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시사,사회
코발트(cobalt)

기호: Co
원자번호: 27
상태: 고체
색상: 은백색

자석, 합금, 안료에 사용된다. 오늘 뉴스에 나온 코발트60(Co-60)은 코발트의 방사성 동위원소다. Fe-60 (반감기 약 262만년, 베타붕괴)→ Co-60 (반감기 약 5년, 베타붕괴) → Ni 으로 변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물감등의 안료로 사용되는 코발트 블루. 코발트 블루는 코발트와 알루미늄의 산화물이다. 코발트는 은백색이다. 이미지 출처는 위키피디아

- 코발트60은 자연에는 없고, 모두 코발트(Co-59)에 중성자를 쏘여 인공적으로 만든다. 코발트 60은 원자력 발전소에서만 만들 수 있다.

- 코발트60이 문제가 되는건 이게 강력한 감마선을 내뿜기 때문이다. 1g의 코발트60은 초당 13.6 J 의 에너지를 방출한다.

60Co → 60Ni + 2.824 MeV

강한 감마선을 이용해 방사선 살균, 방사선 의료기기에 주로 사용된다. 방사선이 필요하면 보통 코발트 60을 사용한다.

- 베타붕괴는 쉽게 말해 전자 방출이다.

- 코발트60들어간 스테인리스 접시꽂이(식기 건조대)가 이마트에서 12월부터 백여개가 판매되었다고 하네요. 판매/진열 기간이 2011.12.15 ~ 2012.01.12 까지군요. '스토피아'라는 브랜드 제품이라고 합니다. 빨리 환불 받으세요.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iPad3 루머

블룸버그에서 iPad3 에 대해 언급한 기사가 있네요. 머 3월에 발표하는건 당연한거라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단지 스펙이 궁금할 뿐인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불 분명의 iPad3 루머 이미지. 현재는 기술적으로 안되는 디자인일 듯.

일단 iPad3는 좀 더 얇아지고, LTE를 지원하며, 쿼드코어 CPU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해상도를 올린다는 말은 없네요. 다른 루머에는 해상도 가로 세로 각 2배씩 올라간다고 하는데요, 해상도가 올라가면 좋긴 합니다만, 그만큼 처리 능력도 배가 되어야 하고, 그렇다면 배터리 소비 문제도 발생하니 쉽진 않겠죠.

제가 iPad3에서 스펙상 가장 관심가는 부분은 메모리 용량입니다. 플래시 메모리 말고요, 주 기억장치를 말하는 겁니다. iPad2는 512MB였습니다. 이 시점에서 1GB는 되어야 한다고 보거든요. 그래야 앞으로 나올 업그레이드될 iOS를 무리없이 구동할 수 있을거라고 봅니다.

iPad2도 iOS5 로 넘어오면서, 기본으로 사용하는 메모리가 50MB정도 늘었습니다. 물론 스왑해버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차이는 안납니다만, 앞으로도 기본으로 많은 어플이 구동될텐데, 그러면 점점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나겠죠. 512MB로는 1~2년이야 괜찮겠지만 3년 넘어가면 더이상 지원이 힘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CPU개수는 듀얼코어로도 일단은 충분하니까요. iPad에서 인코딩 할것도 아닌걸요.

----

http://www.bloomberg.com/news/2012-01-13/apple-said-to-prepare-march-ipad-3-debut-with-sharper-screen-faster-chip.html

글쓴시간
분류 생활,캐어
베게 세탁
 
- 드럼세탁기로 찬물에 울 코스로 세탁(온수 사용 금지)
- 세제는 중성세제로 적게 사용. 표백제 사용 금지.
- 베게커버와 베게속은 분리하는게 원칙이지만 베게가 터질것 같다면 안해도 됨
- 베게 속이 터질것에 대비해 세탁조에 다른 세탁물은 넣지 말고, 세탁망이 있다면 사용하는 것이 좋음.
- 베게속은 세탁조 안에 2~3개 넣고 돌리면 덜 뭉침
- 헹굼은 충.분.히.
- 말리는건 2~3일동안 햇빛, 직사광선에 말림
- 근처에 회전식 건조기가 있는 세탁소/빨래방이 있다면 사용해볼만 함. 30분 정도 걸리고 5천원 안팍으로 나옴.
- 솜이 뭉치지 않도록 하려면 노끈 또는 바늘과 실을 이용해 베게 속을 단단히 묶어 주면 된다. (사탕 모양으로)
- 뭉친 솜은 방망이로 두드려 주거나, 잘 주물러 주면 됨. 도저히 안되면 버릴 것.
- 오리털 솜, 곡물 솜, 라텍스와 같은 물에 닿으면 절대 안되는건 세탁 불가. 여기서 말하는건 면, 합성 섬유를 사용한 베게 속을 말하는 것임.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전원공급장치(PSU, Power Supply Unit)의 출력

- 고르기 힘든 부품중 하나가 전원공급장치(PSU)다. 견적낼때 가장 고민되는 분야다. 현재 필자가 보기에 좋아보이는 PSU는 아래와 같다.

제조사   모델명             출력 +12V 80인증 가격 기타
-------- ------------------ ---- ---- ------ ---- ----
시소닉   S12II-520          520W 480W 브론즈   85
시소닉   M12II-520          520W 480W 브론즈    ? 모듈
인헨스   ATX-0260GB         600W 504W 브론즈  112 모듈
세븐팀   ST-550PWL          550W 528W 브론즈  119
에너맥스 ECO80+ EES500AWT   500W 456W 표준    121

- 시소닉 M12II-520 가 국내에 수입 안됨. 수입되면 10만원 좀 넘을텐데 말이다. (수입 안하남 ㄲㄲ)

- 세븐팀이 의외로 +12V 콤바인 출력이 높다. (사실 이 글을 쓴 계기도 세븐팀의 +12V 출력이 높다는 말을 듣고 쓴거다. 조사해보고 필자도 놀랬음) 저 정도면 왠만한 브랜드의 600W급 파워다. (예를 들어 시소닉 S12II-620의 +12V출력은 576W다) 캐패시터만 유명한 제품 사용했다면 좋을텐데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븐팀 ST-550PWL

- 물론 +12V출력이 높다고 해서 좋은 파워는 아니다.

- 필자는 좋은 파워의 조건으로

1. 표기된 최대 출력을 내어도 성능과 운용에 지장이 전혀 없는 파워
2. 출력 전압 떨림이나, 노이즈가 적은 파워
3. 악조건(높은 온도, 습도, 입력되는 전원의 불안정 등)에서도 좋은 출력을 보여주는 파워

는 필수고

4. 효율이 높은 파워(조용한 파워)
5. 설치하기 편한 파워(모듈)

를 본다.

- 위에 나열한 업체들은 내가 알기로는 표기된 출력만큼 실 출력이 가능한 파워다. 파워 설계뿐만 아니라 제조까지 하는 회사다. 쓸데없이 더 높은 출력의 파워 살 필요 없다. (이말 하고 싶었다) 지포스를 예로 들면 아래와 같다. (단 극한 오버 된 제품은 표기된 최대소비전력보다 20% 정도 더 소모한다)

                최대소비전력 권장파워출력 필자권장파워출력
GeForce GTX570          219W         550W             450W
GeForce GTX580          244W         600W             500W
GeForce GTX590          365W         700W             600W

- 고급파워를 설계및 제조하는 다른 업체 있으면 댓글 바람~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SSD 구입 가이드

일단 스펙은 아래와 같음(표에는 오류가 있을 수 있음)

                 삼성830 128GB       인텔320 120GB     OCZ Vertex3 120GB
SATA 6G                      O                   X                     O
용량                     128GB               120GB                 120GB
읽기속도               520MB/s             270MB/s               550MB/s
쓰기속도               320MB/s             130MB/s               520MB/s
SLC/MLC                    MLC                 MLC                   MLC
TRIM지원                     O                   O                     O
MTBF                   1500000             1200000               2000000
IOPS                     80000               38000                 85000
캐시                     256MB                   ?                     ?
A/S                        3년                 5년                   3년
가격                      27만                22만                  24만

※ 가격만 빼곤 숫자 높은 제품이 좋지만, 사용해보면 어차피 거기서 거기. 제원상 성능은 벤치할 때나 느낄 수 있을 뿐이다. 그냥 메이저급 제조사 중에서 원하는 용량 중 저렴한 제품을 사는게 좋다고 생각. (가격도 거기서 거기긴 하지만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삼성 SSD 830 128GB

※ 서버급은 쓰기성능이 극대화된 인텔 710 시리즈에서 고르면 된다.

----

http://www.samsung.com/sec/consumer/it/ssd/ssd/MZ-7PC128N/KR-spec
http://ark.intel.com/products/56563/Intel-SSD-320-Series-(120GB-2_5in-SATA-3Gbs-25nm-MLC)
http://www.ocztechnology.com/ocz-vertex-3-sata-iii-2-5-ssd.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