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Zen Coding
HTML/XHTML/XML 하드코딩시 반복되는 태그 입력을 줄여주기 위한 에디터 플러그인입니다. 젠 코딩 사이트에서는 .js 로 배포하구요, 이걸 각 에디터 개발자들이 js 엔진과 함께 포함시키는 형태로 만드네요.
div#page.header>(div.logo>{Click }+a{here}+{ to continue}.)+(ul#navigation>li#item$$*5>a)+(img[src="sample.gif" alt=""])
을
<div id="page" class="header">
<div class="logo">Click
<a href="">here</a> to continue
</div>
<ul id="navigation">
<li id="item01"><a href=""></a></li>
<li id="item02"><a href=""></a></li>
<li id="item03"><a href=""></a></li>
<li id="item04"><a href=""></a></li>
<li id="item05"><a href=""></a></li>
</ul>
<img src="sample.gif" alt="" />
</div>
으로 만들어줍니다. Zen Coding 0.7 의 모든 기능을 저 한줄에 써 놨습니다.
Zen Coding 예
맑은 고딕 폰트
- 윈도 비스타부터 번들되어있는 ClearType(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LCD 모니터에서 폰트 가독성을 높여주는 기술) 지원 폰트입니다.
- 이 폰트는 윈도XP 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ClearType 은 윈도XP부터 지원하니까요.
윈도XP의 ClearType 설정창
- ClearType을 사용하려면 폰트의 힌팅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윈도 XP 출시 당시 힌팅정보를 담은 한글 폰트가 없었습니다. 비스타 출시 때에 나옵니다. 즉 윈도XP의 ClearType 지원은 사실상 안된거죠. 영문 폰트만 ClearType이 지원되었습니다. (한글만 그랬던게 아닙니다. 영어 외에는 다른 언어도 대부분 지원 안되었죠)
- 그래서 마이크로소프트는 비스타 출시 후, 2008.05.20에 '맑은 고딕' 폰트를 XP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합니다. 아래 URL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microsoft.com/downloads/ko-kr/details.aspx?FamilyID=c55a8c2b-b451-4d1f-87f3-690f78342ae8
- XP에 폰트를 설치한 후, XP에서 [제어판→디스플레이정보→화면 배색→고급 화면 배색]에서 메시지 상자의 폰트를 맑은 고딕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화면 가독성이 많이 향상됩니다.
윈도XP에서 맑은 고딕 폰트로 설정하는 모습
써멀 컴파운드 고르는 방법
Coollaboratory Liquid Ultra.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써멀 컴파운드는 기본적으로 열 저항과 열 전도율을 보고 고르면 된다. 이 두가지 지표가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열저항: 8㎟ㆍK/W
- 열전도율: 4.1W/mK
열 전도율이 좋은게 일반적으로 좋지만, 열 저항도 중요하다. 열 저항은 숫자가 낮을 수록, 열 전도율은 숫자가 높을수록 열을 잘 전달한다.
열 저항은 [두께(m) / 열전도율]로 구한다. 위의 측정치에서 단위가 ㎟ 임에 주의하자. 보통 ㎡k/W 으로 나타내지만, 써멀 컴파운드의 경우 워낙 얇게 바르기 때문에 저런 단위가 나온다. 그래서 써멀 컴파운드의 경우 열 저항 수치가 중요하다.
필자가 주로 사용하는 잘만 ZM-STG2. 가격도 좋고 그럭 저럭 괜찮은 성능을 보여준다.
- 참고로 1 W/mk = 0.86 Kcal/mh℃ 이다. 열 전도율은 1미터 두께를 기준으로 한다.
※ 이외에도 고려해야 할 것이 있다. 점성이다.
점성: 870 poise
- 1 poise = 1g/cm·s 다. 높을수록 더 끈적끈적하다. 흐물흐물 하면 도포하다가 새어나갈 수 있고 너무 끈적끈적하면 도포하기 힘들어진다. 보통 500~1000 poise 면 된다.
아이비브릿지 써멀 문제
- 이번 아이비 브릿지 CPU에서, 오버클러커들에겐 안 좋은 문제점이 발견되었습니다. 공정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샌디브릿지와 비교해 볼때 CPU 온도가 높다는 거죠.
- 이런 의미는 공정 개선 효과가 없다는건데 이건 말이 안되기 때문에,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었습니다만, 결국 IHS와 CORE사이의 TIM이 문제라고 밝혀지는듯 하네요. 하지만 확실한건 아닙니다. 인텔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건 아니니까요.
- 그래서 일본 유저가 IHS와 기판을 분해해 TIM을 바꿔봤다고 합니다. 10℃ 정도의 온도 하락이 있었다고 하네요. 이 정도면 상당한 수준입니다. 오버클러커들에겐 10℃를 하락시키려면 수십만원 이상 들여야 하니까요.
- 단 IHS를 분리하는건 자제해야 할듯 하네요. 여기저기에서 실패 사례가 나오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상점 자체에서 TIM을 교체해 판매하는 경우도 있는거 같네요.
- 물론 오버하지 않는 경우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오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문제가 있었으면 인텔이 리콜했겠죠.
- IHS(Integrated Heat Spreader): 펜티엄 4부터 CPU코어를 덮는 형태로 히트 스프레더를 달고 나왔습니다.
위부터 CPU쿨러, 히트스프레더, 코어, 기판. 출처는 어느 일본 홈페이지
-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열 전달 물질. 코어와 IHS, IHS와 쿨러 사이에 도포해 열을 전달해주는 물질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써멀 컴파운드라고 부릅니다. 컴파운드 형태로 되어있거든요.
Intel SSD 330 시리즈
Intel SSD 330 시리즈
※ 2012.04.16에 320 후속이 나왔습니다. SATA-3 를 지원하고, 두배가 넘는 시퀀셜 성능이 돋보이네요. 보증기간은 3년으로 줄었다는게 좀 아쉽네요.
320 Series 330 Series
공정 25nm, NAND, MLC 25nm, NAND, MLC
인터페이스 SATA 3Gb/s SATA 6Gb/s
순차 성능 (R/W) 270 / 220 MB/s 500 / 450 MB/s
랜덤 성능 (R/W) 39.5k / 23k IOPS 22.5k / 33k IOPS
용량 (GB) 40/80/120/160/300/600 60/120/180
보증기간 5년 3년
- 랜덤 성능은 120GB 기준입니다.
25nm, NAND 다이샷
※ 330 60GB는 현재 9.6만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SSD가격대가 60GB당 10만원으로 내려온 느낌이네요.
Intel SSD 330 시리즈 BOX
----
nVidia GeForce 6xx 시리즈
코드명 비트 종류 Core/Shader/Mem TDP
GTX 690 (680x2) 256 GDDR5 915/1019/6000 300
GTX 680 GK104 256 GDDR5 1006/1058/6000 195
GTX 670 GK104 256 GDDR5 915/980/6000 170
GT 630 GF108 128 GDDR5 810/1620/3200 65
GT 620 GF108 64 DDR3 700/1400/1800 49
GT 610 GF119 64 DDR3 810/900/1800 29
※ nVidia 6xx 시리즈에 사용되는 Kepler GPU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닙니다.
- Kepler (GKxxx)
- DX3D 11.1, OpenGL 4.2, OpenCL 1.2
- PCIe 3.0
- Display Port 1.2
- HDMI 1.4a
- Purevideo VP5 가속, H.264 인코딩
- 4개 모니터, 3개 3D 모니터
- CUDA 3.0
- 28nm 공정
※ GT 640 은 현재 OEM 용으로 내놓고 있습니다. GK107 코어를 사용하죠. 아직 리테일은 없습니다. 제가 사려는게 640 이나 650 급인데요, 아직 안나왔네요. 디아3와 맞물려서 사려는데요. 끄긍.
ZOTAC GeForce® GTX 670 AMP! Edition
※ 현재로써는 GeForce GTX 560 SE 이 좋아보이네요. 현재 15만원 안팍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디아블로3도 1080p 해상도에서 60프레임 나온다고 합니다.
라즈베리 파이 2 모델 B
최근에 본 잼난 짤방 - 바니 데스크 컴퓨터
졸려서 쓰러지는 부분만 GIF 로 올라온걸 봤는데 꽤 괜찮음. 회사 PC바탕에 깔아놓을까남. 원본 출처는 유투브다.
----
Synology DS212j
- 시놀로지(Synology)는 대만의 저장장치 업체다. 주로 ARM, 리눅스 기반의 저장장치를 만든다. 크게 4가지 제품군이 있는데, 저가형인 j 시리즈, 소호용인 스탠다드 시리즈, 중규모 비즈니스용인 + 시리즈, 그리고 가장 큰 규모의 xs 시리즈가 그것이다. 제품명 뒤에 j, , +, xs 가 붙는다.
- 이중에 써본 건 요번에 나온 DS212j. 2 베이를 지원하지만, 핫스왑은 지원하지 않는다. 3TB 디스크 두개를 사용했다.
Synology DS212j
- PHP 5.3.2 와 MySQL 이 내장되어있어 간단한 웹 서비스도 가능하다. 웹에서 찾아보면 텍스트큐브는 돌릴 수 있고(단 PHP 캐시를 꺼야함), 매뉴얼에는 phpMyAdmin 을 설치해 MySQL을 관리하라고 나온다.
- 일주일 정도 써 봤는데, 나름 괜찮은 느낌. 기존에 쓰던 넷 기어보단(이건 오래된 구형 버전이라 단순 비교하긴 어렵지만) 빠르고 지원되는 기능도 많다. 하지만 iSCSI 말고는 딱히 대단하다고 할만한 건 아닌 듯. 212j는 핫스왑이 지원되지 않지만, 가격이 30만원으로 생각보다는 나가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