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PC에서는 메모리를 듀얼 채널로 구성해야 하는데, 이때 주의사항이 조금 있다. 메모리의 타이밍에 대한 문제다.
① 메모리의 스펙은 흔히 용량, 속도, 타이밍으로 나타낸다. "32GB DDR4-3200AA" 라는 스펙은
DDR4 메모리 1600MHz 으로 작동 램타이밍 22-22-22-52-74
의 의미다. 듀얼채널을 구성할 때에는 이 속성이 반드시 같아야 한다. 용량과 속도는 물론이고, CL(Cas Latency) 값이 같아야 한다.
하지만 메모리 스펙을 저장하는 SPD 칩에는 굉장이 많은 파라메터가 있다. 전문적인 메모리 SPD 조회 프로그램에서 조회해보면 굉장히 많은 데이터가 나온다. SPD 는 512 바이트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코드화 되어있기 때문에 데이터가 상당히 많다.
라이젠 마스터에서의 DDR4 DRAM 타이밍 속성
SPD 데이터 스펙은 JEDEC 에서 구매할 수 있는 문서에서 볼 수 있다. Serial Presence Detect 로 검색하면 된다.
SPD 를 설명한 문서다. https://www.simmtester.com/News/PublicationArticle/184
말하고 싶은건 메모리 모듈의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메터는 많다는거다. 스펙이 전부가 아니다.
② 같은 스펙을 가졌더라도 SPD 에 있는 다른 파라메터들은 다를 수 있다. 아니 다르다.
이 값이 같은 경우는 동일하게 제조된 제품만 그렇다. 예를 들어 삼성, 하이닉스에서 제조하는 모듈로, 제품 번호와 주차가 같으면 같은 속성을 가진다.
③ 듀얼채널로 구성하기 위해 같은 스펙의 메모리 (DDR4-3200 CL23)를 두개 끼웠지만, 세부 속성이 다른 경우 전체적인 성능은 느린쪽을 따라간다. 타이밍이 딱 맞아 동시에 데이터가 전달될 때 2배 대역폭이라는 이점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듀얼채널은 같은 메모리를 사용해야 성능상의 효과가 더 좋다.
- 메모리 인스톨 순서는 마더보드마다 다르다. 보통 CPU에서 먼 쪽부터 채운다. 마더보드 매뉴얼을 참고하자. 아래는 ASUS B550M-A 의 메모리 1개, 2개, 4개 설치시 인스톨하는 위치에 대해 설명한 그림이다. 메모리 모듈 1개를 설치할 거라면 B2 에 설치하고, 2개는 A2와 B2에 설치하면 된다.
- XMP 가 적용된 쌍으로 판매되는 메모리들은 SPD 속성이 같다. 반대로 쌍으로 나오지 않은 XMP 메모리는 같은 회사, 같은 이름의 제품이라도 섞어쓰면 속성이 다르다. 듀얼 채널 구성이 되긴 하겠지만 묘하게 느리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이렇게 써놓으니 사용하지 말라는 거 같은데, 어떠한 경우도 싱글채널보다 듀얼채널이 더 좋다. 단지 이왕 듀얼채널로 구성할것이라면 메모리 스펙을 동일한걸 사용해야하고, 메모리 쌍으로 판매하는 제품을 구매해 사용하거나, 삼성/하이닉스의 표준 모듈 중 제품번호/제조주차가 같은걸 사용하라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