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발달 만큼 흥미진진한 분야가 유전자 공학 분야다. 특히 유전자 조작을 통해 원하는걸 이루는 분야 말이다. 이미 생물의 DNA에 원하는 유전자를 넣거나 빼는게 가능하기 때문에 유전자의 기능만 잘 분석되고 특정 유전자가 하는 일이 무었인지만 확실하게 알고 있으면, 특정 생물에 원하는 기능을 넣을수 있다.
위키피디아에 소개된 진 드라이브 원리 이미지. 필자는 무슨 의미인지 모른다.
아직은 유전자가 많은 고등 생물에게는 시도되진 않았지만, 이것도 머지 않았으리라 본다. 영화에서 본 초인을 만들어낼 수 있는 날도 머지 않았을듯. 특히 유전자 병을 가진 사람들에겐 희소식이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진 드라이브는 조작된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넘겨주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다. 멘델의 유전법칙에 의해 특정 유전자가 다음세대에 전달될 확률은 50%이지만, 진 드라이브를 사용하면 다음세대에 100% 전달된다. 이게 위력적인 이유는 세대 교체가 빠른 종인 경우엔 정말 순식간에 종의 DNA가 빠뀌기 때문이다.
원리는 유전자 가위(특정 유전자를 잘라내거나 붙일 수 있는 유전자)를 DNA에 삽입하는 것이다. 유전자가 유전되어도 바로 잘라버리기 때문에 특정한 유전자는 대를 이을 수 없게 된다. 원래 이론적으로만 나오다가 CRISPR 이라는 유전자를 발견하면서 각광받게 되었다.
CRISPR 원리 (출처: 위키피디아)
문제는 특정 유전자를 잘라내는 유전자가 오류가있어 다른 유전자를 붙이거나 잘라내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해당 유전자를 가진 동물이 잡아먹힐 때 잡아먹은 동물에게 영향이 있을지 예측하기 힘들다는 거다.
(그나마 다행인건 진 드라이브는 인간에게 적용이 어렵다. 인간은 다음 세대가 늦게 나오기 때문이다. 게다가 진드라이브임을 인간이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인간인경우 대책을 세운다)
※ 사드란 종말고고도지역방어체계(THAA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의 약어로 단도 미사일을 고고도에서 요격하기위한 체계다.
그리고 북한 미사일 발사실험 이후 2016년 초를 한/미/중의 외교 갈등(?)을 일으키는 주요 키워드이기도 하다.
- 사드 1개 포대는 크게 사드 발사 차량, 레이더 차량, 통제차량, 전력 지원 차량 등으로 이뤄진다. 고고도에서 날아오는 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해서 필요하지만 아직 실험이 완료되지도 않았고 효용성에는 의문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미국이 비싼돈 들여서 설치해주겠다면 도입을 반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미국이 그래도 저런거 하나 있으면 좋긴 하니깐. 하지만 사드를 도입하면 북한의 탄도 미사일을 방어할 수 있다느니, 우리나라의 미사일 방어력이 한층 업그레이드된다는 말은 좀 아니라고 본다. 미사일에는 효용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내 돈주고 구매하기는 돈이 아깝다는게 생각이다.
- 하지만 이를 도입한다는 것에서 중국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그 이유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방어'무기이기 때문에 상대방에 안보상 위협이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 중국이 반발하는 이유에 대해 몇가지 같은 추측이 있다. 그중 가장 수긍이 가는 내용을 한번 적어본다.
※ 사드의 레이더가 너무 강력하다.
- 사드에는 AN/TPY-2 라는 X-밴드 레이더가 들어간다. 레이더가 사용하는 주파수대역은 X-밴드(3.8-2.5cm)외에도 S-밴드(15-7.5cm )나 L-밴드(30-15cm)를 사용한다. 주로 사용되는건 전력대비 탐지능력이 좋은 S밴드를 사용한 레이더다.
- X-밴드 레이더는 목표의 정확한 위치를 알기 위해 더 짦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조준"이 가능할 정도의 정보를 줄 수 있는 만큼 정확해야 한다. 하지만 전력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넓은 범위를 탐색할 수는 없었다.
- 하지만 지상에서 크게 만들면 달라진다. 전력만 충분히 공급된다는걸 전제하면 크고 세게 만들어서 탐지 범위를 높임과 동시에 정확한 위치를 탐지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그게 사드에 들어가는 AN/TPY-2 라는 레이더다. 탐지범위는 1800 km, 종말단계에서 추가탐지가 가능한 정도는 600 km이다.
- 고출력 X-밴드 레이더의 탐지 능력의 경우 정확하게 알려진건 없지만, SBX-1 라는 해상용 X-밴드 레이더의 경우, "샌프란시스코에서 버지니아(약 4700km) 에있는 야구공을 추적 가능"하다고 한다. 하지만 사드에 배치되는 AN/TPY-2는 이보다 탐지능력이 훨씬 떨어진다.
SBX
- 우리나라에 설치하는 경우, 어디에 설치할지는 모르겠지만 서울에서 베이징까지의 거리가 1000km이 되질 않는다. 레이더를 수도권에 설치할 경우 중국에서 오고가는 모든 비행기의 궤적을 추적하는게 가능해지지 않을까 추측해 본다. 그리고 미군이 설치한 거기 때문에 그 정보는 실시간으로 미국으로 갈테고 말이다.
서울에서 베이찡의 거리. 1000KM이 안된다.
※ 중국의 A2/AD 전략 차질
위와 유사한 이유다. A2/AD(Anti-Access Area Denial, 반(反)접근 지역거부)정도로 해석된다. 중국이 미사일 망을 내륙 깊게 배치하지 않은 이유중 하나가, 바다로부터의 위협에 대비해 장거리 미사일로 중국 근처로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함인데, X-밴드 레이더가 근처에 있으면 미사일을 사용한 요격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
중국을 중심으로 중국에 접근해오는 세력을 요격할 수 있는 미사일의 사거리를 나타낸 그림이다.
뜬금없이 이런걸 조사한건 아니다. EBS에서 했던 다큐멘터리 "4부 <서울대 A+의 조건>" (2015년 12월 14일(월) 밤 9시 50분 방송)을 인상깊게 봤기 때문.
※ 중반까지는 우리나라의 학생들이 창의적이지 못하다는 식으로 가는 것 같았는데, 끝까지 보지 않으면 다큐멘터리의 핵심을 놓치게 된다. 결론은 우리나라 교육시스템과 그 중심에 있는 선생님, 교수의 문제라는 말이니 말이다.
※ 창의적인 생각을 해도 그것을 말할 수 없는 '환경', 주장할 수 없는 '환경'이 문제라는 것이다. 그냥 지식을 전달하고 이해시키는데에 목표를 두고 있지 그 다음 적용하고 분석하고 종합하는 능력에 대해서, 나아가서는 새로운것을 만들어내는 행위에 대해서는 후한 점수를 주지 않는다는 문제제기다.
※ 특히 이런 교육 방식이 우리 사회에 '만연'되어있기 때문에 큰 문제라고 말하는 것이다.
※ 누군가가 '난 창의적이지 않아. 우리나라 교육이 창의적이지 않기 때문이야'라는 말에는 공감하지 않는다. "니가 창의적이지 않은건 니 개인적인 문제야."라고 말해주고 싶다. 하지만 우리 사회 전체에서 창의적인 사람의 비율이 선진국의 그것보다 현저히 적다면 그건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다. 그리고 그 원인으로 평가방법과 평가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의식 부족을 꼽았다는거에 이 다큐멘터리가 의의가 있다고 본다.
※ 이런 문제제가가 계속 되어야 우리 사회가 더 나아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 학점이 낮은 이유가 공부를 안했기 때문이 아니라 창의적으로 답을 썼기 때문이라면 참 허망할 듯. 결과적으로 "서울대 A+의 조건"은 교수가 가르쳐준 대로 답을 써야 한다는 조건이 있는 셈이다.
※ 우리나라에서 장학금 받을 정도로 공부를 잘했고, 국가 장학금으로 유학 가서 열심히 공부해서 시험을 치뤘는데, 낙제점을 받아 교수에게 이유를 물어봤다. 교수가 낙제점을 준 이유는 "교수와 같은 답을 썼기 때문"이라고 했다는 말을 들은적이 있다. 공감가는 이야기.
※ 어느 독자가 게임만 하는 아이때문에 힘들다는 사연을 불교신문에 투고했는데, 그에 대한 답변이 인상깊어 소개한다.
친밀한 관계를 얻고자 게임에만 몰입한다는 것은, 역으로 얘기하면 게임 외에는 친밀한 관계를 그 어디에서도 얻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아이에게 있어서 게임이라는 도구는 자신이 바라는 친밀한 관계를 제공할 대상과 접촉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일 것입니다.
※ 아이를 나무라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다. 책임이 있다면 부모에게 있으니깐.
질문자님의 관심이 향해야 할 곳은 질문자님의 게임중독자 아이가 아니라, 이 세상에서 내가 귀한 것을 누가 좀 알아달라고 목놓아 외치고 있는 바로 그 슬픈 소년일 것입니다. 그 소년의 목소리를 한번 들어보세요. 반드시 듣게 되실 거예요. 그 소년은 우리 모두에게 속한 까닭입니다
※ 이 글은 조언자가 게임에 빠진 아이의 어머니에게 한 글이다. 이런 상황에서 어머니가 해야할 역할에 대해 조언한 거다. 일단 그런 상황임을 인지하고 공감하라는 거고, (남의 애가 아니니깐) 그에 대해 자존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주어라라는 결론.
※ 게임 "중독"(중독과 게임을 많이 한다는건 다른 의미다. 중독된 아이라면 학교도 안가고, 친구와 놀지도 않는등 일상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기껏 게임한다고 엄마 심부름 안하는 정도와는 차원이 다르다)은 자아가 발달하지 않은 아이의 전형적인 현상이라고 본다. 하지만 어떻게 하면 자아를 발달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절대적으로, 케이스마다 다르다. 아이를 키우는데 왕도는 없다고 했다. 끊임없는 관심만이 문제를 해결하고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이다.
※ 모 커뮤니티에 이글이 소개되었는데, 생각보다 뻔한 답, 진부한 답이라고 평가 절하하는 댓글이 많이 보여 좀 안타까기도 했다. 그리고 본문에 있는 100만원 이야기는 그냥 숫자에 불과하다. 10만원이든 1만원이든 의미없는 숫자다. 평가 절하하는 이들은 그냥 게임기 치우고, 게임 중독 센터나 정신병원에 보내라는 답을 원했던건지 묻고 싶다. 게임을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제거한다 해도 (물론 현실적으로 모든 방법을 제거하는건 불가능하지만) 근본적으로 중독되었다는 사실을 치유하지 않으면 다른 것 혹은 더 심한 것에 중독될거라는건 왜 생각하지 않을까.
※ 이 문제에서 가장 중요한건 문제가 있다고 하는 아이가 누군가의 아이가 아니라, 내 아이라는 거다. 꼭 남의 아이가 그런것 처럼 말하는게 상당히 놀랍기도 하다.
※ 셰일가스란, 혈암(shale, 진흙이 퇴적해 굳은 암석층)에 함유된 천연가스다. 1998년 프래킹(fracking, 수압파쇄)공법으로 효율적으로 캐낼 수 있도록 된 가스 및 오일이다.
※ 프래킹 공법은, 모래와 화학첨가물을 섞은 물을 3km정도 밑으로 파낸 혈암에 1000기압으로 분사하면 바위속에 있던 천연가스가 모이게 되고 이를 뽑아내는 방식이다. fracking 이라는 단어는 1998년에 새로 생긴 영어 단어로 아직 사전에 등록된 곳이 없다.
※ 셰일가스는 미국에서 주도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이 생산량 1위다. 천연가스외에 석유도 같이 나오기 때문에, 석유와 천연가스를 대체할 수 있다. 이때문에 석유값이 오르지 않고 있다. 중동 중심의 세계 석유지형도가 바뀔 수 있고, 미국이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고 세계1위로 도약할 수 있는 힘이기도 하다.
※ 미국이 세계의 경찰관 노릇을 하는 이유중 하나가, 석유 확보 때문인데, 셰일가스로 더이상 석유를 수입할 필요 없어졌다고 한다. 어떻게든 세계의 균형이 바뀔거라는 말에는 동의한다.
하지만 오늘은 그보더 더 무시무시한 말이 나왔죠. 디폴트입니다. Default. 채무 불이행. 민법상의 말이긴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디폴트라고 언론에 뜨면 보통 국가단위의 채무 불이행을 말합니다.
6월 30일이 만기인 IMF의 채권은 '민간'에게 진 빚이 아니기 때문에 이걸 값지 않아도 디폴트는 아니라고 하죠. 하지만 말장난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스가 디폴트를 선언했던 그렉시트가 되었건 어쨌든 상황은 좋게 끝나보이지는 않네요. 하지만 이젠 끝이 보입니다. 2010년 4월부터 시작되었던 그리스 사태의 끝이 말입니다.
최악의 상황에 몰려서도 자기 앞길 찾아가는 건 부럽기도 하지만, 빗나간 유탄 맞아 괜히 고생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씁쓸하네요. 아직은 관망세이긴 하지만 말이죠.
그렇다고 그리스만 나쁘다는건 아닙니다. 왜 그렉시트라는 말이 나왔느냐, 즉 그리스가 왜 위기를 맞았느냐는 그리스 내적인 문제가 크고 그들이 책임질 문제이지만, 외적인 문제도 있습니다. 특히 이렇게 될 줄 알았으면서도, 못 갚을줄 알면서도 그리스에게 높은 이율로 파생상품을 제공한 금융자본들, 그리스가 감당할 수 없을 줄 알면서도 유로존에 가입시킨 (물론 그리스가 유로존 가입을 원하기도 했지만) 그들도 문제가 있는건 맞으니까요. 괜히 그리스 국민들이 채권단을 적대시하는건 아니라는 겁니다.
※ 위키위키와 같은 인터넷 문화가 발전하면서 내가 한 기여에 대해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리그베다 사태로 인해 개인적으로 관심 가지게 되었네요.
※ 기본적으로 어떻게 공유할 것인가에 대한 물음에 대한 답입니다. 내가 기여한 부분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사용하고 어떻게 관리되는지 규정한 것이지요. 저작물의 배포에 대한 허락을 규정한 라이선스입니다.
※ 대충 다음과 같은 조건의 조합입니다.
- CC: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임을 명시 - BY: 저작물을 사용시 원 저작자를 명시해야 함 - NC: 저작물을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음 - ND: 저작물을 원본 그대로 사용해야 함. 수정할 수 없음 - SA: 동일한 라이선스를 가진채로 저작물을 변경할 수 있음
총 11가지가 되겠지만 실질적으로 BY는 다 들어가기 때문에, 사용하는 조합은 몇가지 안됩니다. 영리적 사용 여부, 저작물 수정 여부및 수정시 동일조건만 허용 여부가 중요합니다.
결과적으로 CC BY-SA, CC BY-NC-SA 정도가 주요한 라이선스가 되겠네요.
예를 들어 CC BY-NC 이라면 저작물의 원 저작자를 명시하고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CC의 라이선스 선택 화면. 두가지 항목이 가장 중요한 항목이 된다.
※ 대표적으로 몇가지 주요 사이트의 라이선스입니다.
- 위키피디아: CC BY-SA 3.0 - 리그베다위키: CC BY-NC-SA 2.0 KR - 나무위키: CC BY-NC-SA 2.0 KR
※ 저작자가 CC BY-NC-SA로 배포했다고 해도 저작자는 영리목적으로 자신의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CL은 기본적으로 배포자의 권리를 명시한 라이선스이지 저작권자의 권리를 제한하는 라이선스가 아닙니다. 또한 저작자는 라이선스를 변경할 권리가 있기 때문에 그냥 라이선스 바꾸면 됩니다. 기존 라이선스를 사용한 2차 저작물 등은 그대로 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