는 문제입니다.
그냥 게임 할 사람들은 전부 업데이트 하라는 이야기입니다. 저도 보자마자 업데이트 했습니다. 설치한 후에 재시작하고 나니, 주 모니터 그래픽 해상도가 오히려 이상해졌습니다. HDMI 에 연결된 모니터가 제대로 인식되지 않아서, AMD GPU 드라이버 최신버전(25.5.1)을 받아 설치해줬습니다. 재설치하고 나니 그런 문제가 없어졌네요. 이왕하는거 nVidia 도 최신버전으로 받아 다시 설치했네요. 요즘 nVidia 드라이버가 50시리즈 나오면서 이상해졌다고 하는데, 이건 이슈 없으려나요.
글쓴이 윈디하나
응답
RSS / ATOM 피드를 통해 답글을 트랙할 수 있음
트랙백 URL
https://windy.luru.net/trackback/2599
트랙백 ATOM 피딩
https://windy.luru.net/atom/trackback/2599
글쓴시간 2025/05/27 00:00
분류 기술,IT
윈도 11 24H2 와 POPCNT, SSE4.2 금번 윈도 11 24H2 업데이트부터 POPCNT, SSE4.2 를 지원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이제 Core2 CPU는 구형 운영체제에서만 사용 가능하겠네요. 좀 아쉽습니다. 하지만 POPCNT 명령셋이 필요한건 맞으니 아쉬워도 어쩔 수 없죠. ※ POPCNT 2020년에 승인된 C++20 이라는 C++ 규격에 popcount() 라는 함수가 추가되었고, 제 기억엔 이때부터 곳곳에 POPCNT 명령셋을 필요로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윈도11 뿐만 아니라 리눅스 배포판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POPCNT 는 비트가 세팅된 개수를 세는 명령입니다. 원래는 루프 돌리면서 복잡하게 계산해야할 껄 명령셋 하나로 계산하고 그만큼 매우 빠릅니다. 해시 함수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기능인데 이제 추가되었네요. popcnt(0x0) = 0 popcnt(0xff) = 8 popcnt(0xffff) = 16 popcnt(0xffffffff) = 32 와 같은 결과를 얻습니다. ※ SSE 4.2 SSE4.2 의 주된 변경점은 CRC32C 와 STTNI 가 추가되었습니다. - CRC32C 는 CRC32 의 변형으로, iSCSI 에서 체크섬으로 사용합니다. RFC 3720 에 정의되어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하드디스크에서 배드섹터 같은거 검출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 STTNI 는 String and Text New Instructions 으로 불리는 문자열 비교 연산 명령셋입니다. 역시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글쓴이 윈디하나
응답
RSS / ATOM 피드를 통해 답글을 트랙할 수 있음
트랙백 URL
https://windy.luru.net/trackback/2598
트랙백 ATOM 피딩
https://windy.luru.net/atom/trackback/2598
글쓴시간 2025/05/25 03:22
분류 기술,IT/스테이블 디퓨전
Stable Diffusion - 미녀 #9 Part 2 그 두번째. Part 1과 유사하지만, 구도를 조금 다르게 잡았다.
글쓴이 윈디하나
응답
RSS / ATOM 피드를 통해 답글을 트랙할 수 있음
트랙백 URL
https://windy.luru.net/trackback/2597
트랙백 ATOM 피딩
https://windy.luru.net/atom/trackback/2597
글쓴시간 2025/05/19 00:02
분류 기술,IT/스테이블 디퓨전
Stable Diffusion - 미녀 #9 Part 1 미소녀 만화 그림체의 LoRA 를 받아 생성한 그림이다. 미소녀 만화 그림체로 그려주는 LoRA 는 많지만 내가 사용하는 모델에 잘 어울리는 LoRA 는 찾기 힘들다. 사진에 사용한 LoRA 도, LoRA 소개 이미지는 아래 그림과 딴판이었다. 즉 이런 LoRA 를 발견한건 상당한 운이 있었던 셈. LoRA 가 학습을 강하게 했는지, 다른 형태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는 있지만, 프롬프트를 많이 바꾸지 않으면 유사한 이미지들이 많이 나온다. 이것저것 해보다가 아래와 같은 형식이 가장 예쁘게 나왔다. 뭔가 귀족풍의 아가씨를 만드려고 하는 내 의지와 맞았다. 이 글은 Part 3까지 업로드 예정이다.
글쓴이 윈디하나
응답
RSS / ATOM 피드를 통해 답글을 트랙할 수 있음
트랙백 URL
https://windy.luru.net/trackback/2596
트랙백 ATOM 피딩
https://windy.luru.net/atom/trackback/2596
글쓴시간 2025/05/03 14:48
분류 기술,IT/스테이블 디퓨전
Stable Diffusion - Ribbon BowTie 리본 형태의 나비넥타이. 의외로 자주 보는 넥타이 형식인데, 이 형태가 SD 에서는 나오질 않았다. 나왔다 해도 조금 이상하게 나오기도 했다. 그래서 LoRA 를 만들어서 구현해 봤다. 인터넷에서 유사한 이미지들을 찾고 그림판에 붙이고 자르고 그려 넣어서 그럴듯한 이미지를 만들고, 이 이미지로 LoRA 를 만든다. LoRA 를 사용해 다시 이미지를 만들고 다시 학습시켜서 LoRA 만들고. 이걸 반복하다 보면 만족할만한 품질의 LoRA 가 나온다. 대략 모양이 나오게 만들었으면 이후 디테일을 높이고 이것저것 장식을 만들면 완성. 말이 쉽지 약 52시간 정도 걸렸다. 일주일 정도 걸린 셈. 그렇게 해서 나온게 아래 이미지들이다. 만들고 나니 뿌듯하다.
글쓴이 윈디하나
응답
RSS / ATOM 피드를 통해 답글을 트랙할 수 있음
트랙백 URL
https://windy.luru.net/trackback/2593
트랙백 ATOM 피딩
https://windy.luru.net/atom/trackback/2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