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하나의 누리사랑방. 이런 저런 얘기

글쓴시간
분류 문화,취미/극장

월-E
WALL-E, 2008

사용자 삽입 이미지

WALL-E: Waste Allocation Load Lifter Earth-Class


수백년동안 지구에 남아 쓰레기를 처리하던 월-이 (WALL-E: Waste Allocation Load Lifter Earth-Class, 폐기물 수거 처리기 - 지구클래스). 지구 탈출 우주선 엑시엄(AXIOM, 수학용어로 공리(公理, 증명할 필요 없는 자명한 논리)라는 뜻)에서 탐사로봇 이브(Extra-terrestrial Vegetation Evaluator, 우주 식물 판정기)가 찾아오는 이야기로 시작된다.

보다보면 픽사와 애플과의 끈끈한 관계를 알 수 있다. (픽사는 현재 디즈니에 인수되어있지만, 픽사는 애플의 스티브잡스가 설립한 회사다) 이브는 애플의 아이팟을 아주 많이 닮았고, 윌-이는 아예 아이팟으로 '헬로 돌리' 동영상을 본다. ㅎㅁ

반드시 처음부터 끝까지 볼것: 영화를 보면 처음에 토끼와 마술사 프레스토를 그린 [프레스토]라는 단편이 나온다. 엔딩크레딧이 나올때는 생명을 찾은 지구가 그려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EVE: Extra-terrestrial Vegetation Evaluator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 Microbe Obliterator

사용자 삽입 이미지

AXIOM


----

http://www.walle2008.co.kr/
http://disney.go.com/disneypictures/wall-e/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YAMAHA TSS-20(야마하 TSS-2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야마하 TSS-20




TSS-10, TSS-15에 이어 오랜만에 TSS-20이 나왔다.

집에서쓰고 있는 모델은 TSS-10이다. 2004년 가을에 샀으니 4년이 다되고 있다. (고장이 안난다. ㅎㅁ 고장나면 바로 버리고 TSS-20사야지) TSS-15와는 별 차이 없는 제품이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야마하 TSS-20 후면

TSS-10은 기존의 TSS-1와는 완전히 다르게 야마하가 자랑하는 YSS-938칩을 썼다. (TSS-1은 YSS-918) YSS-938을 사용한 야마하의 보급형 앰프가 100만원대라는 것을 감안하면, 이 스피커의 20만원대 가격은 매우 저렴하게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기능적으로는 다 막아놨기 때문에 20만원대가 맞다) 시장에선 없어서 못 팔았을 정도였다. 스피커는 안 보고 디코더 때문에 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제품이다. 물론 나도 마찬가지다. (TSS시리즈의 위성 스피커는 그저 그렇다) ㅎㅎ

                   TSS-10    TSS-15    TSS-20
DSP               YSS-938   YSS-948   YSS-948
최대출력(W)            40        40        40
RCA 인                  1         1         1
옵티컬 인               2         2         2
코엑시얼 인             X         1         1
스테레오 인             X         X         1
DD 5.1                  O         O         O
DTS                     O         O         O
Prologic II             O         O         O
ActiveServo             O         O         O
Silent Cinema           O         O         O
AAC 디코더              X         O         O
Cinema DSP              X         O         O
VirtualSurround         X         O         O
QD-Bass                 X         O         O
3.1 VirtualMode         X         X         O
출시년월           2002.5    2005.5    2008.5
가격(만원)             22        22        28

※ 표에는 오류가 있을 수 있다

TSS시리즈를 사용할때 반드시 유념해야 할것.

- 우퍼 스피커는 좋다고 할 수 있지만, 위성 스피커는 바꿀 수 있다면 바꿔라. 4Ω 짜리 풀레인지 스피커를 사용하면 된다.
- Dolby Digital Live, DTS Connect 가 지원되는 사운드 카드 사용해서 모든 음악 소스를 DD/DTS 로 들을 것. 쉽게말해, 2채녈 스테레오 MP3를 DD5.1채널 인코딩 해서 디지털로 출력하고, 이를 TSS-20을 이용해 들으라는 뜻이다. 이게 아니면 TSS-20쓸 이유가 없다. 반대로 이렇게 하면 돈 아깝다는 생각이 안 들 것이다.

TSS-10 http://www.yamaha.co.jp/product/av/prd/cinema_st/tss-10/index.html
TSS-15 http://www.yamaha.co.jp/product/av/prd/cinema_st/tss-15/index.html
TSS-20 https://jp.yamaha.com/products/audio_visual/home_theater_systems/tss-20_black__j/index.html

글쓴시간
분류 생활,캐어

합계출산율

2001년 합계출산율: 1.297
2002년 합계출산율: 1.166
2003년 합계출산율: 1.180
2004년 합계출산율: 1.154
2005년 합계출산율: 1.076
2006년 합계출산율: 1.123
2007년 합계출산율: 1.250
2008년 합계출산율: 1.192
2009년 합계출산율: 1.149
2010년 합계출산율: 1.226
2011년 합계출산율: 1.244
2012년 합계출산율: 1.297
2013년 합계출산율: 1.187
2014년 합계출산율: 1.205
2015년 합계출산율: 1.239
2016년 합계출산율: 1.172
2017년 합계출산율: 1.052
2018년 합계출산율: 0.977
2019년 합계출산율: 0.918
2020년 합계출산율: 0.837
2021년 합계출산율: 0.808
2022년 합계출산율: 0.XXX

※ 합계출산율(대체출산율, Total Fertility Rate): 여성 1명이 평생(가임기간, 15~49세)동안 낳는 평균 출생아 수. 유럽경제위원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2.1이면 인구가 줄지도 늘지도 않는다고 한다. 2.1이하면 저 출산사회, 1.3이하면 초저출산사회다. 우리나라는 1983년에 2.08로 이미 2.1이하로 내려갔다. 경제적 측면(사회후생 수준의 극대화를 위한)에서는 적절한 출산율은 1.8이다. (바꿔말하면 1.0대 초반으로는 우리나라가 가난해질 수 밖에 없다는 뜻인걸로 판단된다)

※ 경쟁없는 사회~ 좋은 사회~ 경쟁하고 싶어도 경쟁할 사람이 있어야 하는거죠. ^^

※ 근데 쌍춘년에 황금돼지해(2007)라는 호재도 1.25밖에 못 되었었네요. 전 1.5는 될줄 알았는데요. 흑룡(2012)의 해에도 1.30이군요.

※ 이 글은 매년 갱신됩니다. 4월에 전년도 잠정치가 나오고 8월 이후에 확정치가 나옵니다.

----

e나라지표의 시계열 조회 (메인-e나라지표-부문별지표-합계출산율 검색)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28

2006년에 출산율 관련 글: http://windy.luru.net/32

글쓴시간
분류 이야기

[★Final version★] 빠삐놈병神디스코믹스 뮤직비디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http://gall.dcinside.com/list.php?id=composition_dc&no=63183

빠빠라빠빠라밤~삐삐리빠비코

놈놈놈을 패러디한건데, 빠삐코 판매회사인 롯데삼강이 떳네요. 동영상은 잘 만들었습니다. 싱크도 잘 맞네요. 어쩌면 프로의 솜씨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 OST
엄정화 - DISCO
DJ KOO - 왜
전진 - WA
이효리 - YOU GO GIRL
현대카드광고
한가인
빠삐코 CF

----

빠삐놈의 시초가 된 초기 3개의 곡

tubebell님의
http://wstatic.dcinside.com/manage/hit/fun.wma 이때까지만해도 별로였음
http://wstatic.dcinside.com/manage/hit/fun3.wma 뭔가 보이기 시작했음

실성준수(미쓰라준)님의
http://wstatic.dcinside.com/manage/hit/papinom.mp3 DJ KOO의 노래가 들어가니 이렇게 바뀌는군요

----

프로 맞네요. ESTi 라는 분입니다. 게임음악 전문가구요, EZ2DJ음악 만든 분입니다.

글쓴시간
분류 기술,IT

핸드헬드 멀티미디어 기기(handheld multimedia device)

네비게이션,TPEG,DMB,PMP,사전,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이번에 사려고 하는 핸드헬드(손에 들고 사용하는)기기의 기능 요약이다. 한마디로 다~ 되야 한다. 위에서 열거한 기능을 자주 사용하지는 않겠지만, 없어서 못하는것과 있는데 안하는것은 나에겐 큰 차이다. 위에서 내게 가장 중요한건 PMP기능인데, 문제는 이런 제품이 너무 많다는 것. PMP 겸용 네비게이션, 네비게이션 겸용 PMP, PMP형 초소형 노트북, PMP 겸용 전자사전, PMP 겸용 MP3플레이어 등등이 나와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 고르는 방법

1. 화면의 크기,해상도

일단, 화면의 크기를 정해야 한다. 3인치 이하, 5인치, 7인치대가 있다. 내 생각으론 3인치는 동영상 보기엔 너무 작다. 5인치나 7인치가 필요할 듯 하다. 해상도는 800 × 480 이상 지원되면 더이상 볼것이 없다.

2. 운영체제,칩셋

운영체제: 임베디드 리눅스 또는 윈도우 CE. 개인적으론 윈도우 CE가 더 좋다.
칩셋: 알케미 또는 다빈치. 알케미 칩셋은 일반적으로 부가기능이 좋고, 다빈치 칩셋은 동영상 지원이 좋다. 개인적으론 알케미 칩셋이 더 좋다.

RMI Alchemy: WMV를 잘 지원. Au1250 700㎒까지 나옴.
TI DaVinci: XVID, H.264등의 고해상도 코덱도 잘 지원.

주) 기기의 해상도가 800 × 480 까지 지원된다는 것에 주의. 간단히 말해 초 고해상도는 필요 없다. 게다가 어차피 기기용으로 인코딩을 해야 한다.

http://www.razamicroelectronics.com/products_alchemy/au1250_overview.htm
http://www.ti.com/corp/docs/landing/davinci/index.html

3. 부가기능

안되도/없어도 상관 없을 듯한 기능들

무선인터넷: 무선인터넷을 통해 브라우징이 지원되면 좋다.
대용량HDD: 60GB이상의 하드디스크가 장착되어있으면 좋다.
H.264코덱지원: 디스플레이장치가 1080p를 지원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해상도가 1920 × 1080 를 지원 못하는 상황에서) H.264 지원이 무슨 소용이겠냐만 있음 좋다.
AV출력/입력: TV를 연결해 화면을 볼 수 있는 기능이며 반대로 입력 받을 수 있는 기능이다. 있으면 좋다. AV IN이 지원되면 나중에 캠코더와 연동될 수 있겠다는 생각도 해본다.
뇌파학습기능: 엠시스퀘어와 비슷한 기능. 학습에 도움된다고 한다. 필자가 고등학생때는 자율학습시간에 잘때 많이 사용했다.
백과사전기능: 사전기능에 한발 더 앞서 나간 기능이다. 문제는 이게 있으면 비싸진다.

현재 COWON Q5 NAVI 60GB (68만원)가 끌리긴 하는데, ㅎㅁ 너무 비싸다. ^^  60만원정도가 적정가가 아닌가 생각되는데 말이다. 게다가 출시된지 6개월이 넘은 구형이기도 하고. 그래서 7월 중순에 COWON P5 NAVI 60GB 가 나왔는데, 가격이 아직 안 떴다. Q5보다 더 비싸겠지. ^^

사용자 삽입 이미지

COWON P5 블랙


http://product.cowon.com/product/COWONP5/standard/product_page_1.php