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올해 일정

※ 2012 부산국제모터쇼
→ 2012.05.24~06.03
→ BEXCO
→ http://www.bimos.co.kr/

※ 2012 서울국제사진영상기자재전
→ 2012.04.26~04.29
→ COEX A, B홀
→ http://www.photoshow.co.kr

※ 2012 서울오토살롱-오토서비스
→ 2012.07.12~07.15
→ COEX A, B홀
→ http://seoulautosalon.com/

※ 오토모티브위크 2012
→ 2012.03.23 ~ 2012.03.25
→ KINTEX
http://www.autoservicekorea.com

※ G★ 2012
→ 2012.11.08 ~ 2012.11.11
→ BEXCO
→ http://www.gstar.or.kr

※ MyCarShow
→ 2012.11.14~11.16
→ KINTEX
→ http://www.mycarshow.co.kr/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ASUS P5G41T-M LX 와 LX3 마더보드 비교

사용자 삽입 이미지

ASUS P5G41T-M LX

LX시리즈는 아수스의 저가형 마더보드다. LX보다 LX3가 더 늦게 나온거지만, LX3 가 LX에 비해 4000원 더 싼 5.8만원에 거래된다. 왜그런지 봤더니 싼게 이유가 있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ASUS P5G41T-M LX3

1. LX에는 Ultra DMA 133 케이블 주지만 LX3 에는 없다. 이는 LX 에는 IDE 포트가 있고 LX3 에는 IDE 포트가 없는 것에 기인한다. 필요 없으니 과감히 뺀 듯. 요즘엔 단점이라 보기 어렵다.

2. X4500 BIOS 설정에서 최대 공유메모리가 LX는 1GB이지만 LX3는 256MB 다. 1GB라 해도 쓸일은 없으므로 단점이라 보기 어렵다.

3. PCIe x1 슬롯이 LX에서는 1개지만 LX3 는 2개다.

4. PCI 슬롯이 LX에서는 2개지만 LX3 는 1개다.

5. Audio 포트에서 잭 감지가 LX에서는 되지만 LX3 에서는 안되는 것으로 보인다.(스펙에 언급이 없다)

6. LX에서는 AI NET 2, Anti-Surge, Express Gate 가 지원되지만 LX3는 안된다.

7. LX는 백 패널에 LPT 포트가 있지만 LX3에는 없다. 요즘 LPT 포트 쓰는 프린터는 판매하지 않으니 단점이라 보기 어렵다.

8. LX는 ASUS 홈페이지에서 제품소개에 나오지면 LX3는 현재 제품소개에 안나온다. 지원 페이지에 나온다.

9. LX가 4 Phase 전원부, LX3 가 3Phase 전원부인걸로 보인다. 스펙상에는 안나와있다.

10.LX3 는 DDR3-800 을 지원하지 않는다. DDR3-800 은 구하기도 힘드니 단점이라 보기 어렵다.

결론: LX3 가 LX 에 비해 더 스펙 다운된 보드다. 그만큼 가격도 싸다. 하지만 LX3 가 PCIe x1 이 2개라는건 괜찮은 듯.

지금 사면 LX3 도 나름 괜찮지만, 필자는 Anti-Surge 를 무시할 수 없다고 본다.

----

http://www.asus.com/Motherboards/Intel_Socket_775/P5G41TM_LX
http://support.asus.com/download.aspx?SLanguage=en&p=1&s=22&m=P5G41T-M+LX3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부가가치세(Value Added Tax, VAT)

재화와 용역의 공급, 재화의 수입시 부가되는 가치에 대한 간접 세금. 우리나라는 10%로 낮은 편이다. 농축산물, 도서류, 생리대에는 VAT가 붙지 않는다.

누구나 물건을 구매하거나 하면 일정하게 내는 세금이라 손쉽게 걷을 수 있고 워낙 많은 금액이 오고간다. VAT는 세금계의 혁명적인 일이니 말이다. 물가가 올라가는 요인이기도 하지만, 어쨌든 세수 확보를 위해서는 필요하다고 본다. 세금 저항이 없어 정부에서 잘~이용하고 있는게 문제지만.

우리나라에서는 1976년 부가가치세법을 제정하고 이듬해 시행했다. 기존에 있던 각종 간접세(영업세, 물품세, 직물류세, 석유류세, 전기가스세, 통행세, 입장세법, 유흥음식세 등등)를 다 없애고 부가세 하나로 통일했다.

일본의 경우 소비세라 하여 5%가 붙고, 캐나다도 5%의 부가세가 있다. 스위스는 7.6%. 다른 나라는 우리나라보다 높거나 같다. 스웨덴 같은 나라는 부가세가 25%다.

최근 일본에서 후쿠시마 원전 사고처리때문에, 소비세를 10%로 올리려고 한다는데 잘 될지는 걱정이다. 이게 잘 되어야 원전 수습 잘 되서 우리나라에 영향 안줬으면 하는 바램.

----

부가가치세법: http://likms.assembly.go.kr/law/jsp/law/LawThree.jsp?WORK_TYPE=LAW_THREE&LAW_ID=A1389&PROM_NO=10409&PROM_DT=20101227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스팸 댓글에 대한 단상

요즘 이상하게 스팸 댓글이 많아지는 상태. 하루에 최소 백여개는 달린다. 일일이 클릭해 지우는 것도 귀찮아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속해 지운다. 너무 많아지면 아예 프로그램을 만들까 생각중. 그래도 몇분 지나면 또 몇개 달려있다. 시도 때도 없이 꾸준히 들어오고 있는 중.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팸 댓글을 조회한 DB결과 이미지. 현재는 삭제했다. 보이는 URL에 접속하면 안된다

스팸 댓글/트랙백은 주로 자신의 블로그가 검색엔진 키워드 검색 결과의 상위랭크에 노출되면 등록된다고 한다. 스팸 업자들이 그런 블로그만 노리기 때문이다. (또 상위랭크 블로그에 스팸 댓글을 달아야 효과가 있다) 필자의 블로그는 몇 페이지 빼곤 검색엔진 상위권에도 없는데 말이다.

참고로 스팸을 막기 위한 이렇다할 방법은 없다. 필터를 강화하는 방법 외에는. IP가 일정하기 않은데다, 스팸 필터 넣기 힘들도록 단어도 우회할 수 있는 걸 선택하는 듯.

안지울 수도 없다. 사이트 품위를 지켜야 하고, 스팸댓글에 사용되는 링크와 같이 엉뚱한 링크가 많아지면 검색엔진이 '이 블로그는 스팸 블로그'으로 판단해버려 패널티를 주기 때문이다.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왜목마을 일출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양경찰서왜목출장소]까지 가야 하지만 1월1일처럼 사람 많은 날은 금방 차량 진입이 통제된다. 왼쪽의 노란색 국도 주변에 임시 주차장을 만들어두었길래 거기에 차를 대었다. 지도는 네이버꺼다.

- 출발은 2시. 도착은 4시 20분쯤. 중간에 행담도에서 40분 정도 쉰걸 생각하면, 막히지 않고 도착했음. (이 정도라면 3시쯤 출발해도 되지 않을까 생각중) 해 뜰때까지 차에서 대기. ㅎㅁ

- 서해안 고속도로 송악IC에서 나와서 38번 국도를 타고 가다가 633번 지방도를 타고 석문방조제 길을 통해 쭉~ 가면 된다. 필자는 좀 다른 길로 갔음

- 왜목터널 지나기 전 근처 갓길에 차를 대고 봐도 될 듯. 아예 석문 방조제에서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용무치항이나 장고항도 나름 괘안치 않을까 생각중. 물론 베스트는 왜목마을이 맞다. 차선에 차선을 생각해야 하는 경우엔 괜찮을듯 이라는 의미.

- 해무가 끼는 바람에 해는 못봤음. 동그란거 비슷한것도 안 나옴. 참고로 우리나라는 지역적/계절적인 영향으로, 1월 1일에 일출 보는건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